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독 (唯獨) [유독]
한자: 唯(오직 유), 獨(홀로 독)
많은 것 가운데 홀로 두드러지게.
용례:
- 모두 좋아하는데 왜 유독 너만 싫다고 하니?
- 오늘따라 바람이 유독 심하게 분다.
-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인 탓에 겨울은 유독 춥고 길었다.≪오정희, 유년의 뜰≫
- 다른 여인들은 양장을 하고 있었는데 유독 그 여인만은 한복을 입고 있어 그렇게 눈에 띄었던 모양이었다.≪최인호, 지구인≫
2. 유물 (唯物) [유물]
한자: 唯(오직 유), 物(물건 물)
물질적인 것을 실재하는 것 또는 중심적인 것이라고 보며, 마음은 물질의 작용에 지나지 아니한다고 생각하는 입장.
3. 유물관 (唯物觀) [유물관]
한자: 唯(오직 유), 物(물건 물), 觀(볼 관)
유물론에 입각한 견해나 관점.
4. 유물론 (唯物論) [유물론]
한자: 唯(오직 유), 物(물건 물), 論(논할 론)
만물의 근원을 물질로 보고, 모든 정신 현상도 물질의 작용이나 그 산물이라고 주장하는 이론. 이 학설은 고대 그리스의 원자론에서 비롯하였으며, 근대의 기계적ㆍ자연 과학적 또는 변증법적 유물론에 이르렀다.
5. 유물변증법 (唯物辨證法) [유물변:증뻡]
한자: 唯(오직 유), 物(물건 물), 辨(분별할 변:), 證(증거 증), 法(법 법)
자연과 사회의 전체를 물질적 존재의 변증법적 발전으로 설명한 이론. 헤겔의 관념론적 변증법을 유물론에 입각하여 전개한 이론으로, 마르크스의 유물 사관을 일반화하여 엥겔스, 레닌, 스탈린 등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6. 유물사관 (唯物史觀) [유물사:관]
한자: 唯(오직 유), 物(물건 물), 史(사기(史記) 사:), 觀(볼 관)
사회의 제 현상의 성립ㆍ연관ㆍ발전 방법을 변증법적 유물론의 입장에서 설명한 마르크스주의의 역사관. 사회의 정치적ㆍ문화적 특징은 근본적으로는 생산 양식에 규정되며, 생산 양식은 생산력의 발전에 대응하여 변혁된다고 한다.
7. 유물적 (唯物的) [유물쩍]
한자: 唯(오직 유), 物(물건 물), 的(과녁 적)
[Ⅰ]정신의 실재를 부정하고 물질의 근원이나 그 독자적인 측면만을 인정하는 것.
[Ⅱ]정신의 실재를 부정하고 물질의 근원이나 그 독자적인 측면만을 인정하는.
용례:
- [Ⅰ]연암의 실학적인 관찰은 단순히 이용후생이라는 유물적인 목적만은 아니었다.
- [Ⅱ]나는 모든 사물에 유물적 가치가 있다고 본다.
8. 유미 (唯美) [유미]
한자: 唯(오직 유), 美(아름다울 미(:))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거기에 빠지거나 깊이 즐김.
9. 유미적 (唯美的) [유미적]
한자: 唯(오직 유), 美(아름다울 미(:)), 的(과녁 적)
[Ⅰ]아름다움을 추구하여 거기에 빠지거나 깊이 즐기는 것.
[Ⅱ]아름다움을 추구하여 거기에 빠지거나 깊이 즐기는.
용례:
- [Ⅰ]유미적인 사람.
- [Ⅱ]유미적 경향.
10. 유미주의 (唯美主義) [유미주이]
한자: 唯(오직 유), 美(아름다울 미(:)), 主(임금/주인 주), 義(옳을 의:)
아름다움을 최고의 가치로 여겨 이를 추구하는 문예 사조. 19세기 후반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 나타났으며, 페이터, 보들레르, 와일드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11. 유상론 (唯象論) [유상논]
한자: 唯(오직 유), 象(코끼리 상), 論(논할 론)
「1」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것은 현상뿐이며, 현상의 배후에 있는 본체(本體)는 인식할 수 없다는 이론.
「2」현상 이외의 실재는 없다는 이론.
「3」사물의 표면에 나타나는 현상만을 근거로 한 논의.
12. 유식강 (唯識講) [유식깡]
한자: 唯(오직 유), 識(알 식), 講(욀 강:)
유식론의 깊은 뜻을 강론하는 법회.
13. 유심 (唯心) [유심]
한자: 唯(오직 유), 心(마음 심)
「1」마음은 만물의 본체로서 오직 단 하나의 실재(實在)라는 화엄경의 중심 사상. 모든 존재는 마음에서 비롯한 것으로, 마음을 떠나서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
「2」마음이나 정신적인 것이 만물의 근원이며 실재하는 중심적인 것이라는 생각.
