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3

81. 본소 (本所) [본소]

한자: 本(근본 본), 所(바 소:)

주가 되는 사무소를 지소, 분소, 출장소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용례:

본소에서 소장이 호출하였다.

82. 분소 (分所) [분소]

한자: 分(나눌 분(:)), 所(바 소:)

본부(本部)에서 갈라 따로 설치한 사무소나 영업소.

용례:

  • 분소 파견 근무.
  • 분소가 생기다.
  • 분소를 설치하다.
  • 송수신을 위한 분소를 둘 계획인데 그 분소의 책임자로서 이태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이병주, 지리산≫

83. 분향소 (焚香所) [분향소]

한자: 焚(불사를 분), 香(향기 향), 所(바 소:)

향을 피우면서 제사나 예불 의식 따위를 행하는 장소.

용례:

분향소에는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는 추모객의 발길이 이어졌다.

84. 불량개소 (不良個所) [불량개소]

한자: 不(아닐 불), 良(어질 량), 個(낱 개(:)), 所(바 소:)

어떤 물건에 있는 흠집이나 나쁜 곳.

용례:

불량개소 정정 작업.

85. 비치소 (備置所) [비:치소]

한자: 備(갖출 비:), 置(둘[措] 치:), 所(바 소:)

어떤 물건을 마련하여 갖추어 두는 곳.

용례:

화재 진압기 비치소를 늘려서 사고 예방에 대비하였다.

86. 빈소 (殯所) [빈소]

한자: 殯(빈소 빈), 所(바 소:)

상여가 나갈 때까지 관을 놓아두는 방.

용례:

  • 빈소를 지키다.
  • 빈소를 차리다.
  • 선생님의 빈소가 마련된 병원 영안실에 문상을 갔었다.
  • 그는 마루 한구석에 차려진 준의 빈소에 향을 피워 절하고 건이와 맞절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 시체는 발상 안 한 대로 침대차에 옮겨서 집으로 모셔다가 빈소를 아랫방으로 정하고 안치하였다.≪염상섭, 삼대≫

87. 사무소 (事務所) [사:무소]

한자: 事(일 사:), 務(힘쓸 무:), 所(바 소:)

사무를 보는 곳.

용례:

대전 사무소로 출장 가다.

88. 사소 (死所) [사:소]

한자: 死(죽을 사:), 所(바 소:)

죽을 곳. 또는 죽은 장소.

용례:

사소를 얻다.

89. 사업소 (事業所) [사:업쏘]

한자: 事(일 사:), 業(업 업), 所(바 소:)

어떤 사업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일정한 장소.

용례:

  • 자동차 등록 사업소.
  • 갑자기 단수가 되는 경우 관할 수도 사업소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90. 산소 (山所) [산소]

한자: 山(메 산), 所(바 소:)

「1」‘뫼’(사람의 무덤.)를 높여 이르는 말.
「2」뫼가 있는 곳.

용례:

  • 「1」한식에는 조상의 산소를 찾아 성묘를 한다.
  • 「1」나는 우산을 받쳐 들고 읍 근처의 산에 있는 어머니의 산소로 갔다.≪김승옥, 무진 기행≫
  • 「1」산소 가까이 올라갔더니, 웬 시골 아저씨 한 분이 먼저 와서 벌초를 하고 있었다.≪손창섭, 낙서족≫
  • 「2」나도 조상의 산소를 팔아먹은 데에는 분개하고 있는 터이다.≪염상섭, 만세전≫

91. 상담소 (相談所) [상담소]

한자: 相(서로 상), 談(말씀 담), 所(바 소:)

일정한 문제에 관한 질문에 답하고 의논할 수 있도록 마련한 사회 시설.

용례:

  • 법률 상담소.
  • 취업 상담소.

92. 성소 (聖所) [성:소]

한자: 聖(성인 성:), 所(바 소:)

구약 시대에 제사장이 하나님에게 제물을 바치고 의식을 베풀던 곳.

용례:

원래 장막과 함께 움직이던 성소는 가나안에 이르러서야 돌과 나무로 지어진 성전이 되어 대지에 뿌리를 내렸으며….≪이문열, 사람의 아들≫

93. 세면소 (洗面所) [세:면소]

한자: 洗(씻을 세:), 面(낯 면:), 所(바 소:)

세면할 수 있도록 한 곳.

용례:

남포행은 아직 이삼십 분이나 있는 고로 우리들은 세면소에서 세수를 하고 대합실로 나왔다.≪염상섭, 표본실의 청개구리≫

94. 세탁소 (洗濯所) [세:탁쏘]

한자: 洗(씻을 세:), 濯(씻을 탁), 所(바 소:)

돈을 받고 남의 빨래나 다림질 따위를 해 주는 곳.

