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4

121. 원정 (怨情) [원:정]

한자: 怨(원망할 원(:)), 情(뜻 정)

원망하는 심정.

용례:

  • 파일을 잘 못 쉬는 분풀이로 부여 석공에게 원정이 가게 되고, 원정 끝에 그 인격과 행동까지 티를 뜯고….≪현진건, 무영탑≫
  • 영애는 여해에 대한 원정과 야속과 분함이 일시에 북받쳐 올랐다.≪현진건, 적도≫

122. 원정 (冤情) [원:정]

한자: 冤(원통할 원(:)), 情(뜻 정)

억울한 죄로 겪은 고통스러운 생각.

123. 원정 (原情) [원정]

한자: 原(언덕 원), 情(뜻 정)

사정을 하소연함.

용례:

  • 새 목사한테 소장을 올려 억울한 원정을 호소하고….≪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백성들이 관아에 원정할 일이 있으면 소를 올려 원정을 하는 것은 나라의 법이오.≪송기숙, 녹두 장군≫

124. 원정 (遠情) [원:정]

한자: 遠(멀 원:), 情(뜻 정)

멀리 있는 것을 그리는 마음.

125. 원정 (願情) [원:정]

한자: 願(원할 원:), 情(뜻 정)

바라는 마음.

126. 유정 (有情) [유:정]

한자: 有(있을 유:), 情(뜻 정)

「1」인정이나 동정심이 있음.
「2」마음을 가진 살아 있는 중생.

127. 유정 (柔情) [유정]

한자: 柔(부드러울 유), 情(뜻 정)

부드러운 인정.

128. 육정 (六情) [육쩡]

한자: 六(여섯 륙), 情(뜻 정)

사람의 여섯 가지 감정. 희(喜), 노(怒), 애(哀), 낙(樂), 애(愛), 오(惡)를 이른다.

129. 육정 (肉情) [육쩡]

한자: 肉(고기 육), 情(뜻 정)

육체에 관하여 느끼는 욕정. 특히 성욕(性慾)을 이른다.

용례:

간밤엔 김 씨에게 출생 이후 두 번째로 몸을 허락하였다. 너무도 애절하게 육정을 탐하는 눈치였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130. 은정 (恩情) [은정]

한자: 恩(은혜 은), 情(뜻 정)

은혜로 사랑하는 마음. 또는 인정 어린 마음.

용례:

  • 수재민에게 은정을 베풀다.
  • 은정을 느끼다.
  • 며칠을 지내는 동안 송 서방 내외는 대흥이와 그 부모에게 점점 마음 깊은 은정을 느끼게 되었다.≪박화성, 홍수 전후≫

131. 음정 (吟情) [음정]

한자: 吟(읊을 음), 情(뜻 정)

시가를 읊을 때의 정취.

132. 인정 (人情) [인정]

한자: 人(사람 인), 情(뜻 정)

「1」사람이 본래 가지고 있는 감정이나 심정.
「2」남을 동정하는 따뜻한 마음.
「3」세상 사람들의 마음.
「4」예전에, 벼슬아치들에게 몰래 주던 선물.

용례:

  • 「1」돈을 보면 욕심이 나는 것이 인정이다.
  • 「2」인정이 많은 사람.
  • 「2」인정이 넘치는 마을.
  • 「2」인정이 깊다.
  • 「2」인정이 없다.
  • 「2」인정이 후하다.
  • 「2」인정을 베풀다.
  • 「2」인정에 끌리다.
  • 「2」인정이라곤 눈곱만큼도 없다.
  • 「2」이런 일에 인정 두고 사정 둘 것이 아니다.
  • 「2」그는 겉보기에 무뚝뚝한 사람이지만 속으로는 꽤 인정이 있는 사람이다.
  • 「3」인정이 각박하다.
  • 「3」인정이 메마르다.
  • 「4」성문 출입할 적에 그놈들한테 인정 안 바친다고 구박받은 일을 생각하면 치가 떨리느니. ≪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33. 인정 (仁情) [인정]

한자: 仁(어질 인), 情(뜻 정)

어진 마음씨.

