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3

81. 속정 (속情) [속:쩡]

한자: 情(뜻 정)

「1」비밀한 사정이나 내용.
「2」은근하고 진실한 정.

용례:

  • 「1」남의 속정을 알아내려 하다.
  • 「2」속정을 주다.
  • 「2」무뚝뚝한 그도 차차 사귈수록 속정이 깊다는 것을 알았다.

82. 속정 (俗情) [속쩡]

한자: 俗(풍속 속), 情(뜻 정)

「1」명예와 이익을 바라는 세속적인 생각.
「2」세간의 인정.

용례:

「1」다만 속정에 물들지 않은 순진한 그 마음씨가 좋았을 뿐이다.≪계용묵, 유앵기≫

83. 속표정 (속表情) [속:표정]

한자: 表(겉 표), 情(뜻 정)

겉보기에 잘 드러나지 아니하는, 속에 깔린 표정.

84. 수정 (輸情) [수정]

한자: 輸(보낼 수), 情(뜻 정)

「1」자기 나라의 내부 형편을 적국에 알려 줌.
「2」죄인이 범죄 사실을 낱낱이 실토함.

85. 숙정 (宿情) [숙쩡]

한자: 宿(잘 숙), 情(뜻 정)

본디의 마음.

86. 순정 (純情) [순정]

한자: 純(순수할 순), 情(뜻 정)

순수한 감정이나 애정.

용례:

  • 순정을 바쳐 사랑하다.
  • 그는 그녀의 어린아이와 같은 순정에 감동했다.

87. 숭정 (崇情) [숭정]

한자: 崇(높을 숭), 情(뜻 정)

속되지 않고 품위 있는 마음.

88. 시정 (詩情) [시정]

한자: 詩(시 시), 情(뜻 정)

시적인 정취.

용례:

  • 가을 들녘을 보며 시정을 느끼는 사람이 많다.
  • 자기는 남편도 간부도 다 놓친 채 홀로 흥겹지도 서럽지도 않은 시정에 잠겨 있다.≪유주현, 하오의 연가≫

89. 신정 (新情) [신정]

한자: 新(새 신), 情(뜻 정)

새로 사귄 정.

용례:

여보게, 눈 흘기지 말게. 신정은 여구하고 구정은 여신해야 쓰는 법일세.≪홍명희, 임꺽정≫

90. 실정 (實情) [실쩡]

한자: 實(열매 실), 情(뜻 정)

실제의 사정이나 정세.

용례:

  • 실정에 맞다.
  • 실정에 어둡다.
  • 실정을 모르다.
  • 실정을 보고하다.
  • 실정이 여의치 않다.
  • 국내의 실정에 밝다.
  • 백여 호를 통틀어 소를 가진 집은 자작농 세 가구와 소작농 두 가구가 전부였다. 그런 실정이다 보니 아직까지 새 이엉을 못 올린 집이 태반이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91. 실토정 (實吐情) [실토정]

한자: 實(열매 실), 吐(토할 토(:)), 情(뜻 정)

사정이나 심정을 솔직하게 말함.

용례:

  • 내 사정을 누구한테 실토정을 하겠는가?
  • 종술이로부터 실토정을 듣고도 운암댁은 전혀 놀라지 않았다.≪윤흥길, 완장≫

92. 실통정 (實通情) [실통정]

한자: 實(열매 실), 通(통할 통), 情(뜻 정)

실제의 사정이나 심정을 솔직하게 말함.

93. 심성정 (心性情) [심성정]

한자: 心(마음 심), 性(성품 성:), 情(뜻 정)

타고난 마음씨.

94. 심정 (心情) [심정]

한자: 心(마음 심), 情(뜻 정)

「1」마음속에 품고 있는 생각이나 감정.
「2」마음을 쓰는 태도.
「3」좋지 않은 심사.

용례:

  • 「1」솔직한 심정을 털어놓다.
  • 「1」심정이 상하다.
  • 「1」사업에 실패하자 지푸라기라도 잡겠다는 심정으로 포장마차를 시작했다.
  • 「1」제가 이렇게 악담을 퍼붓는 심정도 넉넉히 짐작하시리라 믿습니다.≪최인훈, 구운몽≫
  • 「2」곧은 심정.
  • 「2」그 사람은 심정이 착해서 마음에 든다.
  • 「2」당신네의 사랑은 이 못된 놈의 비틀어진 심정도 뒤흔들어 놓고야 말았소.≪현진건, 적도≫
  • 「3」영권이 저는 색시가 없는 게 아무래도 심정이 나는 모양이다.≪이정환, 샛강≫

95. 심정 (深情) [심:정]

한자: 深(깊을 심), 情(뜻 정)

「1」깊은 정.
「2」본심을 깊이 숨김. 또는 그런 본심.