용례:

큰 빨래는 세탁소에 맡기고 남편의 양말짝이나 손수건을 주무르다가 그것도 싱거우면 수를 놓곤 했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95. 소개소 (紹介所) [소개소]

한자: 紹(이을 소), 介(낄 개:), 所(바 소:)

「1」집이나 토지 따위의 매매나 임대 따위의 소개를 하는 곳.
「2」취직을 하려는 사람들에게는 적당한 일자리를 소개하고,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고용주에게는 사람을 소개하는 일을 하는 곳.

용례:

「1」값 조정을 위해 소개소 사람이 오면 내놓은 가격보다 덜한 값으로라도 성사시킬 마음으로 있었으나 허사였다.≪황순원, 신들의 주사위≫

96. 소변소 (小便所) [소:변소]

한자: 小(작을 소:), 便(똥오줌 변), 所(바 소:)

오줌을 누게 만든 곳.

용례:

오줌을 채워 오라고 내준 시험관을 들고 소변소에 가서 바지의 앞 단추를 풀어갈 때, 눈앞에서 어른거리는 허만호를 만났다.≪이상문, 황색인≫

97. 송신소 (送信所) [송:신소]

한자: 送(보낼 송:), 信(믿을 신:), 所(바 소:)

「1」유선·무선 전신의 송신을 맡은 기관.
「2」방송 전파의 송신에 관한 업무를 맡아보는 방송국의 한 부서.

98. 수리소 (修理所) [수리소]

한자: 修(닦을 수), 理(다스릴 리:), 所(바 소:)

헐거나 고장 난 물건을 고쳐 주는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곳.

용례:

농기계 수리소.

99. 수용소 (收容所) [수용소]

한자: 收(거둘 수), 容(얼굴 용), 所(바 소:)

많은 사람을 집단적으로 한곳에 가두거나 모아 넣는 곳.

용례:

  • 난민 수용소.
  • 수용소를 탈출하다.
  • 그는 적군에게 붙잡혀 여러 해 동안 수용소에 갇혀 있었다.

100. 수집소 (收集所) [수집쏘]

한자: 收(거둘 수), 集(모을 집), 所(바 소:)

「1」모은 물건 따위를 모아 두는 곳.
「2」사상자, 전쟁 포로, 낙오자, 정비 물자, 폐품 따위를 후방으로 옮기기 위하여 모아 두는 곳.

용례:

「1」넝마 수집소.

101. 숙박소 (宿泊所) [숙빡쏘]

한자: 宿(잘 숙), 泊(머무를/배댈 박), 所(바 소:)

잠을 자고 머무를 수 있는 곳.

용례:

  • 무료 숙박소.
  • 복희가 시장을 지나 숙박소들이 늘어선 어둠 가운데서 오직 한 점의 불빛을 발견했을 때….≪황석영, 영등포 타령≫

102. 숙박업소 (宿泊業所) [숙빠겁쏘]

한자: 宿(잘 숙), 泊(머무를/배댈 박), 業(업 업), 所(바 소:)

여관이나 호텔 따위와 같이 요금을 받고 손님을 숙박시키는 영업을 하는 곳.

용례:

숙박업소와 음식점을 중심으로 발달한 소읍의 역 앞 동네가 그러하듯….≪이문열, 변경≫

103. 숙소 (宿所) [숙쏘]

한자: 宿(잘 숙), 所(바 소:)

집을 떠난 사람이 임시로 묵음. 또는 그런 곳.

용례:

  • 임시 숙소.
  • 숙소를 정하다.
  • 숙소로 쓸 천막을 세우다.
  • 십구 일에는 선천 임반관에 숙소를 하고….≪박종화, 임진왜란≫

104. 안내소 (案內所) [안:내소]

한자: 案(책상 안:), 內(안 내:), 所(바 소:)

어떤 사물이나 장소에 부설되어 그 사물이나 장소를 소개하여 알려 주는 일을 맡아 하는 곳.

용례:

여행 안내소.

105. 안식소 (安息所) [안식쏘]

한자: 安(편안 안), 息(쉴 식), 所(바 소:)

편히 쉬는 곳.

용례:

영혼의 안식소.

106. 안치소 (安置所) [안치소]

한자: 安(편안 안), 置(둘[措] 치:), 所(바 소:)

「1」안전하게 잘 두는 곳.
「2」상(像), 위패, 시신 따위를 잘 모셔 두는 곳.

용례:

「2」시체 안치소.

107. 양성소 (養成所) [양:성소]

한자: 養(기를 양:), 成(이룰 성), 所(바 소:)

짧은 기간에 전문 지식을 교육하여 기술자를 기르는 곳.

