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몰풍정 (沒風情) [몰풍정]
한자: 沒(빠질 몰), 風(바람 풍), 情(뜻 정)
풍정이 전혀 없음.
용례:
솜씨가 아무리 능란해도, 눈이 낮은 사람은 결국 하찮은 몰풍정을 벗지 못할 것이다.≪최명희, 혼불≫
42. 무감정 (無感情) [무감정]
한자: 無(없을 무), 感(느낄 감:), 情(뜻 정)
감정의 움직임이 없음.
43. 무정 (無情) [무정]
한자: 無(없을 무), 情(뜻 정)
「1」따뜻한 정이 없이 쌀쌀맞고 인정이 없음.
「2」남의 사정에 아랑곳없음.
「3」마음을 가지지 않은 생명이 없는 중생.
용례:
- 「1」명화는 그의 무정을 원망하였다. 그럴수록에 세월은 흘러가고 편지의 동안은 더욱 떴다.≪현진건, 적도≫
- 「2」무정이야 이팔청춘 어여쁜 그 모습은 간 곳이 바이없고….≪최명희, 혼불≫
- 「3」허공 끝이 있사온들 이내 소원 다하리까 유정들도 무정들도 일체종지 이뤄지다.≪김성동, 만다라≫
44. 무표정 (無表情) [무표정]
한자: 無(없을 무), 表(겉 표), 情(뜻 정)
아무런 감정도 얼굴에 드러나 있지 아니함. 또는 그런 얼굴 표정.
용례:
- 그들은 차라리 무표정을 가장할지언정 비명이나 울음 따위는 절대로 입 밖에 내는 일이 없는 민족이다.≪홍성원, 육이오≫
- 그의 뇌리에 밑도 끝도 없이 이목구비가 지워진 것처럼 완벽한 무표정으로 닭을 살해하는 광경이 떠올랐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 신랑의 얼굴에는 긴장과 불안이 감돌았으며 신부는 시종 무표정이었다.≪박경리, 토지≫
45. 문정 (問情) [문:정]
한자: 問(물을 문:), 情(뜻 정)
「1」사정을 물음.
「2」조선 말기에, 외국의 배가 처음으로 항구에 들어왔을 때나 외국인이 표류하여 왔을 때 관리를 보내어 그 사정을 알아보던 일.
용례:
「2」이양선 1척이 평양 경내의 초리방 사포구에 와서 정박하였으므로…12일 진시에 그곳에 달려가서 문정을 하니, 서양 사람으로서 자기들은 단지 통상과 무역을 하려는 것 외에 다른 일은 없다고 하였습니다.≪번역 고종실록≫
46. 물정 (物情) [물쩡]
한자: 物(물건 물), 情(뜻 정)
세상의 이러저러한 실정이나 형편.
용례:
- 세상 물정에 어둡다.
- 세상 물정을 모르다.
- 그는 분수없이 과하게 대접받던 사람으로부터, 일거에 물정 모르고 까부는 철부지로 떨어져 있었다.≪이호철, 문≫
- 갯바닥 물정 잘 안다고 혓바닥 닳아지게 추어올려 주니까는….≪한승원, 해일≫
47. 민정 (民情) [민정]
한자: 民(백성 민), 情(뜻 정)
「1」백성들의 사정과 생활 형편.
「2」백성의 마음.
용례:
「1」민정을 살피다.
48. 민정 (憫情) [민정]
한자: 憫(민망할 민), 情(뜻 정)
근심스러워하는 마음.
49. 박정 (薄情) [박쩡]
한자: 薄(엷을 박), 情(뜻 정)
‘박정하다’
(인정이 박하다.)의 어근.
50. 반정 (反情) [반:정]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情(뜻 정)
반발하거나 싫어하는 마음.
51. 반정 (反情) [반:정]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情(뜻 정)
올바른 성정(性情)으로 되돌아감.
52. 발정 (發情) [발쩡]
한자: 發(필 발), 情(뜻 정)
「1」동물이 성호르몬에 의하여 성적 충동을 일으킴. 또는 그 성적 충동. 주로 동물의 암컷에게 일어나는데 번식기에 나타난다.
「2」사람이 성적 충동을 일으킴. 또는 그 성적 충동을 속되게 이르는
말.
