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병안 (病眼) [병:안]
한자: 病(병 병:), 眼(눈 안:)
병들어 건강하지 못한 눈.
47. 보안 (保眼) [보:안]
한자: 保(지킬 보(:)), 眼(눈 안:)
눈을 보호함.
용례:
보안을 위해서는 책과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48. 복시안 (複視眼) [복씨안]
한자: 複(겹칠 복), 視(볼 시:), 眼(눈 안:)
한 물체가 둘로 겹쳐서 보이는 눈.
49. 복안 (複眼) [보간]
한자: 複(겹칠 복), 眼(눈 안:)
홑눈이 벌집 모양으로 여러 개 모여 된 눈. 절지동물이나 다모강 따위에서 볼 수 있다. 여러 방향에 있는 물체의 형태를 동시에 식별할 수 있으며 곤충은 색채를 판별할 수 있다.
50. 봉안 (鳳眼) [봉:안]
한자: 鳳(봉새 봉:), 眼(눈 안:)
「1」봉황의 눈.
「2」봉황의 눈같이 가늘고 길며 눈초리가 위로 째지고 붉은 기운이 있는 눈. 귀상(貴相)으로 여긴다.
용례:
- 「2」봉안을 부릅뜨다.
- 「2」이순신 장군은 말을 마치자 기가 막혀서 봉안을 스르르 감아 버린다.≪박종화, 임진왜란≫
- 「2」적토마 비껴 타고 삼각수를 거스릅시고 봉안을 크게 뜹시고….≪최일남, 거룩한 응달≫
51. 비평안 (批評眼) [비:평안]
한자: 批(비평할 비:), 評(평할 평:), 眼(눈 안:)
사물을 비평하는 안목이나 능력.
용례:
- 그는 미술에 대한 뛰어난 비평안을 가졌다.
- 당시로서는 그가 상당한 비평안을 가진 평론가로 알려져 있었다.
52. 사시안 (斜視眼) [사시안]
한자: 斜(비낄 사), 視(볼 시:), 眼(눈 안:)
양쪽 눈의 방향이 같은 방향이 아니어서, 정면을 멀리 바라보았을 때에 양쪽 눈의 시선이 평행하게 되지 아니하는 상태. 눈알 자체는 온전하나 동안근에 이상이 생겨서 나타나는 것으로, 변위된 시선의 방향에 따라 내사시, 외사시, 상사시, 하사시 따위로 나눈다.
용례:
아기를 창 가까이 밝은 곳에 누이지 않는 것은 눈동자가 서로 모여 사시안이 될까 두려워하는 것이지요.≪최명희, 혼불≫
53. 사안 (史眼) [사:안]
한자: 史(사기(史記) 사:), 眼(눈 안:)
역사를 이해하는 안목.
54. 사안 (邪眼) [사안]
한자: 邪(간사할 사), 眼(눈 안:)
사악한 눈. 또는 그런 눈의 표정.
55. 사안 (斜眼) [사안]
한자: 斜(비낄 사), 眼(눈 안:)
곁눈질하면서 흘겨보는 눈.
56. 산안 (山眼) [사난]
한자: 山(메 산), 眼(눈 안:)
풍수지리에서, 묏자리의 좋고 나쁨을 분간하는 능력.
용례:
우리 동네 문 서방 말이야, 그 사람도 꽤 산안이 높은 지관이 아닌가.≪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57. 상안 (象眼) [상안]
한자: 象(코끼리 상), 眼(눈 안:)
연판(鉛版)이나 동판(銅版) 따위에서 수정할 곳을 도려내고 옳은 활자를 끼워 판을 고치는 일.
58. 선구안 (選球眼) [선:구안]
한자: 選(가릴 선:), 球(공 구), 眼(눈 안:)
야구에서, 투수가 던진 공 가운데 볼과 스트라이크를 가려내는 타자의 능력.