용례:

  • 교원 양성소.
  • 부친한테 한자를 좀 배워 안다는 것으로 상진 영감은 측량 기사 조수 양성소에를 들어갈 수가 있었다.≪황순원, 일월≫

108. 양소 (兩所) [양:소]

한자: 兩(두 량:), 所(바 소:)

과거를 볼 때, 시험관과 과거 볼 사람을 각각 다른 곳에 수용하기 위하여 두 곳으로 나누어 마련한 과거장.

용례:

알성 무과의 초시에 양소에서 입격한 자가 겨우 40여 인이었다.≪번역 영조실록≫

109. 양잠소 (養蠶所) [양:잠소]

한자: 養(기를 양:), 蠶(누에 잠), 所(바 소:)

누에를 치는 시설이 있는 곳.

용례:

기술이는 그 봄부터 양잠소에 가서 잠박을 냇가에 나가 씻고….≪한설야, 부역≫

110. 양조소 (釀造所) [양:조소]

한자: 釀(술빚을 양), 造(지을 조:), 所(바 소:)

술이나 간장, 식초 따위를 담가 만들어 내는 공장.

용례:

양조소에는 물물이 술지게미가 많이 나왔다.≪이기영, 고향≫

111. 업소 (業所) [업쏘]

한자: 業(업 업), 所(바 소:)

사업을 벌이고 있는 장소.

용례:

  • 경찰의 단속에 적발된 업소는 모두 영업 정지 처분을 당했다.
  • 식당이나 구멍가게 같은 길거리의 웬만한 업소에는 유리문만 달렸다 하면 어디에나 극장의 큼직한 포스터를 내걸고는 했다.≪안정효, 할리우드 키드의 생애≫

112. 연구소 (硏究所) [연:구소]

한자: 硏(갈 연:), 究(연구할 구), 所(바 소:)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기관.

용례:

그는 병원 연구소에서 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113. 연락소 (連絡所) [열락쏘]

한자: 連(이을 련), 絡(이을/얽을 락), 所(바 소:)

연락을 하기 위하여 정해 둔 곳.

용례:

서울에서 내려온 동희 연락소를 찾아다닌 것이 헛수고일 줄은 뻔히 알 일이지마는….≪염상섭, 거품≫

114. 연성소 (鍊成所) [연:성소]

한자: 鍊(쇠불릴/단련할 련:), 成(이룰 성), 所(바 소:)

몸과 마음을 닦아서 일을 이루는 곳. 또는 그런 기관.

용례:

장군은 사관 연성소 설치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

115. 염색소 (染色所) [염:색쏘]

한자: 染(물들 염:), 色(빛 색), 所(바 소:)

옷이나 피륙 따위에 물들이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집.

용례:

  • 말이 세탁소지, 부대 뒷문 옆에 지어진 을생의 집은 염색소라야 옳을 정도로 매일 빨랫감이 가득가득 내걸렸다.≪한수산, 유민≫
  • 네가 생각하면 염색 공장이란 것이 읍내 극장 앞에 있는 염색소 정도로 생각할는지 모르지만 그것보다 백배 규모가 크다.≪김원일, 불의 제전≫

116. 영업소 (營業所) [영업쏘]

한자: 營(경영할 영), 業(업 업), 所(바 소:)

영업 활동을 하는 장소.

용례:

  • 국내 영업소.
  • 고속 도로 영업소를 방문해서 미납 통행료를 지불했다.

117. 영업장소 (營業場所) [영업짱소]

한자: 營(경영할 영), 業(업 업), 場(마당 장), 所(바 소:)

영업 활동을 하는 장소.

용례:

왜 남의 영업장소에서 영업을 하는 것이오?

118. 요금소 (料金所) [요:금소]

한자: 料(헤아릴 료(:)), 金(쇠 금), 所(바 소:)

「1」고속 도로나 유료 도로에서 통행료를 받는 곳.
「2」요금을 받는 곳.

용례:

「1」요금소가 가까워지자 운전자는 돈 낼 준비를 하였다.

119. 요소요소 (要所要所) [요소요소]

한자: 要(요긴할 요(:)), 所(바 소:), 要(요긴할 요(:)), 所(바 소:)

여러 중요한 장소나 지점.

용례:

  • 요소요소를 지키다.
  • 인력을 요소요소에 배치하다.

120. 요양소 (療養所) [요양소]

한자: 療(병고칠 료), 養(기를 양:), 所(바 소:)

환자들을 수용하여 요양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추어 놓은 보건 기관.

용례:

  • 결핵 요양소.
  • 우리나라엔 지금 병원이나 요양소에 수용되지 않고 집에서 자가 치료를 하고 있는 나환자 수가 대략 한 3만 정도로 추산되고 있어요.≪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所 바 소: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