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本 근본 본 - 4

131. 주민등록초본 (住民登錄抄本) [주:민등록초본]

한자: 住(살 주:), 民(백성 민), 登(오를 등), 錄(기록할 록), 抄(뽑을 초), 本(근본 본)

주민 등록 원본 가운데 필요한 부분만을 복사한 증명 서류.

132. 주자본 (鑄字本) [주ː자본]

한자: 鑄(쇠불릴 주), 字(글자 자), 本(근본 본)

쇠붙이를 녹여 부어 만든 활자로 짠 판. 또는 그 판으로 인쇄한 책.

용례:

  • 이 복간본은 그 바탕이 된 주자본이 고려 고종 19년(1232) 강화 천도 이전에 이미 인출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연합뉴스 2002년 3월≫
  • 직지심체요절은 그 내용도 내용이지만 1377년 간행된 세계 최고(最古)의 주자본으로 더욱 유명하다.≪내일신문 2006년 5월≫

133. 증본 (證本) [증본]

한자: 證(증거 증), 本(근본 본)

입증 자료가 되는 책.

용례:

그 섬이 우리나라 영토임을 입증해 줄 만한 증본이 발견되었다.

134. 증정본 (贈呈本) [증정본]

한자: 贈(줄[送] 증), 呈(드릴 정), 本(근본 본)

지은이나 펴낸이가 선배나 친지에게 인사나 성의 표시로 주는 책.

용례:

그는 출판 기념회에 가서 지은이의 친필 서명이 든 증정본을 받았다.

135. 지구본 (地球本) [지구본]

한자: 地(따 지), 球(공 구), 本(근본 본)

지구를 본떠 만든 모형. 남북의 축을 23.5도로 기울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한 둥근 통 위에 지구 표면의 해륙과 산천, 경선과 위선, 지명 따위를 그려 넣었다.

136. 진본 (眞本) [진본]

한자: 眞(참 진), 本(근본 본)

저자가 직접 쓴 책이나 화가가 직접 그린 그림. 또는 처음 박아 낸 판본.

용례:

  • 진본으로 판명되다.
  • 그동안 공개되지 않던 진본이 일반에 공개되었다.

137. 쪽대본 (쪽臺本) [쪽때본]

한자: 臺(대 대), 本(근본 본)

드라마 따위에서, 시간에 쫓긴 작가가 급하게 보낸, 바로 찍을 장면의 대본.

용례:

  • 연기자는 당일 쪽대본을 받아 들고 캐릭터의 분위기를 파악하기는커녕 연기를 하느라 급급하다.≪한국일보 2001년 4월≫
  • 사고도 많았지만 쪽대본 촬영 속에서도 무사히 막을 내렸다.≪연합뉴스 2011년 2월≫

138. 채록본 (採錄本) [채ː록뽄]

한자: 採(캘 채:), 錄(기록할 록), 本(근본 본)

기록으로 남아 있지 않은 신화나 설화, 민요 따위를 기억하고 있는 제보자를 찾아가 이야기나 노래 따위를 듣고 난 후, 그 구술 내용을 적거나 녹음해 둔 자료나 책.

용례:

  • 특히 O 박사를 비롯한 조사 팀은 지금까지 44개의 채록본이 알려진 바리공주의 경우 OOO본과 OOO본의 두 가지를 새로 찾아냈다.≪연합뉴스 1999년 10월≫
  • 그는 다양한 채록본을 수집, 종합해 에밀레종 설화의 원형을 재구성했다.≪한국일보 2007년 4월≫

139. 초고본 (草稿本) [초고본]

한자: 草(풀 초), 稿(원고/볏짚 고), 本(근본 본)

초벌로 쓴 원고를 묶어 간행한 책.

용례:

  • 이번에 O 교수가 이본 중 초고본을 오독한 부분을 바로잡고, 초고본 중 알 수 없었던 것을 새로 찾아낸 부분이 80여 곳에 이른다.≪동아일보 2009년 2월≫
  • O 씨가 기탁한 유물 가운데 경북도 유형 문화재 365호로 지정된 경산지(京山志) 초고본은 조선 시대 성주의 읍지인 경산지의 초고본으로 지방사 연구에 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연합뉴스 2010년 8월≫

140. 초본 (抄本) [초본]

한자: 抄(뽑을 초), 本(근본 본)

원본에서 필요한 부분만 뽑아서 베낀 책이나 문서.