96. 악감정 (惡感情) [악깜정]

한자: 惡(악할 악), 感(느낄 감:), 情(뜻 정)

남에게 품는 나쁜 감정.

용례:

  • 악감정을 품다.
  • 동근이를 두고 느끼는 특별한 악감정 따위는 나에게 없었다.≪윤흥길, 무지개는 언제 뜨는가≫
  • 이야기에 재미를 붙인 장 서방은, 속에 술도 들어가고 해서 그랬던지 김 서방한테 품은 악감정은 다 풀어진 모양이다.≪박경리, 토지≫

97. 안정 (顔情) [안정]

한자: 顔(낯 안:), 情(뜻 정)

여러 차례 대면하여 생기는 정.

98. 알정 (遏情) [알쩡]

한자: 遏(막을 알), 情(뜻 정)

맺은 정분을 끊음.

99. 애정 (哀情) [애정]

한자: 哀(슬플 애), 情(뜻 정)

불쌍하게 여기는 마음. 또는 구슬픈 심정.

용례:

엎드려 부음을 들으니, 애호(哀號)가 망극하여 삼가 애정을 펴고….≪번역 세조실록≫

100. 애정 (愛情) [애:정]

한자: 愛(사랑 애(:)), 情(뜻 정)

「1」사랑하는 마음.
「2」남녀 간에 서로 그리워하는 마음. 또는 그런 일.

용례:

  • 「1」바둑에 대한 애정.
  • 「1」애정 어린 손길.
  • 「1」그는 자신이 운영하는 서점에 큰 애정을 가지고 있다.
  • 「2」애정을 고백하다.
  • 「2」그들은 직장 동료로 만나서 서로 애정을 느끼고 결혼까지 하게 되었다.
  • 「2」남녀 간의 애정은 이미 바랄 길 없다 하더라도 오누이같이 자란 정이야 없다 할 수 있겠는가.≪박경리, 토지≫

101. 야정 (野情) [야:정]

한자: 野(들[坪] 야:), 情(뜻 정)

「1」소박한 마음.
「2」소박한 취미.

102. 억정 (抑情) [억쩡]

한자: 抑(누를 억), 情(뜻 정)

욕정(慾情)을 억누름.

103. 억하심정 (抑何心情) [어카심정]

한자: 抑(누를 억), 何(어찌 하), 心(마음 심), 情(뜻 정)

도대체 무슨 심정이냐는 뜻으로, 무슨 생각으로 그러는지 알 수 없거나 마음속 깊이 맺힌 마음을 이르는 말.

용례:

  • 억하심정을 품다.
  • 비용을 맡겠다는 사람만 나서면야 경관들도 억하심정으로 피병원으로 끌어가랴 싶어서….≪염상섭, 무화과≫
  • 어머니는 아들의 흔연스러운 태도에 다소 안심이 되면서 억하심정과 슬픔이 서서히 풀리는 걸 느꼈다.≪최일남, 그때 말이 있었네≫
  • 나한테 억하심정이 있으면 무슨 억하심정이 있길래 이런단 말이오?≪송기숙, 녹두 장군≫

104. 여정 (女情) [여정]

한자: 女(계집 녀), 情(뜻 정)

여자의 정. 또는 여자의 정욕.

105. 여정 (旅情) [여정]

한자: 旅(나그네 려), 情(뜻 정)

여행할 때 느끼게 되는 외로움이나 시름 따위의 감정.

용례:

  • 여정을 달래다.
  • 기차에 몸을 실으니 여정이 한층 깊어진다.

106. 여정 (餘情) [여정]

한자: 餘(남을 여), 情(뜻 정)

마음속 깊이 아직 남아 있는 정이나 생각.

107. 여정 (輿情) [여:정]

한자: 輿(수레 여:), 情(뜻 정)

어떤 일이나 행동에 대한 사회 일반의 정적(情的)인 반응.

108. 역정 (逆情) [역쩡]

한자: 逆(거스릴 역), 情(뜻 정)

몹시 언짢거나 못마땅하여서 내는 성.