134. 일정 (逸情) [일쩡]

한자: 逸(편안할 일), 情(뜻 정)

마음을 속세에서 벗어나게 함. 또는 그 마음.

135. 자정 (姿情) [자정]

한자: 姿(모양 자:), 情(뜻 정)

모습과 정취(情趣)를 아울러 이르는 말.

136. 자정 (慈情) [자정]

한자: 慈(사랑 자), 情(뜻 정)

「1」인자한 마음.
「2」어머니의 정(情). 부모의 정을 이르기도 한다.

용례:

  • 「1」신성이는 속마음으로 은근히 자정을 느끼면서 익수를 다시 보게 되었다. 이렇게 점잖고 명랑하고 지식이 풍부한 남자가 있을까 싶었다.≪염상섭, 대를 물려서≫
  • 「2」네 부모의 자정이 어떠한지 몰라서 저런 소리를 하느냐?≪이인직, 모란봉≫

137. 잔감정 (잔感情) [잔감정]

한자: 感(느낄 감:), 情(뜻 정)

대단치 아니한 소소한 감정.

용례:

고당 영감도 평소에 별로 잔감정을 내보이지 않던 태도와는 달리, 한껏 신명이 나서 노상 벙글거리며….≪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138. 잔정 (잔情) [잔정]

한자: 情(뜻 정)

자상하고 자잘한 정.

용례:

  • 잔정이 없다.
  • 잔정이 많다.
  • 살뜰하게 잔정을 쏟아 주지는 않았지만 남편의 사랑은 점잖으면서도 깊었다.≪김성동, 잔월≫

139. 재정 (才情) [재정]

한자: 才(재주 재), 情(뜻 정)

재치 있는 생각. 또는 재치 있게 계책을 세우는 생각.

140. 적정 (賊情) [적쩡]

한자: 賊(도둑 적), 情(뜻 정)

도적 내부의 사정이나 형편.

용례:

적정을 세밀히 살핀 후에 도둑들을 생포하시오.

141. 적정 (敵情) [적쩡]

한자: 敵(대적할 적), 情(뜻 정)

전투 상황이나 대치 상태에 있는 적의 특별한 동향이나 실태.

용례:

  • 적정을 보고받다.
  • 적정을 탐색하다.
  • 이틀 전 이 능선의 보초가 적정을 발견하긴 했는데 미처 본대에 보고할 여유가 없어….≪이병주, 지리산≫

142. 전정 (前情) [전정]

한자: 前(앞 전), 情(뜻 정)

지난날에 사귄 정.

용례:

지가 사람 놈 같으면 계집에 대한 전정도 전정이려니와 홍이 그놈을 어떻게 키웠다고?≪박경리, 토지≫

143. 절정 (切情) [절쩡]

한자: 切(끊을 절), 情(뜻 정)

간절한 마음.

144. 정정 (定情) [정:정]

한자: 定(정할 정:), 情(뜻 정)

부부가 정을 맺는다는 뜻으로, ‘혼인’을 이르는 말.

145. 정정 (政情) [정정]

한자: 政(정사(政事) 정), 情(뜻 정)

정계(政界)의 상황.

용례:

  • 정정을 살피다.
  • 이 나라의 불안한 정정에 불만을 가진 시민들이 데모대들을 후원하는 박수 소리가 새어 나왔다.≪박영한, 인간의 새벽≫

146. 종정 (鍾情) [종정]

한자: 鍾(쇠북 종), 情(뜻 정)

따뜻한 사랑을 한쪽으로 모음.

147. 주정 (主情) [주정]

한자: 主(임금/주인 주), 情(뜻 정)

이성이나 의지보다 감성을 중히 여기는 일.

148. 중정 (中情) [중정]

한자: 中(가운데 중), 情(뜻 정)

가슴속에 맺힌 감정이나 생각.