용례:

한두 번이 아니고, 여러 차례 계목을 올려서 사또께 군사를 더 줍시라고 품하였습니다. 그때 계목을 올린 초본이 여러 장 소인에게 있사옵니다.≪박종화, 임진왜란≫

141. 초본 (草本) [초본]

한자: 草(풀 초), 本(근본 본)

지상부가 연하고 물기가 많아 목질을 이루지 않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한해살이, 여러해살이 따위로 나뉜다.

용례:

장미를 비롯한 다년생 초본들의 달고 싱싱한 냄새가 한데 얽혀….≪최인훈, 회색인≫

142. 초조본 (初雕本) [초조본]

한자: 初(처음 초), 雕(아로새길 조), 本(근본 본)

여러 이본 가운데 맨 처음 판목을 새겨 찍은 책.

용례:

  • 국내에서 대량의 초조본이 발견되었다.
  • 연구진은 초조본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43. 총자본 (總資本) [총ː자본]

한자: 總(다[皆] 총:), 資(재물 자), 本(근본 본)

자본의 전체를 합한 금액.

용례:

  • 증시 침체로 직접 금융 시장으로부터의 자금 조달이 여의치 못함에 따라 총자본에서 외부 자금이 차지하는 비율인 차입금 의존도는 89년의 38.5%에서 42.8%로 높아졌다.≪연합뉴스 1991년 6월≫
  • 국내 총투자율은 설비 투자를 중심으로 총자본 형성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 분기 28.4%에서 29.4%로 올라섰다.≪대전일보 2010년 9월≫

144. 촬영본 (撮影本) [촤령본]

한자: 撮(모을/사진찍을 촬), 影(그림자 영:), 本(근본 본)

사람, 사물, 풍경 따위를 사진이나 영화, 드라마로 찍어 놓은 영상물.

용례:

  • 10월 24일 밤 한 20~30분 정도밖에 안 되는 촬영본을 거의 수백 번은 더 보았다.≪오마이뉴스 2003년 2월≫
  • 따라서 온라인상에서 녹음본과 촬영본이 교환, 거래되지 않도록 법규를 강화하고 단속하는 것이 필요하다.≪경향신문 2012년 9월≫

145. 최고본 (最古本) [최ː고본]

한자: 最(가장 최:), 古(예 고:), 本(근본 본)

가장 오래된 문헌.

용례:

  • 고려 때 판본이 발견되지 않아 태조 3년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판본이 현재 남아 있는 최고본이다.≪한국일보 2002년 7월≫
  • 세종 대왕이 훈민정음 창제의 뜻을 밝힌 의 현존 최고본은 세조 때 간행한 ≪월인석보≫에 실려 있습니다.≪조선일보 2010년 5월≫

146. 최종본 (最終本) [최ː종본]

한자: 最(가장 최:), 終(마칠 종), 本(근본 본)

수정 따위를 하여 고친 가장 마지막의 책이나 문서.

용례:

  • OO는 성장 보고서 최종본에서 정보 통신 기술, 노동력 활용도, 노동력의 질, 다요소 생산성 등이 경제 성장 격차를 가져온 핵심 요인이라고 밝혔다.≪동아일보 2001년 5월≫
  • 회사 관계자는 두 달여 만에 1차 편집본을 완성하고 수정을 거쳐 OO 개막 한 달 전에 최종본이 나왔지만 음향 문제로 100% 재편집을 하는 아픔도 겪었다고 후일담을 전했다.≪이투데이 2012년 5월≫

147. 탁본 (拓本) [탁뽄]

한자: 拓(넓힐 척), 本(근본 본)

비석, 기와, 기물 따위에 새겨진 글씨나 무늬를 종이에 그대로 떠냄. 또는 그렇게 떠낸 종이. 탁본할 곳에 흡습성(吸濕性)이 있는 종이를 대고 물을 뿌려 붙인 후 거의 마르면 솜뭉치에 먹을 묻혀 두드리는 습탁(濕拓)과, 흡습성이 없는 얇은 종이를 대고 탁본용의 연한 먹으로 종이 위를 문지르는 건탁(乾拓)이 있다.

용례:

탁본을 뜨다.

148. 탈일본 (脫日本) [타릴본]

한자: 脫(벗을 탈), 日(날 일), 本(근본 본)

일본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남. 또는 일본의 영향에서 벗어남.

