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服 옷 복 - 3

91. 일복 (일服) [일:복]

한자: 服(옷 복)

일을 할 때 입는 옷.

용례:

  • 뜨거운 태양 때문인지 작업장에는 일복을 입은 인부 몇 명만이 보일 뿐이었다.
  • 어떤 일복 입은 젊은 부인이 수건을 들고….≪이광수, 무정≫

92. 일복 (一服) [일복]

한자: 一(한 일), 服(옷 복)

「1」약을 한 번 먹음. 또는 그런 분량.
「2」중국 주나라 때에, 수도 밖 5백 리 외방(外方)을 이르던 말.

용례:

「1」그것은 참으로 얻기 어려운 일복의 청량제가 아닐 수 없다.≪김진섭, 인생 예찬≫

93. 일상복 (日常服) [일쌍복]

한자: 日(날 일), 常(떳떳할 상), 服(옷 복)

일상생활에서 또는 일상적으로 입는 옷.

용례:

이 예복은 일상복으로도 입을 수 있어서 실용적이다.

94. 임부복 (妊婦服) [임:부복]

한자: 妊(아이밸 임:), 婦(며느리 부), 服(옷 복)

임신한 여성이 입는 옷.

용례:

  • 배가 나오기 시작해서 임부복을 구입했다.
  • 요즘은 다양한 종류의 임부복이 나온다.

95. 자복 (自服) [자복]

한자: 自(스스로 자), 服(옷 복)

「1」저지른 죄를 자백하고 복종함.
「2」범인이 피해자에게 자기의 범죄 사실을 알리는 일. 형(刑)의 감면 사유가 될 수 있다.

용례:

  • 「1」억지 자복을 시켰다면 풀려날 가망이 없을 것일세.≪문순태, 타오르는 강≫
  • 「1」분한 생각 같아선 당장 매를 톡톡히 내려 다듬어 놓고 자복을 받았으면 싶었지만….≪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96. 작업복 (作業服) [자겁뽁]

한자: 作(지을 작), 業(업 업), 服(옷 복)

작업을 할 때에 입는 옷.

용례:

의무 참모는 줄이지 않은 품 넓은 작업복 상의의 커다란 호주머니에서 담배를 꺼내 권했다.≪서정인, 후송≫

97. 잠수복 (潛水服) [잠수복]

한자: 潛(잠길 잠), 水(물 수), 服(옷 복)

잠수부가 물속에서 작업할 때 입는 옷. 잠수모, 고무로 만든 옷, 납으로 만든 신 따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기 장치·통신 장치 따위를 갖추고 있다.

용례:

영락없이 잠수복을 입고 침투하는 괴한이었겠지.≪윤후명, 별보다 멀리≫

98. 장교복 (將校服) [장:교복]

한자: 將(장수 장(:)), 校(학교 교:), 服(옷 복)

장교가 입는 군복.

용례:

폴란드군은 카키복에다 붉은 훈장을 단 장교복 차림이었고….≪박영한, 인간의 새벽≫

99. 장복 (長服) [장복]

한자: 長(긴 장(:)), 服(옷 복)

같은 약이나 음식을 오랫동안 계속해서 먹음.

용례:

  • 원래 풍채가 좋은 데다 장복을 하는 한약이 보약인 것 같았다.≪전상국, 하늘 아래 그 자리≫
  • 돼지족발, 펄펄 뛰는 잉어, 숭어, 늙은 청둥호박, 심산유곡의 석청 등 온갖 좋은 걸 욕지기가 나게 장복을 해도 안방마님의 말라붙은 젖가슴은 불어날 척도 안 했다.≪박완서, 미망≫

100. 재건복 (再建服) [재:건복]

한자: 再(두 재:), 建(세울 건:), 服(옷 복)

오일륙 군사 정변 이후 정부에서 입도록 한 검소한 작업복. 재건 국민운동 본부에서 생활의 간소화, 합리화를 꾀할 목적으로 권장하였다.

용례:

그해 늦봄 오일륙이 나면서 모든 공무원은 재건복이란 것을 입었다.≪이상문, 황색인≫

101. 전복 (戰服) [전:복]

한자: 戰(싸움 전:), 服(옷 복)

조선 후기에, 무관들이 입던 옷. 깃, 소매, 섶이 없고 등솔기가 허리에서부터 끝까지 트여 있다. 고종 때에 소매가 넓은 옷을 못 입게 하면서 문무 관리들이 평상복으로 입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어린이들이 명절에 입기도 한다.

용례:

홍색 관 띠에 남색 전복이 구름같이 펴지면서 펄러덕거린다.≪박경리, 토지≫

102. 전투복 (戰鬪服) [전:투복]

한자: 戰(싸움 전:), 鬪(싸움 투), 服(옷 복)

본래 전투할 때 입기 위하여 만든 옷.