용례:
- 「1」아마 짐승이 발정이 나서 아침부터 어딘가로 교미를 시키러 가는 모양이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 「1」발정을 한 누렁이는 어디론가 수캐를 찾아 나간 모양이었다.≪한수산, 유민≫
53. 방정 (芳情) [방정]
한자: 芳(꽃다울 방), 情(뜻 정)
「1」향기로운 마음. 또는 꽃답고 애틋한 마음.
「2」주로 편지글 따위에서, 다른 사람의 친절한 마음을 높여 이르는 말.
54. 범정 (犯情) [범:정]
한자: 犯(범할 범:), 情(뜻 정)
범죄가 이루어진 정황.
55. 변정 (邊情) [변정]
한자: 邊(가[側] 변), 情(뜻 정)
변경의 형편과 사정.
56. 별정 (別情) [별쩡]
한자: 別(다를/나눌 별), 情(뜻 정)
이별의 정.
57. 본정 (本情) [본정]
한자: 本(근본 본), 情(뜻 정)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참마음.
용례:
거짓의 탈을 훨훨 벗어 버리고 알몸뚱이의 본정대로 살아 볼 작정이어요.≪현진건, 적도≫
58. 부정 (父情) [부정]
한자: 父(아비 부), 情(뜻 정)
자식에 대한 아버지의 정.
용례:
- 아버지는 입원실에 누운 딸의 땀을 연신 닦아 주며 애틋한 부정을 숨기지 못했다.
- 학교 폭력을 당한 아들을 대신해 사적인 복수를 감행한 아버지의 빗나간 부정이 언론에 보도되었다.
59. 불인정 (不人情) [부린정]
한자: 不(아닐 불), 人(사람 인), 情(뜻 정)
‘불인정하다’
(인정에 어그러지는 바가 있다.)의 어근.
60. 비인정 (非人情) [비:인정]
한자: 非(아닐 비(:)), 人(사람 인), 情(뜻 정)
사람이 지녀야 할 따뜻한 마음이 아님.
61. 비정 (非情) [비:정]
한자: 非(아닐 비(:)), 情(뜻 정)
「1」사람으로서의 따뜻한 정이나 인간미가 없음.
「2」나무나 돌 따위와 같이 감각이 없는 것.
용례:
「1」형의 소설은 전반에 걸쳐서 무거운 긴장과 비정이 흐르고 있었다.≪이청준, 병신과 머저리≫
62. 사정 (私情) [사정]
한자: 私(사사(私事) 사), 情(뜻 정)
개인의 사사로운 정.
용례:
- 사정이 없는 사람.
- 사정에 끌리다.
- 아무리 효성이 지극하다 할지라도 사정으로 국사를 그르쳐서는 안 될 것이다.≪서기원, 조선백자 마리아상≫
63. 사정 (事情) [사:정]
한자: 事(일 사:), 情(뜻 정)
「1」일의 형편이나 까닭.
「2」어떤 일의 형편이나 까닭을 남에게 말하고 무엇을 간청함.
용례:
- 「1」피치 못할 사정.
- 「1」사정이 딱하다.
- 「1」사정에 밝다.
- 「1」사정을 모르다.
- 「1」집안 사정으로 조퇴를 했다.
- 「1」오늘 저녁에는 이만큼만 이야기를 하고 저쪽 사정을 더 보아 가면서 양단간에 결정을 짓기로 하겠습니다.≪송기숙, 암태도≫
- 「1」기왕에 서울까지 어려운 사정에 여비를 장만해서 올라왔으니 돈을 벌고 싶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 「2」사정도 한두 번이지 무슨 염치로 또 말하겠느냐?
- 「2」아무리 사정을 하고 붙잡아도 한번 돌아선 마음은 막무가내였다. ≪전상국, 바람난 마을≫
64. 사정 (寫情) [사정]
한자: 寫(베낄 사), 情(뜻 정)
보거나 느낀 실정을 그대로 그려 냄.
65. 사정사정 (事情事情) [사:정사:정]
한자: 事(일 사:), 情(뜻 정), 事(일 사:), 情(뜻 정)
남에게 자신의 딱한 일의 형편이나 까닭을 간곡히 하소연하거나 비는 모양.
용례:
영달은…그렇게 마을 사람들이 사정사정을 해도 다른 사람들 논에는 병아리 눈물만큼도 물을 돌려주는 법이 없었다.≪김춘복, 쌈짓골≫
66. 산정 (山情) [산정]
한자: 山(메 산), 情(뜻 정)
「1」산의 정경(情景).
