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구점 (家具店) [가구점]
한자: 家(집 가), 具(갖출 구(:)), 店(가게 점:)
가구를 파는 상점.
용례:
- 동네 가구점에서 책상을 구입했다.
- 결혼 성수기를 맞아서 대부분의 가구점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
2. 가맹점 (加盟店) [가맹점]
한자: 加(더할 가), 盟(맹세 맹), 店(가게 점:)
어떤 조직의 동맹이나 연맹에 든 가게나 상점.
용례:
이 카드를 가지고 가시면 모든 가맹점에서 싼 가격에 제품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3. 가판점 (街販店) [가:판점]
한자: 街(거리 가(:)), 販(팔[賣] 판), 店(가게 점:)
길거리에서 물건을 팔 수 있도록 설치한 작은 상점.
용례:
매일 아침 가판점에서 신문을 사 보는 일은 그의 중요한 일과 중 하나였다.
4. 간이매점 (簡易賣店) [가:니매:점]
한자: 簡(대쪽/간략할 간(:)), 易(쉬울 이:), 賣(팔 매(:)), 店(가게 점:)
간단한 설비만을 갖추고 일용품, 식료품, 담배 따위를 파는 작은 매점이나 판매대.
용례:
사장은 극장 안에 간이매점을 설치하였다.
5. 간이음식점 (簡易飮食店) [가:니음:식쩜]
한자: 簡(대쪽/간략할 간(:)), 易(쉬울 이:), 飮(마실 음(:)), 食(밥/먹을 식), 店(가게 점:)
비교적 작은 규모로 간단하고 값싼 음식을 파는 식당.
용례:
- 해수욕장의 간이음식점.
- 나는 선창 마당에서 부두 쪽으로 늘어서 있는 간이음식점들을 훑어보았다.≪한승원, 땅가시와 보리알≫
6. 간이주점 (簡易酒店) [가:니주점]
한자: 簡(대쪽/간략할 간(:)), 易(쉬울 이:), 酒(술 주(:)), 店(가게 점:)
값싼 술과 간단한 안주를 파는 작은 규모의 술집.
용례:
어제는 동생과 간이주점에 들러서 간단하게 한잔했다.
7. 개점 (開店) [개점]
한자: 開(열 개), 店(가게 점:)
「1」새로 가게를 내어 처음으로 영업을 시작함.
「2」가게 문을 열고 하루의 영업을 시작함.
용례:
- 「1」신축 상가에서 추석 명절을 앞두고 개점을 서두르고 있다.
- 「2」그 백화점의 개점 시간은 오전 10시이다.
8. 객점 (客店) [객쩜]
한자: 客(손 객), 店(가게 점:)
예전에, 오가는 길손이 음식을 사 먹거나 쉬던 집.
용례:
- 결국 이튿날, 허름한 객점에서 뜬눈으로 밤을 새운 뒤 길을 떠나면서….≪최명희, 혼불≫
- 객점으로 찾아들긴 하였으나 역시 소들을 재울 만한 마방 딸린 객점은 없었다.≪김주영, 객주≫
9. 고본점 (古本店) [고:본점]
한자: 古(예 고:), 本(근본 본), 店(가게 점:)
고본이나 고서를 파는 가게.
용례:
소위 새 책 장사에 데어 본 종혁 부친이 큰아들을 데리고 두 번째로 삼천리 고본점을 시작한 것이 이 무렵이다.≪이정환, 샛강≫
10. 고서점 (古書店) [고:서점]
한자: 古(예 고:), 書(글 서), 店(가게 점:)
아주 오래전에 간행된 책들을 다루는 서점.
용례:
구하기만 힘들었지 고서점으로 가 봐야 몇 푼 받아 내지도 못할 책을 몇 권 집어 가 버린 것이다.≪이청준, 별을 보여 드립니다≫
11. 과자점 (菓子店) [과자점]
한자: 菓(과자 과/실과 과:), 子(아들 자), 店(가게 점:)
과자나 빵 따위를 만들어 파는 가게.
용례:
- 과자점에서 케이크 한 상자를 샀다.
- 아내는 꽤 유명하다고 하는 과자점에 가서 지인에게 선물할 쿠키와 빵을 사 왔다.
- 밖으로 나온 한수는 몹시 피곤을 느꼈다. 거리로 나서서 눈에 띄는 과자점에 들어가 찬 우유를 마시고 진희의 학교로 전화를 걸었다.≪황순원, 신들의 주사위≫
12. 구내매점 (構內賣店) [구내매:점]
한자: 構(얽을 구), 內(안 내:), 賣(팔 매(:)), 店(가게 점:)
학교, 병원, 역 따위의 안에서 식료품이나 일용 잡화 따위를 파는 곳.
용례:
- 학교 구내매점에서 연필을 사다.
- 이 병원의 구내매점은 본관 2층에 있다.
13. 금점 (金店) [금점]
한자: 金(쇠 금), 店(가게 점:)
「1」금을 캐내는 광산.
「2」조선 시대에, 관청의 허가를 받아 금을 캐고 제련하던 곳. 무허가 채굴업자들을 단속하기도 하였다.