용례:

  • 일본 경제 연구 센터는 중국과 아시아 국가의 추격에 밀리고 생산 기지 탈일본이 계속될 경우 2005년까지 수입은 27% 늘어나는 반면 수출은 2%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한국경제 2001년 12월≫
  • 실제로 한국의 소재·부품·장비업계는 ‘탈일본’에 성공했을까.≪국민일보 2022년 4월≫

149. 탈자본 (脫資本) [탈자본]

한자: 脫(벗을 탈), 資(재물 자), 本(근본 본)

자본에 의한 논리나 방식 따위에서 벗어남.

용례:

  • 최근 머니 무브로 대표되는 은행권의 탈자본 현상은 은행 스스로 초래한 측면이 적지 않다.≪이데일리 2008년 1월≫
  • 서구에서 순수, 자율성, 전문가 논리는 ‘탈자본’, ‘반속물성’의 모토로 전개되지만, 우리에게 순수, 자율성은 ‘탈정치’를 모토로 전개된다.≪상허학회, 1920년대 문학의 재인식, 깊은샘, 2001년≫

150. 탑본 (搨本) [탑뽄]

한자: 搨(베낄 탑), 本(근본 본)

비석, 기와, 기물 따위에 새겨진 글씨나 무늬를 종이에 그대로 떠냄. 또는 그렇게 떠낸 종이. 탁본할 곳에 흡습성(吸濕性)이 있는 종이를 대고 물을 뿌려 붙인 후 거의 마르면 솜뭉치에 먹을 묻혀 두드리는 습탁(濕拓)과, 흡습성이 없는 얇은 종이를 대고 탁본용의 연한 먹으로 종이 위를 문지르는 건탁(乾拓)이 있다.

용례:

탑본을 뜨다.

151. 토착자본 (土着資本) [토착짜본]

한자: 土(흙 토), 着(붙을 착), 資(재물 자), 本(근본 본)

외부로부터 유입된 것이 아니라 한 국가나 공동체 내에서 자생적으로 생겨나 투자되고 운용되는 자본.

용례:

  • 한국 영화의 호황은 토착 자본으로 시장을 지킨 개척자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국민일보 2003년 3월≫
  • 공산주의 시절에 국영으로 운영됐던 동독 기업들을 민영화하는 과정에서 서독 투자가들만 몰려들면서 동독의 토착 자본은 육성되지 못했고 서독 기업들은 인수한 동독 기업을 분할해 팔아먹는 사태가 빚어졌다.≪헤럴드경제 2009년 11월≫

152. 통합본 (統合本) [통ː합뽄]

한자: 統(거느릴 통:), 合(합할 합), 本(근본 본)

둘 이상의 저서를 하나로 합쳐 편찬한 책.

용례:

  • 식품 의약품 안전청은 의약품 공정서 중 하나인 ‘대한 약전 외 의약품 등 기준’에 대해 추보 통합본을 편찬해 발간한다고 11일 밝혔다.≪이비엔 2010년 8월≫
  • 중국 관세 무역 연구회는 지난해 1년 동안 발간된 OO을 모아 통합본으로 발간한다.≪아주경제 2012년 1월≫

153. 파본 (破本) [파:본]

한자: 破(깨뜨릴 파:), 本(근본 본)

제본이나 인쇄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손된 책.

용례:

파본은 바꾸어 드립니다.

154. 판본 (版本) [판본]

한자: 版(판목 판), 本(근본 본)

목판으로 인쇄한 책.

용례:

완결된 나관중의 경이로운 작업 뒤에도 ≪삼국지≫는 여러 판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155. 판본 (板本) [판본]

한자: 板(널 판), 本(근본 본)

목판으로 인쇄한 책.

용례:

완결된 나관중의 경이로운 작업 뒤에도 ≪삼국지≫는 여러 판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156. 편집본 (編輯本) [편집뽄]

한자: 編(엮을 편), 輯(모을 집), 本(근본 본)

감독의 의도에 따라 일부 내용을 삭제하거나 덧붙인 영화 필름, 녹음테이프, 문서 따위.

용례:

  • 마지막 편집본을 보면서도 울었고 지난 17일 첫 일반 시사회장에서도 울었다.≪일간스포츠 2000년 5월≫
  • OOO 감독과 제작 투자사 양측의 이견이 생기게 된 것은 시나리오와 편집본에 대한 해석 차이 때문이다.≪티브이데일리 2012년 5월≫

157. 표본 (標本) [표본]

한자: 標(표할 표), 本(근본 본)

「1」본보기로 삼을 만한 것.
「2」생물의 몸 전체나 그 일부에 적당한 처리를 가하여 보존할 수 있게 한 것.
「3」여러 통계 자료를 포함하는 집단 속에서 그 일부를 뽑아내어 조사한 결과로써 본디의 집단의 성질을 추측할 수 있는 통계 자료.