「2」산에서 느끼는 정취.
용례:
「1」산정이 아름답다.
67. 상정 (上情) [상:정]
한자: 上(윗 상:), 情(뜻 정)
「1」웃어른이나 지배자의 뜻이나 의사.
「2」임금의 뜻이나 의사.
68. 상정 (常情) [상정]
한자: 常(떳떳할 상), 情(뜻 정)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있는 보통의 인정.
용례:
- 맛있는 음식 먹기를 좋아하는 것은 사람의 상정이다.
- 아름다움을 아끼고 귀하게 여기는 것은 사람의 상정이나 지나치는 것은 또한 어리석은 일이 됩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69. 상정 (傷情) [상정]
한자: 傷(다칠 상), 情(뜻 정)
정분(情分)을 해침.
70. 색정 (色情) [색쩡]
한자: 色(빛 색), 情(뜻 정)
성적 욕구를 가지는 마음.
용례:
여자를 보고 색정을 느끼는 것이 벌써 간음을 뜻하는 것이라면 장님 아니고서야 죄를 짓지 않을 사람이 없지 아니한가.≪선우휘, 사도행전≫
71. 생활감정 (生活感情) [생활감:정]
한자: 生(날 생), 活(살 활), 感(느낄 감:), 情(뜻 정)
실제 생활에서 느끼거나 우러나오는 감정. 생활을 촉진하고 억압하는 감정으로서 쾌(快), 불쾌(不快) 따위가 있다.
용례:
만일 남자와 여자가 생활 감정으로나 제도적으로나 완전히 평등한 세상이 온다고 해도….≪박완서, 꿈꾸는 인큐베이터≫
72. 서정 (抒情) [서:정]
한자: 抒(풀 서:), 情(뜻 정)
주로 예술 작품에서, 자기의 감정이나 정서를 그려 냄.
용례:
- 가야금 산조의 선율이 애틋한 서정을 불러 일으킨다.
- 그의 시에서는 섬세한 서정이 두드러진다.
73. 선정 (煽情) [선정]
한자: 煽(부채질할 선), 情(뜻 정)
정욕을 자극하여 일으킴.
74. 성정 (性情) [성:정]
한자: 性(성품 성:), 情(뜻 정)
성질과 심정. 또는 타고난 본성.
용례:
- 성정이 거칠다.
- 그는 성정이 어질고 착한 사람이다.
- 생김새도 그만하면 그런대로 수수하고 성정도 온순하여….≪최명희, 혼불≫
- 무엇보다도 정인의 친정에서 우려한 것은 시어머니 될 그녀의 거센 성정이었다.≪이문열, 영웅시대≫
75. 성정 (聖情) [성:정]
한자: 聖(성인 성:), 情(뜻 정)
천자(天子)의 심정.
76. 세정 (世情) [세:정]
한자: 世(인간 세:), 情(뜻 정)
세상의 사정이나 형편. 또는 세상 사람들의 인심.
용례:
- 세정 모르는 어린아이.
- 세정을 살피다.
- 세정에 밝다.
- 세정에 어둡다.
- 세정에 빠르다.
- 가뜩이나 각박한 세정에 듬성듬성 앉을 수 있는 그러한 공간은 여유가 있어 좋다.≪법정, 무소유≫
77. 세정 (細情) [세:정]
한자: 細(가늘 세:), 情(뜻 정)
「1」세세히 맺힌 정.
「2」자세한 사정이나 형편.
용례:
- 「1」그는 세정에 약한 성격이다.
- 「2」고아들의 세정을 알아보다.
78. 소정 (素情) [소정]
한자: 素(본디/흴[白] 소(:)), 情(뜻 정)
본래부터의 감정.
용례:
나의 소정은 결코 그런 것이 아니었다.
79. 소정 (疏情) [소정]
한자: 疏(소통할 소), 情(뜻 정)
따돌리고 멀리하는 마음.
80. 속사정 (속事情) [속:싸정]
한자: 事(일 사:), 情(뜻 정)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한 일의 형편.
용례:
- 속사정이 궁금하다.
- 속사정도 모르고 나를 매도하다니 정말 섭섭하다.
- 그는 며칠 동안 고민을 하다가, 박성준에게 자기의 속사정을 털어놓았다.≪한승원, 해일≫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5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