용례:

  • 전투복을 벗다.
  • 전투복으로 갈아입은 경찰들은 총을 겨눠 들고 조금씩 다가오고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103. 정복 (正服) [정:복]

한자: 正(바를 정(:)), 服(옷 복)

「1」의식 때에 입는 정식의 옷.
「2」학교나 관청, 회사 따위에서 정하여진 규정에 따라 입도록 한 옷.

용례:

  • 「1」행사에 맞추어 정복을 차려입다.
  • 「2」정복 경찰관.
  • 「2」헌병의 정복.
  • 「2」정복의 군인.
  • 「2」그는 정복 상의를 벗어 여자의 어깨를 덮어 주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104. 정복 (征服) [정복]

한자: 征(칠 정), 服(옷 복)

「1」남의 나라나 이민족 따위를 정벌하여 복종시킴.
「2」높은 산 따위의 매우 가기 힘든 곳을 어려움을 이겨 내고 감.
「3」다루기 어렵거나 힘든 대상 따위를 뜻대로 다룰 수 있게 됨.
「4」질병 따위를 완치할 수 있게 됨.

용례:

  • 「1」정복에 의한 영토 확장.
  • 「1」정복을 당하다.
  • 「1」정복에 나서다.
  • 「1」세계 정복의 야심을 품다.
  • 「1」피정복자에게 있어서 민족의식이란 항쟁을 촉구하는 것이 될 테지만 정복자에게 있어서의 민족의식이란 정복을 고무하는 것이 되니….≪박경리, 토지≫
  • 「2」에베레스트산의 정상 정복.
  • 「2」우리는 끝내 남극 정복에 실패하였다.
  • 「3」외국어 정복.
  • 「3」인간이 과연 우주를 정복 가능 한 대상으로 볼 수 있을까?
  • 「3」근대인은 과학을 가지는 그날부터 자연을 이용과 지배와 정복의 대상으로 보게 되었다. ≪안병욱, 사색인의 향연≫
  • 「4」암 정복.

105. 정사복 (正私服) [정:사복]

한자: 正(바를 정(:)), 私(사사(私事) 사), 服(옷 복)

정복과 사복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정사복 경찰이 경호하다.

106. 제대복 (除隊服) [제대복]

한자: 除(덜 제), 隊(무리 대), 服(옷 복)

사병이 제대할 때에 입는 군복.

용례:

비록 계급장과 명찰을 뜯어 버린 제대복이긴 하지만 군복을 입고 있는 종세를 보자 아이들은 군인이라는 것에 신이 났는지….≪최인호, 지구인≫

107. 제복 (制服) [제:복]

한자: 制(절제할 제:), 服(옷 복)

학교나 관청, 회사 따위에서 정하여진 규정에 따라 입도록 한 옷.

용례:

  • 경찰 제복.
  • 제복을 입은 군인.
  • 모자의 모양도 이상스럽고 제복에 달린 부착물이나 장신구의 풍속도 모두 눈에 선 것들뿐이다.≪이청준, 소문의 벽≫
  • 60줄의 수위장이 그 비대한 몸집에도 불구하고 멋진 제복에 어울리게 오른팔을 꺾어 올려 거수경례를 붙였다.≪이동하, 도시의 늪≫

108. 조복 (朝服) [조복]

한자: 朝(아침 조), 服(옷 복)

관원이 조정에 나아가 하례할 때에 입던 예복. 붉은빛의 비단으로 만들며, 소매가 넓고 깃이 곧다.

용례:

높고 낮은 관원들이, 모두 자기의 품에 적당한 조복으로 몸을 장식하고 뒤를 이어서 금호문 안으로 사라졌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109. 죄수복 (罪囚服) [죄:수복]

한자: 罪(허물 죄:), 囚(가둘 수), 服(옷 복)

죄수가 입는 옷.

용례:

  • 푸른 죄수복은 오전 내내 땅을 파고 흙을 일군 노동으로 덜 마른 빨래처럼 땀에 젖어 있었고….≪최인호, 지구인≫
  • 죄수라고 했지만 머리를 빡빡 깎고 죄수복을 입고 있어서 그렇게 부르는 것이지, 그들의 표정은 훈장을 주렁주렁 단 개선장군보다 더 당당하고 위엄과 영광에 넘치고 있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110. 주문복 (注文服) [주:문복]

한자: 注(부을 주:), 文(글월 문), 服(옷 복)

주문하는 사람의 체형이나 요구 사항에 맞추어 만든 옷.

용례:

주문복은 기성복에 비해 값이 비싼 것이 흠이다.