용례:

  • 「1」그를 성공의 표본으로 삼다.
  • 「1」그의 선행은 만인의 표본이 되었다.
  • 「1」그녀가 숨질 마지막 순간까지 몇 번이고 상경해서 고심참담 그녀를 설득시켜 보려고 부심하던, 이 세상 성실성의 표본 같던 그 얼굴을 나는 잊어버릴 수가 없다.≪이제하, 유자약전≫
  • 「2」유 선생은 화초 표본이 진열되어 있는 곳으로 가서 진달래꽃 표본을 한 장 집어 들었다.≪하근찬, 붉은 언덕≫

158. 필사본 (筆寫本) [필싸본]

한자: 筆(붓 필), 寫(베낄 사), 本(근본 본)

손으로 써서 만든 책.

용례:

  • 판소리계 소설인 <춘향전>은 필사본이나 판본으로 된 이본들이 120여 종 있다.
  • 효원은 곧잘 밤을 밝혀 필사본을 썼다. 물론 궁체 글씨였다.≪최명희, 혼불≫

159. 한글본 (한글本) [한ː글본]

한자: 本(근본 본)

다른 언어로 된 글의 내용을 한글로 풀어서 쓴 책이나 문서.

용례:

  • 한·미 자유 무역 협정 협정문 한글본에서 무더기로 오류가 발견됐다.≪국민일보 2011년 6월≫
  • 협정문 한글본이 오류투성이인 모양이다.≪내일신문 2011년 12월≫

160. 한문본 (漢文本) [한:문본]

한자: 漢(한수/한나라 한:), 文(글월 문), 本(근본 본)

한자로 표기된 책.

용례:

한문본 소설.

161. 해례본 (解例本) [해:례본]

한자: 解(풀 해:), 例(법식 례:), 本(근본 본)

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자와 모음자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우리나라 국보이다.

162. 해외자본 (海外資本) [해:외자본]

한자: 海(바다 해:), 外(바깥 외:), 資(재물 자), 本(근본 본)

외국이나 외국인이 투자한 자본. 주식, 사채, 채권, 대부금 따위의 형태가 있다.

용례:

  • 미국에 진출한 방대한 해외 자본은 그동안 미국의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연합뉴스 1990년 6월≫
  • 이곳에 해외 자본을 유치하고 외국 기업의 참여를 이끌어 내 한반도의 새로운 경제 성장판과 평화의 안전판을 동시에 만들자는 것이 법안의 핵심이다.≪중부일보 2021년 1월≫

163. 호적등본 (戶籍謄本) [호:적뜽본]

한자: 戶(집 호:), 籍(문서 적), 謄(베낄 등), 本(근본 본)

호적법에서, 호적 원본의 전부를 복사한 증명 문서를 이르던 말.

용례:

호적 등본을 떼다.

164. 호적원본 (戶籍原本) [호:적원본]

한자: 戶(집 호:), 籍(문서 적), 原(언덕 원), 本(근본 본)

호적법에서, 호적 사무를 관장하는 행정 관청에서 맨 처음 작성한 호적부를 이르던 말.

165. 호적초본 (戶籍抄本) [호:적초본]

한자: 戶(집 호:), 籍(문서 적), 抄(뽑을 초), 本(근본 본)

호적법에서, 호적 원본에 기재된 것 가운데 지정된 사람의 기록만 뽑아서 베낀 증명 문서를 이르던 말.

166. 활자본 (活字本) [활짜본]

한자: 活(살 활), 字(글자 자), 本(근본 본)

활판으로 인쇄한 책. 사본(寫本)이나 목판본과 구별할 때에 쓰는 말이다.

167. 훈민정음해례본 (訓民正音解例本) [훈ː민정:음해:례본]

한자: 訓(가르칠 훈:), 民(백성 민), 正(바를 정(:)), 音(소리 음), 解(풀 해:), 例(법식 례:), 本(근본 본)

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과 모음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훈민정음’이다.

168. 희귀본 (稀貴本) [히귀본]

한자: 稀(드물 희), 貴(귀할 귀:), 本(근본 본)

드물어서 매우 진귀한 책.

169. 희본 (稀本) [히본]

한자: 稀(드물 희), 本(근본 본)

보기 드문 귀한 책.

용례:

  • 그는 어렵게 희본을 구입하였다.
  • 그 책은 그 당시 보기 드문 희본이었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本 근본 본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本 근본 본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本 근본 본 - 3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