용례:
- 「1」주막 주인 말에 귀가 번쩍 띄었던 것이다. 저 산 너머 금점이 있는데 금이 푹푹 쏟아지는 화수분이라고.≪김유정, 노다지≫
- 「1」방깨울에 별안간 금점이 터진 것은 뜻밖에 새 경기가 돌아서 모든 방면에 금전의 융통이 잘되었다.≪이기영, 봄≫
14. 끽다점 (喫茶店) [끽따점]
한자: 喫(먹을 끽), 茶(차 다), 店(가게 점:)
예전에, ‘찻집’(사람들이 이야기를 나누거나 쉴 수 있도록 꾸며 놓고 차나 음료 따위를 파는 곳.)을 이르던 말.
용례:
자연스럽게 혼다 교수는 두 사람을 소개했고 그 후 이들은 가끔 긴자 끽다점에서 만나 커피를 마시게 되었다.≪박경리, 토지≫
15. 내점 (來店) [내:점]
한자: 來(올 래(:)), 店(가게 점:)
가게에 옴.
용례:
백화점 세일 기간에는 내점 고객들이 수용 가능한 인원보다 과다하게 많이 몰렸다.
16. 노점 (露店) [노점]
한자: 露(이슬 로(:)), 店(가게 점:)
길가의 한데에 물건을 벌여 놓고 장사하는 곳.
용례:
- 노점 상인.
- 열대여섯씩은 넘어 뵈는 꼬마들이 여럿이서 잡채, 부침, 김밥 따위를 파는 노점 앞에 몰려 서 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 가게도 있는데 하필 여자들이 벌이고 앉은 노점에서 그나마 늙은 여자의 광주리에 몇 송이 안 남은 걸 떨이로 흥정을 하자더군.≪박완서, 도시의 흉년≫
17. 다과점 (茶菓店) [다과점]
한자: 茶(차 다), 菓(과자 과/실과 과:), 店(가게 점:)
차나 과자 따위를 파는 가게.
용례:
다과점에서 차나 한잔하자.
18. 다점 (茶店) [다점]
한자: 茶(차 다), 店(가게 점:)
사람들이 이야기를 나누거나 쉴 수 있도록 꾸며 놓고, 차나 음료 따위를 판매하는 곳.
용례:
간판이 초라하게 붙어 있는 다점으로 은아는 나를 끌고 갔었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19. 단란주점 (團欒酒店) [달란주점]
한자: 團(둥글 단), 欒(단란할 란), 酒(술 주(:)), 店(가게 점:)
반주 시설을 갖추어 놓아 술을 마시면서 노래도 부를 수 있는 술집.
용례:
영업 실적이 올라가자 기분이 좋아진 부장님이 한턱 낸다며 단란주점으로 우리를 데리고 가셨다.
20. 당점 (當店) [당점]
한자: 當(마땅 당), 店(가게 점:)
가게, 점포 따위 ‘-점’(店)으로 끝나는 업체가 스스로를 가리켜 이르는 말.
용례:
- 당점의 영업 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 당점을 애용하여 주시는 고객께 알립니다.
21. 대리점 (代理店) [대:리점]
한자: 代(대신할 대:), 理(다스릴 리:), 店(가게 점:)
일정한 회사 따위의 위탁을 받아 거래를 대리하거나 매개하는 일을 하는 가게.
용례:
- 신발 대리점.
- 의류 대리점.
- 전자 대리점에서 라디오를 구입했다.
22. 대여점 (貸與店) [대:여점]
한자: 貸(빌릴/뀔 대:), 與(더불/줄 여:), 店(가게 점:)
돈을 받고 일정 기간 동안 특정한 물품을 빌려주는 가게.
용례:
- 책 대여점.
- 비디오 대여점.
- 스키 대여점.
23. 도매점 (都賣店) [도매점]
한자: 都(도읍 도), 賣(팔 매(:)), 店(가게 점:)
물건을 모개로 파는 가게.
용례:
나는 군대에서 돌아오자마자 아버지가…제법 큰 도매점으로 발전시킨 피륙점 일을 돕는 틈틈이 혹시 아는 사람의 연줄이라도 탈 수 없을까 하고….≪안정효, 할리우드 키드의 생애≫
24. 만물상점 (萬物商店) [만:물상점]
한자: 萬(일만 만:), 物(물건 물), 商(장사 상), 店(가게 점:)
일상생활에 필요한 온갖 물건을 파는 가게.
용례:
다과점도 있었고 극장, 다방, 당구장, 만물상점, 그리고 주점이 장터 주변에 여러 채 붙어 있었다.≪황석영, 삼포 가는 길≫
25. 매점 (賣店) [매:점]
한자: 賣(팔 매(:)), 店(가게 점:)
어떤 기관이나 단체 안에서 물건을 파는 작은 상점.
용례:
- 학교 매점.
- 지하철 매점.
26. 면세점 (免稅店) [면:세점]
한자: 免(면할 면:), 稅(세금 세:), 店(가게 점:)
외화 획득이나 외국인 여행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공항 대합실이나 시중에 설치한 비과세 상점. 상품에 부과되는 세금이 면제되므로 상품값이 싸다.