용례:

  • 역정이 나다.
  • 역정을 내다.
  • 역정을 부리다.
  • 어쩌다가 아버지의 역정을 샀니?
  • 형은 해고당한 후 부쩍 역정을 잘 냈다.
  • 그 겁 질린 꼴이 역겨워 볼때기를 한 대 쥐어지르고 싶은 역정이 솟았다.≪조정래, 태백산맥≫

109. 연정 (戀情) [연:정]

한자: 戀(그리워할/그릴 련:), 情(뜻 정)

이성을 그리워하고 사모하는 마음.

용례:

  • 연정을 품다.
  • 연정을 느끼다.

110. 열정 (劣情) [열쩡]

한자: 劣(못할 렬), 情(뜻 정)

「1」못나고 천한 마음.
「2」정욕(情慾)에만 흐르는 마음.

용례:

「2」한순간의 열정에 눈이 멀어 일생을 망치는 수도 있다.

111. 열정 (熱情) [열쩡]

한자: 熱(더울 열), 情(뜻 정)

어떤 일에 열렬한 애정을 가지고 열중하는 마음.

용례:

  • 학문과 예술에 대한 열정.
  • 열정을 쏟다.
  • 열정을 기울이다.
  • 열정이 담기지 않은 작품은 한눈에 봐도 알 수 있다.
  • 그는…투사라기보다는 오히려 혁명가다운 열정의 소유자였다.≪김원일, 불의 제전≫

112. 염정 (艷情) [염:정]

한자: 艷(고울 염[艶]:), 情(뜻 정)

이성을 그리워하고 사모하는 마음.

용례:

쉴 새 없이 코를 찌르는 향내는 웬일인지 그윽한 염정의 붉게 타는 냄새를 맡는 듯하였다.≪나도향, 환희≫

113. 옛정 (옛情) [옏:쩡]

한자: 情(뜻 정)

지난날에 사귄 정.

용례:

  • 옛정을 잊지 못하다.
  • 옛정을 생각해서 이번 한 번만 봐주게.
  • 어디 오래간만에 옛정을 풀어 볼까.
  • 일찍 세세생생에 부부 되기를 언약한 옛정을 생각하여, 이 몸이 지옥에 떨어지는 일이 있더라도 달례의 소원을 이루어 드리리다.≪이광수, 꿈≫

114. 오정 (五情) [오:정]

한자: 五(다섯 오:), 情(뜻 정)

사람이 가진 다섯 가지 감정. 기쁨, 노여움, 슬픔, 욕심, 증오를 이른다.

115. 옥정 (獄情) [옥쩡]

한자: 獄(옥[囚舍] 옥), 情(뜻 정)

옥사를 다스리는 정상(情狀). 또는 그것의 진상.

116. 온정 (溫情) [온정]

한자: 溫(따뜻할 온), 情(뜻 정)

따뜻한 사랑이나 인정.

용례:

  • 온정이 넘치는 말.
  • 온정이 어린 위로.
  • 온정을 느끼다.
  • 온정을 베풀다.

117. 외정 (外情) [외:정]

한자: 外(바깥 외:), 情(뜻 정)

외부나 외국의 사정.

118. 욕정 (欲情) [욕쩡]

한자: 欲(하고자할 욕), 情(뜻 정)

「1」한순간의 충동으로 일어나는 욕심.
「2」이성에 대한 육체적 욕망.

용례:

  • 「2」욕정이 일다.
  • 「2」욕정에 사로잡히다.
  • 「2」욕정을 채우다.
  • 「2」욕정을 품다.
  • 「2」명훈은 그녀에게 스스로도 어이없을 만큼 갑작스러운 욕정을 느꼈다.≪이문열, 변경≫

119. 우정 (友情) [우:정]

한자: 友(벗 우:), 情(뜻 정)

친구 사이의 정.

용례:

  • 우정의 선물.
  • 우정을 나누다.
  • 동료의 끈끈한 우정을 느끼다.
  • 우정을 두터이 하다.
  • 우정을 맺다.
  • 우정을 지키다.
  • 주립 대학의 동기 동창에 같은 직업을 가졌다는 것이 어쩌면 그들의 우정을 다져 준 결정적인 이유인지도 알 수 없었다.≪홍성원, 육이오≫

120. 울정 (鬱情) [울쩡]

한자: 鬱(답답할 울), 情(뜻 정)

답답하고 우울한 심정.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