111. 중국복 (中國服) [중국뽁]

한자: 中(가운데 중), 國(나라 국), 服(옷 복)

중국 사람의 전통적인 옷. 윗옷과 바지로 나뉜 것과 발목까지 오는 장의(長衣)의 두 가지가 있다. 중류 계급 이상의 남자는 외출할 때 반드시 장의를 입었으며 여자는 긴 옷이나 의군(衣裙)을 입는다.

용례:

만주서 왔노라고 하면서 나를 찾아온 중국복을 입은 일본 여자….≪김소운, 일본의 두 얼굴≫

112. 착복 (着服) [착뽁]

한자: 着(붙을 착), 服(옷 복)

「1」옷을 입음.
「2」남의 금품을 부당하게 자기 것으로 함.

용례:

  • 「2」공금 착복.
  • 「2」기부금 착복.

113. 채복 (彩服) [채:복]

한자: 彩(채색 채:), 服(옷 복)

색깔이 고운 옷.

용례:

  • 나삼과 채복을 입은 꽃다운 처녀들.
  • 명절이 되어 화려한 고깔에 채복을 두른 농악대가 집집이 돌아가면서 지신을 밟아 주면 정성껏 차린 음식과 술이 푸짐하게 나왔었다.≪김춘복, 쌈짓골≫

114. 철복 (철服) [철복]

한자: 服(옷 복)

제철에 알맞은 옷.

용례:

그녀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새로 철복을 해 입는다.

115. 체육복 (體育服) [체육뽁]

한자: 體(몸 체), 育(기를 육), 服(옷 복)

체육을 할 때 입는 옷.

116. 추동복 (秋冬服) [추동복]

한자: 秋(가을 추), 冬(겨울 동(:)), 服(옷 복)

가을철과 겨울철에 입는 옷.

용례:

올해는 물가 상승으로 인해 추동복의 재고가 많이 쌓였다.

117. 춘추복 (春秋服) [춘추복]

한자: 春(봄 춘), 秋(가을 추), 服(옷 복)

봄철과 가을철에 입는 옷.

용례:

새로 지은 경쾌한 춘추복의 젊은이들이 봄볕처럼 명랑하게 오고 가고 한다.≪채만식, 레디메이드 인생≫

118. 출입복 (出入服) [추립뽁]

한자: 出(날[生] 출), 入(들 입), 服(옷 복)

나들이할 때 입는 옷.

용례:

그는 바둑판을 한편으로 치우고는 집에서 입는 평상복을 벗고 출입복으로 갈아입기 시작했다.≪김원일, 불의 제전≫

119. 취복 (取服) [취:복]

한자: 取(가질 취:), 服(옷 복)

죄인이 지은 죄를 사실대로 말하도록 이끌어 냄.

용례:

잡힌 죄인이 취복을 받다.

120. 탄복 (歎服) [탄:복]

한자: 歎(탄식할 탄:), 服(옷 복)

매우 감탄하여 마음으로 따름.

용례:

  • 나라에 대한 저들의 충성심에 우리는 탄복을 금치 못했다.
  • 나는 그의 풍부한 감수성에 매번 탄복을 한다.

121. 탄복 (嘆服) [탄:복]

한자: 嘆(한숨쉴[歎] 탄:), 服(옷 복)

매우 감탄하여 마음으로 따름.

용례:

  • 나라에 대한 저들의 충성심에 우리는 탄복을 금치 못했다.
  • 나는 그의 풍부한 감수성에 매번 탄복을 한다.

122. 통상복 (通常服) [통상복]

한자: 通(통할 통), 常(떳떳할 상), 服(옷 복)

평상시에 입는 옷.

용례:

입고 있는 코르덴 양복 한 벌이 내 자리옷이었고, 통상복과 나들이옷을 겸한 것이었다.≪이상, 날개≫

123. 특수복 (特殊服) [특쑤복]

한자: 特(특별할 특), 殊(다를 수), 服(옷 복)

어떤 목적을 위하여 특별히 만든 옷.

용례:

사건이 나기 전날 밤에 특수복을 입은 남자가 홀엘 찾아왔어.≪박영한, 인간의 새벽≫

124. 편복 (便服) [편복]

한자: 便(편할 편(:)), 服(옷 복)

평상시에 간편하게 입는 옷.

용례:

  • 관복을 편복으로 바꾸어 입다.
  • 강화의 한 초동으로서 그 이십 년 전생을 보낸 상감은 전생의 초라하였음을 감추기 위하여 가장 편복일 때도 익선관에 강사포 이하를 착용하는 일이 없었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125. 평복 (平服) [평복]

한자: 平(평평할 평), 服(옷 복)

「1」평상시에 입는 옷.
「2」제복이나 관복이 아닌 보통의 옷.

