1. 이견지 (夷堅志) [이견지]
한자: 夷(오랑캐 이), 堅(굳을 견), 志(뜻 지)
중국 송나라의 홍매(洪邁)가 엮은 설화집. 송나라 초기부터 그의 생존 당시까지 민간에서 일어난 이상한 사건이나 괴담을 모은 책으로, 당시의 사회, 풍속 따위의 자료가 풍부하다. 모두 420권이던 것이 흩어지고 없어져서 오늘날은 약 절반만 전한다.
2. 이계 (夷界) [이계]
한자: 夷(오랑캐 이), 界(지경 계:)
오랑캐가 사는 땅.
3. 이국 (夷國) [이국]
한자: 夷(오랑캐 이), 國(나라 국)
오랑캐 나라.
4. 이만 (夷蠻) [이만]
한자: 夷(오랑캐 이), 蠻(오랑캐 만)
동쪽의 오랑캐와 남쪽의 야만인이라는 뜻으로, 오랑캐와 야만인을 통틀어 이르는 말.
5. 이만융적 (夷蠻戎狄) [이마늉적]
한자: 夷(오랑캐 이), 蠻(오랑캐 만), 戎(병장기/오랑캐 융), 狄(오랑캐 적)
동쪽의 이(夷), 남쪽의 만(蠻), 서쪽의 융(戎), 북쪽의 적(狄)이라는 뜻으로, 모든 오랑캐를 이르는 말. 중국인의 중화사상에서 생겨난 말로 외국인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6. 이매 (夷昧) [이매]
한자: 夷(오랑캐 이), 昧(어두울 매)
사리에 어둡고 어리석음.
7. 이멸 (夷滅) [이멸]
한자: 夷(오랑캐 이), 滅(꺼질/멸할 멸)
멸하여 없앰.
8. 이속 (夷俗) [이속]
한자: 夷(오랑캐 이), 俗(풍속 속)
오랑캐의 풍속.
9. 이적 (夷狄) [이적]
한자: 夷(오랑캐 이), 狄(오랑캐 적)
예전에, 두만강 일대의 만주 지방에 살던 여진족을 멸시하여 이르던 말.
용례:
명민한 호노리야는 북방 이적에게 몸을 맡김이 불행을 의미함을 모를 리 없었을 것이다.
10. 이적시 (夷狄視) [이적씨]
한자: 夷(오랑캐 이), 狄(오랑캐 적), 視(볼 시:)
오랑캐로 봄.
11. 이제 (夷齊) [이제]
한자: 夷(오랑캐 이), 齊(가지런할 제)
백이와 숙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
12. 이찬 (夷粲) [이찬]
한자: 夷(오랑캐 이), 粲(선명할/하얀쌀밥 찬)
고려 초기에, 9품계 가운데 셋째 등급. 태조 때 신라의 관제(官制)를 따라 설치한 것이다.
13. 이칙 (夷則) [이칙]
한자: 夷(오랑캐 이), 則(법칙 칙)
「1」음력 7월을 달리 이르는 말.
「2」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아홉째 음. 육률의 하나로 방위는 신(申), 절후는 음력 7월에 해당한다.
14. 이칙궁 (夷則宮) [이칙꿍]
한자: 夷(오랑캐 이), 則(법칙 칙), 宮(집 궁)
이칙(夷則)을 으뜸음으로 한 곡. 세종 때 원나라 임우의 ≪대성악보(大成樂譜)≫에서 채택하여 문묘 제례악으로 전해 온다.
15. 이험 (夷險) [이험]
한자: 夷(오랑캐 이), 險(험할 험:)
「1」평탄함과 험준함.
「2」순경(順境)과 역경(逆境)을 아울러 이르는 말.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