용례:
- 면세점에서 면세품을 구입하다.
- 내국인도 출국하는 경우에 시내에 있는 면세점을 이용할 수 있다.
27. 목로주점 (木壚酒店) [몽노주점]
한자: 木(나무 목), 壚(검은흙 로), 酒(술 주(:)), 店(가게 점:)
목로를 차려 놓고 술을 파는 집.
용례:
- 퇴기 앵모의 주점이 오가는 길가 술꾼들을 불러들이게 꾸며져 있다고는 하나 결코 시시한 목로주점은 아니었다.≪박경리, 토지≫
- 저녁때가 가까워서 부둣가로 나갔다. 거기 장사진을 이루고 있는 노천 목로주점에서 대폿술을 한잔 마시기 위해서였다.≪황순원, 곡예사≫
28. 문구점 (文具店) [문구점]
한자: 文(글월 문), 具(갖출 구(:)), 店(가게 점:)
학용품과 사무용품 따위를 파는 곳.
용례:
그 아이는 문구점에 가서 연필과 필통을 샀다.
29. 반점 (飯店) [반점]
한자: 飯(밥 반), 店(가게 점:)
중국 음식을 파는 대중적인 음식점.
용례:
- 중국 반점.
- 영광은 시가를 헤매다가 어느 반점에 들어가서 요기를 하고 공연장으로 돌아왔다.≪박경리, 토지≫
30. 백화점 (百貨店) [배콰점]
한자: 百(일백 백), 貨(재물 화:), 店(가게 점:)
여러 가지 상품을 부문별로 나누어 진열·판매하는 대규모의 현대식 종합 소매점.
용례:
- 대형 백화점.
- 백화점 매장.
31. 본점 (本店) [본점]
한자: 本(근본 본), 店(가게 점:)
「1」영업의 본거지가 되는 점포.
「2」말하는 이가 공식적인 자리에서 자기가 관계하고 있는 점포를 이르는 말.
용례:
- 「1」본점에서 사원 교육이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
- 「1」은행 지점장에게 애원을 해 보아도 소용이 없어 부득이 본점으로 와서 좌우간 마지막 담판을 해 보려고 온 길이라는 것이다.≪김말봉, 찔레꽃≫
- 「2」본점에서는 창립 10주년 기념 반액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32. 분점 (分店) [분점]
한자: 分(나눌 분(:)), 店(가게 점:)
본점이나 지점에서 나누어 따로 낸 점포.
용례:
- 분점을 개설하다.
- 분점을 내다.
- 분점을 세우다.
- 분점을 차리다.
- 우리 동네에 ○○백화점 분점이 들어섰다.
33. 산매점 (散賣店) [산:매점]
한자: 散(흩을 산:), 賣(팔 매(:)), 店(가게 점:)
소매하는 상점.
용례:
- 회사는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을 도매점을 거치지 않고 산매점으로 내보내어 유통 경로를 단축하였다.
- 일반 산매점보다는 도매점이 물건값이 싼 편이다.
34. 상점 (商店) [상점]
한자: 商(장사 상), 店(가게 점:)
일정한 시설을 갖추고 물건을 파는 곳.
용례:
- 상점을 내다.
- 상점을 열다.
- 상점에 손님이 많다.
- 어두워지자 상점에 하나둘 불이 켜졌다.
- 길이 생기고, 거기 따라 거리가 생겨나지 않겠어요? 그리고 상점도 서고.≪최명희, 혼불≫
35. 서점 (書店) [서점]
한자: 書(글 서), 店(가게 점:)
책을 갖추어 놓고 팔거나 사는 가게.
용례:
학교를 가는 길에 서점에 들러 참고서를 한 권 샀다.
36. 세책점 (貰冊店) [세:책쩜]
한자: 貰(세놓을 세:), 冊(책 책), 店(가게 점:)
세를 받고 책을 빌려주는 책방.
용례:
세책점에서 소설을 빌려다가….≪김승옥, 생명 연습≫
37. 소매점 (小賣店) [소:매점]
한자: 小(작을 소:), 賣(팔 매(:)), 店(가게 점:)
소매하는 상점.
용례:
- 영세 소매점.
- 그는 학교 앞에서 문구 소매점을 운영한다.
38. 소점 (小店) [소:점]
한자: 小(작을 소:), 店(가게 점:)
「1」규모가 작은 가게.
「2」자기 가게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용례:
- 「1」큰길에 있는 소점에는 손님이 심심치 않게 드나들었다.
- 「2」저는 사업이라 하기에는 부끄러울 정도의 소점을 하나 갖고 있을 뿐입니다.
39. 식품점 (食品店) [식품점]
한자: 食(밥/먹을 식), 品(물건 품:), 店(가게 점:)
여러 종류의 식품을 파는 가게.
용례:
- 식품점을 개업하다.
- 식품점에는 온갖 식품이 즐비하게 진열되어 있었다.
40. 악기점 (樂器店) [악끼점]
한자: 樂(노래 악), 器(그릇 기), 店(가게 점:)
여러 가지 악기를 파는 가게.
용례:
악기점에서 기타 한 대를 샀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店 가게 점: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