용례:

  • 중정이 깊다.
  • 중정이 서다.
  • 태산 같고 반석 같은 청품과 행실로 네 중정을 굳게 하여, 든든하게 끄떡없이 집안을 이끌어 가야 하리라.≪최명희, 혼불≫
  • 저 사람이 참으로 그 속을 알고 저럴까. 누구의 중정을 떠보려는 셈인가.≪이기영, 고향≫
  • 세상에 계집에게 혹하여 낭패 보는 사람도 많으나 그것은 다 중정이 허한 탓이었다.≪이해조, 고목화≫
  • 그런 사람일수록 잡아다가 족치면 중정이 허하니까 물 쏟아 놓듯 토하고 말라는 소리까지 분단 말이죠! ≪염상섭, 삼대≫

149. 중정 (衆情) [중:정]

한자: 衆(무리 중:), 情(뜻 정)

여러 사람의 감정이나 의견.

150. 증정 (症情) [증정]

한자: 症(증세 증(:)), 情(뜻 정)

병을 앓을 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상태나 모양.

151. 지역감정 (地域感情) [지역깜:정]

한자: 地(따 지), 域(지경 역), 感(느낄 감:), 情(뜻 정)

일정한 지역에 살고 있거나 그 지역 출신의 사람들에게 가지는 좋지 않은 생각이나 편견.

용례:

  • 지역감정을 부추기다.
  • 지역감정이 심화되다.
  • 지역감정을 선거에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152. 지정 (至情) [지정]

한자: 至(이를 지), 情(뜻 정)

「1」지극히 두터운 정분.
「2」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참된 정.
「3」아주 가까운 친척.

용례:

  • 「2」이 지정에서 솟아 나온 삼월이 대답에 중전도 낙루를 하시고 신 씨도 눈물을 뿌리지 않을 수 없었다.≪박종화, 금삼의 피≫
  • 「3」우연히 앞뒷집에 살게 된 데다 동영과는 고향도 비슷해 지정은 아니라도 이리저리 따지면 약간의 척(戚)이 있었다.≪이문열, 영웅시대≫

153. 지정 (知情) [지정]

한자: 知(알 지), 情(뜻 정)

「1」남의 사정을 앎.
「2」지성과 감정을 아울러 이르는 말.

154. 직정 (直情) [직쩡]

한자: 直(곧을 직), 情(뜻 정)

자신이 생각한 것을 꾸밈없이 그대로 드러냄.

155. 진정 (眞情) [진정]

한자: 眞(참 진), 情(뜻 정)

「1」참되고 애틋한 정이나 마음.
「2」참된 사정.

용례:

  • 「1」진정을 알아주다.
  • 「1」진정을 털어놓다.
  • 「1」진정으로 사랑하다.
  • 「1」진정으로 말하다.
  • 「1」결혼을 해야겠다고 진정으로 생각하기 시작한 것은 반년쯤 전부터였다.≪이제하, 기차, 기선, 바다, 하늘≫
  • 「1」그녀는 한익의 이러한 충고가 진정에서 나온 것임을 본능적으로 깨달았다.≪홍성원, 육이오≫
  • 「2」그는 일부러 진정을 숨기고 말하지 않았다.
  • 「2」왜 참말로 제 입만 거쳐 나오면 거짓말이 될까요, 네? 왜 진정을 쏟아 놓아도 저부터 믿어지지를 않을까요, 네? 선생님. ≪현진건, 적도≫

156. 진정 (陳情) [진:정]

한자: 陳(베풀 진:/묵을 진), 情(뜻 정)

실정이나 사정을 진술함.

용례:

  • 진정을 내다.
  • 진정을 드리다.

157. 진정 (塵情) [진정]

한자: 塵(티끌 진), 情(뜻 정)

깨끗하지 못한 속된 마음.

158. 집정 (執情) [집쩡]

한자: 執(잡을 집), 情(뜻 정)

어느 것에 몹시 쏠리는 마음.

159. 차정 (遮情) [차:정]

한자: 遮(가릴 차(:)), 情(뜻 정)

범부의 그릇된 생각과 견해를 없앰으로써 참된 지혜로 인도함. 또는 그런 일.

160. 천정 (天情) [천정]

한자: 天(하늘 천), 情(뜻 정)

타고난 성품.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