59. 세안 (洗眼) [세:안]
한자: 洗(씻을 세:), 眼(눈 안:)
눈을 씻음.
60. 속안 (俗眼) [소간]
한자: 俗(풍속 속), 眼(눈 안:)
일반 사람들의 안목을 약간 낮잡아 이르는 말.
61. 쇠안 (衰眼) [쇠안]
한자: 衰(쇠할 쇠), 眼(눈 안:)
시력이 약해진 눈.
62. 수안 (水眼) [수안]
한자: 水(물 수), 眼(눈 안:)
잿물에 생긴 작은 기포.
63. 시안 (詩眼) [시안]
한자: 詩(시 시), 眼(눈 안:)
「1」시를 볼 줄 아는 안목과 식견.
「2」한시(漢詩)에서, 잘되고 못됨을 결정짓는 중요한 하나의 글자. 오언(五言)에서 세 번째 글자, 칠언(七言)에서 다섯 번째 글자를 이른다.
용례:
- 「1」시안이 깊다.
- 「1」그는 남다른 시안으로 평론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64. 신문안 (新聞眼) [신무난]
한자: 新(새 신), 聞(들을 문(:)), 眼(눈 안:)
보통 사람이 무심히 넘겨 버리는 곳에서 보도 자료를 발견하는 기민한 안식(眼識).
용례:
역시 그는 기자라서 그런지 뛰어난 신문안을 지녔다.
65. 신안 (神眼) [시난]
한자: 神(귀신 신), 眼(눈 안:)
「1」지술(地術)이나 관상술에 정통한 눈.
「2」귀신을 능히 볼 수 있는 눈.
용례:
「1」모든 사람 눈에는 그저 거기가 거기 같은 지형을 보고도, 명사 신안은 땅의 정기가 모인 혈의 자리를 알아보고….≪최명희, 혼불≫
66. 심미안 (審美眼) [심미안]
한자: 審(살필 심(:)), 美(아름다울 미(:)), 眼(눈 안:)
아름다움을 살펴 찾는 안목.
용례:
천년을 내려온 것처럼 안정된 구도에 익숙해진 나의 심미안에 조악한 원색으로 처바른 반닫이는 너무도 생급스러웠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67. 심안 (心眼) [시만]
한자: 心(마음 심), 眼(눈 안:)
사물을 살펴 분별하는 능력. 또는 그런 작용.
용례:
깡마르고 창백한 얼굴이 더욱 영적으로 돋보이고 육안으로 고르는 게 아니라 심안으로 고른다 싶게 그 일에 힘 안 들이고 몰입해 있었다.≪박완서, 엄마의 말뚝≫
68. 쌍안 (雙眼) [쌍안]
한자: 雙(두/쌍 쌍), 眼(눈 안:)
양쪽의 두 눈.
69. 아안 (鵝眼) [아안]
한자: 鵝(거위 아), 眼(눈 안:)
중국 남조 송나라 때 주조한, 구멍이 있는 쇠돈.
70. 애안 (愛眼) [애:안]
한자: 愛(사랑 애(:)), 眼(눈 안:)
부처의 자비로운 눈.
71. 애안 (礙眼) [애안]
한자: 礙(거리낄 애:), 眼(눈 안:)
눈에 거슬림.
용례:
비록 실적이 어떠한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전후의 거조(擧條)가 모두 애안에 관계되니, 따로 처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번역 순조실록≫
72. 양안 (兩眼) [양:안]
한자: 兩(두 량:), 眼(눈 안:)
양쪽의 두 눈.
73. 양안 (養眼) [양:안]
한자: 養(기를 양:), 眼(눈 안:)
눈을 보호하는 것.
74. 어안 (魚眼) [어안]
한자: 魚(고기/물고기 어), 眼(눈 안:)
「1」물고기의 눈.
「2」물이 끓어오를 때 생기는 물고기의 눈만 한 거품을 이르는 말.