용례:

  • 「1」우리 남자는 거의 양복을 평복으로 삼고 있으면서, 여성들은 아직도 한복을 평복으로 삼고 있습니다.≪조풍연, 청사 수필≫
  • 「2」의용대 청년단원을 모두 철수시킨 후에 무장도 없는 평복으로 역시 무장하지 않은 경찰관을 한 사람만 데리고 정각 약속한 지점에 나타났다.≪이병주, 지리산≫

126. 평상복 (平常服) [평상복]

한자: 平(평평할 평), 常(떳떳할 상), 服(옷 복)

평상시에 입는 옷.

용례:

  • 평상복 차림.
  • 귀성할 때 가져가려고 싸 놓은 듯 평상복 속옷 등을 차곡차곡 개켜 넣은 위로 교과서, 참고서, 문학 전집 등 적지 않은 책이 들어 있었다.≪박완서, 미망≫

127. 피복 (被服) [피:복]

한자: 被(입을 피:), 服(옷 복)

「1」‘옷’을 문어적으로 이르는 말.
「2」공공 기관의 단체 제복을 이르는 말.

용례:

  • 「1」이 세제는 피복에는 손상을 입히지 않고 얼룩만 제거해 준다.
  • 「2」무기도 우리의 손으로 조달해야 하고 식량도 피복도 우리의 손으로 조달해야 하오.≪이병주, 지리산≫

128. 피정복 (被征服) [피:정복]

한자: 被(입을 피:), 征(칠 정), 服(옷 복)

정복을 당함.

용례:

  • 피정복 민족.
  • 정복자들의 유화 정책에 따라 피정복 지역의 지배층 일부가 그들의 통치에 동조하기 시작했다.

129. 하복 (夏服) [하:복]

한자: 夏(여름 하:), 服(옷 복)

여름철에 입는 옷.

용례:

  • 하복을 입고 등교하다.
  • 하복을 입기엔 아직 날이 좀 쌀쌀하다.

130. 학생복 (學生服) [학쌩복]

한자: 學(배울 학), 生(날 생), 服(옷 복)

「1」학교에서 학생들이 입도록 정한 제복.
「2」학생들이 입는 옷.

용례:

  • 「1」고등학교에 진학한 후 새 학생복을 구입했다.
  • 「2」이 가게는 주로 아동복과 학생복을 판매한다.

131. 한복 (韓服) [한:복]

한자: 韓(한국/나라 한(:)), 服(옷 복)

우리나라의 고유한 옷. 특히 조선 시대에 입던 형태의 옷을 이르며, 현재는 평상복보다는 격식을 차리는 자리나 명절, 경사, 상례, 제례 따위에서 주로 입는다. 남자는 통이 허리까지 오는 저고리에 넓은 바지를 입고 아래쪽을 대님으로 묶으며, 여자는 짧은 저고리에 여러 가지 치마를 입는다. 발에는 남녀 모두 버선을 신는다. 출입을 할 때나 예복으로 두루마기를 덧입는다.

용례:

  • 한복 한 벌을 지어 입다.
  • 한복을 곱게 차려입다.

132. 항복 (降服) [항복]

한자: 降(항복할 항), 服(옷 복)

「1」적이나 상대편의 힘에 눌리어 굴복함.
「2」소성 변형을 할 때, 물체가 외부에서 가하여지는 힘에 저항하여 그 원형을 지키려는 힘을 잃고 변형이 생기려고 함. 또는 그런 상태.
「3」부처의 힘으로 원수나 악마가 굴복함.

용례:

  • 「1」적에게 항복을 받아 내다.
  • 「1」그들은 3년 동안 저항하다 결국 항복을 결정하였다.
  • 「1」이런 판에 싸울 생각은 아니 하고, 항복부터 생각하는 자는 무슨 딴생각이 있는 것이니 죽입시다.≪홍효민, 신라 통일≫

133. 혼례복 (婚禮服) [홀례복]

한자: 婚(혼인할 혼), 禮(예도 례:), 服(옷 복)

혼례식 때에 신랑과 신부가 예복으로 입는 옷.

용례:

신랑과 신부가 전통 혼례복을 차려입고 초례청에서 마주 섰다.

134. 환자복 (患者服) [환:자복]

한자: 患(근심 환:), 者(놈 자), 服(옷 복)

병원에서 입원한 환자가 입는 옷.

용례:

간호사가 엄마의 옷을 벗기고 환자복으로 갈아입혔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135. 활동복 (活動服) [활똥복]

한자: 活(살 활), 動(움직일 동:), 服(옷 복)

일반 생활 활동을 하기에 편한 복장.

용례:

그는 퇴근하자마자 활동복으로 갈아입고 집 안 구석구석을 청소하였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服 옷 복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服 옷 복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