14. 유심관 (唯心觀) [유심관]
한자: 唯(오직 유), 心(마음 심), 觀(볼 관)
유심론에 입각하여 사물을 관찰하는 태도.
15. 유심적 (唯心的) [유심적]
한자: 唯(오직 유), 心(마음 심), 的(과녁 적)
[Ⅰ]「1」모든 존재에 대한 마음의 근원성과 임의성을 인정하는 것.
[Ⅰ]「2」물질에 대한 정신의 근원성이나 독자성을 인정하는 것.
[Ⅱ]「1」모든 존재에 대한 마음의 근원성과 임의성을 인정하는.
[Ⅱ]「2」물질에 대한 정신의 근원성이나 독자성을 인정하는.
용례:
- [Ⅰ]「1」불교는 인간은 죽지만 영혼은 죽지 않고 끊임없이 윤회한다는 유심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
- [Ⅰ]「2」이 치료법을 통해 유심적인 측면에서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 [Ⅱ]「1」원효의 유식학적 통찰을 유심적 발생론으로 치환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 [Ⅱ]「2」해당 질병에 대한 유심적 원인을 찾아야 한다.
16. 유아독존 (唯我獨尊) [유아독쫀]
한자: 唯(오직 유), 我(나 아:), 獨(홀로 독), 尊(높을 존)
「1」세상에서 자기 혼자 잘났다고 뽐내는 태도.
「2」우주 가운데 자기보다 더 존귀한 이는 없음.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처음으로 한 말이라고 한다.
용례:
「1」수양 자기를 꺼리면 하다못해 양녕 백부께라도 고명을 하셨다면, 김종서로 하여금 유아독존의 만심은 품게 하지 않았을 것을.≪김동인, 대수양≫
17. 유아론 (唯我論) [유아론]
한자: 唯(오직 유), 我(나 아:), 論(논할 론)
실재하는 것은 자아뿐이고 다른 모든 것은 자아의 관념이거나 현상에 지나지 아니한다는 입장. 극단적 형태의 주관적 관념론으로 버클리, 피히테에게서 발견할 수 있다.
18. 유유 (唯唯) [유유]
한자: 唯(오직 유), 唯(오직 유)
[Ⅰ]시키는 대로 순종함.
[Ⅱ]주로 문어에서, 시키는 대로 하겠다고 공손히 대답하는 소리.
19. 유일 (唯一) [유일]
한자: 唯(오직 유), 一(한 일)
오직 하나밖에 없음.
용례:
- 사건을 목격한 유일의 인물.
- 유일의 친구가 되다.
- 문학에 종사하는 것만이 인류 복지에 공헌하는 유일의 길이라고 생각지는 않으시는지.≪김남천, 등불≫
- 나는 내 부친에 관해서 아무런 지식도 관심도 감정도 갖고 있지 않다. ‘윤’이라는 내 성이 그로부터 물려받은 유일의 것이지만 세상에 흔한 성이라고 느낄 뿐이다.≪강신재, 젊은 느티나무≫
20. 유일무이 (唯一無二) [유일무이]
한자: 唯(오직 유), 一(한 일), 無(없을 무), 二(두 이:)
오직 하나뿐이고 둘도 없음.
용례:
- 유일무이의 존재.
- 설마 그렇게까지 민하게 굴기야 했을까마는 아무튼 그것은 그가 대대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모은 유일무이의 계기였다.≪윤흥길, 빙청과 심홍≫
21. 유일사상 (唯一思想) [유일사상]
한자: 唯(오직 유), 一(한 일), 思(생각 사(:)), 想(생각 상:)
독재 체제에서 특정 인물을 우상화하여 그 이외의 신이나 인물에 대한 숭배를 용납하지 않는 사상.
용례:
북한은 주체사상을 유일사상으로 공시한다.
22. 유일신 (唯一神) [유일씬]
한자: 唯(오직 유), 一(한 일), 神(귀신 신)
오직 하나밖에 없는 신.
용례:
- 유일신 사상.
- 이슬람교도들은 알라를 유일신으로 섬긴다.
- 일부는 그 이상 로마로까지 진군해 전 세계에 통일된 신정 국가를 건설하고 그 영광을 자기들의 유일신에게 돌리는 화려한 상상으로 흥분하기까지 했다.≪이문열, 사람의 아들≫
23. 유일하다 (唯一하다) [유일하다]
한자: 唯(오직 유), 一(한 일)
오직 하나밖에 없다.
용례:
- 유일한 생존자.
- 그는 마을에서 유일하게 나와 동갑내기였다.
- 그 할아버지께는 철이가 유일한 혈육이다.
- 그런 유적은 전 세계에 유일하다.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