75. 업안 (業眼) [어반]
한자: 業(업 업), 眼(눈 안:)
전생의 업(業)에 의하여 가지게 되는 중생의 눈.
76. 열안 (悅眼) [여란]
한자: 悅(기쁠 열), 眼(눈 안:)
눈을 즐겁게 함. 또는 사물을 보고 즐김.
77. 열안 (閱眼) [여란]
한자: 閱(볼[覽] 열), 眼(눈 안:)
잠깐 열람함.
78. 열안 (熱眼) [여란]
한자: 熱(더울 열), 眼(눈 안:)
붉게 충혈된 눈.
79. 영안 (靈眼) [영안]
한자: 靈(신령 령), 眼(눈 안:)
영묘한 눈. 흔히 영적으로 살펴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을 이른다.
용례:
육안에서 벗어나 영안으로 세상의 이치를 바라보자.
80. 옥안 (玉眼) [오간]
한자: 玉(구슬 옥), 眼(눈 안:)
「1」아름다운 눈.
「2」수정, 주옥, 유리 따위를 끼워 박은 불상 등의 눈.
81. 외투안 (外套眼) [외:투안]
한자: 外(바깥 외:), 套(씌울 투), 眼(눈 안:)
조개와 같은 연체동물의 외투막가에 있는 눈. 짧은 자루 모양으로 외투막에 이어져 있다.
82. 요안 (腰眼) [요안]
한자: 腰(허리 요), 眼(눈 안:)
허리의 양옆 우묵하게 들어간 부분.
83. 우안 (牛眼) [우안]
한자: 牛(소 우), 眼(눈 안:)
「1」소의 눈.
「2」어린아이에게 녹내장이 생겨서 눈이 소의 눈처럼 커다랗게 되는 증상. 또는 그 눈.
84. 우안 (右眼) [우:안]
한자: 右(오를/오른(쪽) 우:), 眼(눈 안:)
오른쪽 눈.
85. 원시안 (遠視眼) [원:시안]
한자: 遠(멀 원:), 視(볼 시:), 眼(눈 안:)
가까이 있는 물체를 잘 볼 수 없는 눈.
86. 유병안 (有柄眼) [유:병안]
한자: 有(있을 유:), 柄(자루 병:), 眼(눈 안:)
눈자루 끝에 달린 눈. 새우·게·가재·달팽이의 눈처럼 긴 눈자루 끝에 달려서, 눈자루의 운동으로 자유롭게 여러 방향을 볼 수 있는 눈을 이른다.
87. 육안 (肉眼) [유간]
한자: 肉(고기 육), 眼(눈 안:)
「1」안경이나 망원경, 현미경 따위를 이용하지 아니하고 직접 보는 눈.
「2」식견 없이 단순히 표면적인 현상만을 보는 것.
「3」오안의 하나. 사람의 육신에 갖추어진 눈이다. 단지 눈에 보이는
것만을 볼 수 있다.
용례:
- 「1」태양의 흑점은 육안으로는 볼 수 없다.
- 「1」이 유리관 안에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다량의 중금속 불순물이 떠돌고 있을 것이다.≪김원일, 도요새에 관한 명상≫
88. 의안 (義眼) [의:안]
한자: 義(옳을 의:), 眼(눈 안:)
만들어 박은 인공적인 눈알. 유리, 합성수지 따위로 만든다.
용례:
곧장 서울로 데리고 올라가서 빠진 눈구멍에 의안도 끼워 주었으며….≪홍성원, 육이오≫
89. 일척안 (一隻眼) [일처간]
한자: 一(한 일), 隻(외짝 척), 眼(눈 안:)
「1」한쪽이 먼 눈.
「2」사물을 간파하는 비범한 식견.
90. 입안 (入眼) [이반]
한자: 入(들 입), 眼(눈 안:)
「1」의안(義眼)을 끼워 넣음. 또는 그 의안.
「2」바라는 것을 이룸.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眼 눈 안: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眼 눈 안: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