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시복분자 (가시覆盆子) [가시복뿐자]
한자: 覆(다시 복), 盆(동이 분), 子(아들 자)
「1」장미과의 낙엽 활엽 관목. 줄기는 자주색이 돌며 가시가 많이 나 있다. 봄에 빨간색 꽃이 가지 끝에 피고 가을에 붉게 익는 열매는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바닷가에서 자라는데 경상남도, 전라남도,
제주도에 분포한다.
「2」‘「1」’의 열매.
2. 가자 (架子) [가자]
한자: 架(시렁 가:), 子(아들 자)
「1」가지가 늘어지지 않도록 밑에서 받쳐 세운 시렁.
「2」음식을 나르는 데 쓰는 들것. 두 사람이 가마를 메듯이 하여 나른다.
「3」편종, 편경 따위를 달아 놓는 틀.
용례:
- 「1」장미 가자.
- 「1」포도 가자.
3. 가자 (假子) [가:자]
한자: 假(거짓 가:), 子(아들 자)
「1」아내가 전남편과의 사이에서, 또는 남편이 전처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
「2」입양에 의하여 자식의 자격을 얻은 사람.
4. 갓모자 (갓帽子) [간모자]
한자: 帽(모자 모), 子(아들 자)
갓양태 위로 우뚝 솟은 원통 모양의 부분.
용례:
이진삼이는 갓모자가 폭삭 으깨진 갓을 들고 숨을 씨근거리며….≪송기숙, 녹두 장군≫
5. 개량종자 (改良種子) [개:량종자]
한자: 改(고칠 개(:)), 良(어질 량), 種(씨 종(:)), 子(아들 자)
교배나 접목 따위를 하여 독특하거나 우수한 형질을 갖도록 길러 낸 동식물의 새 품종.
용례:
이번에 선보인 젖소 개량종자는 우유의 생산량을 늘리는 데 초점을 두었다.
6. 갸자 (架▽子) [갸자]
한자: 架(시렁 가:), 子(아들 자)
「1」음식을 나르는 데 쓰는 들것. 두 사람이 가마를 메듯이 하여 나른다.
「2」음식을 ‘「1」’에 실어 그 분량을 세는 단위.
용례:
- 「1」갸자에 음식이 그득하다.
- 「1」한참 떠들썩한 밑에 대궐 안에서는 갸자에 실려 음식이 쏟아져 나왔다.≪박종화, 금삼의 피≫
7. 격자 (格子) [격짜]
한자: 格(격식 격), 子(아들 자)
「1」대나무로 된 갓끈의 대통들 사이사이에 꿴 둥근 구슬.
「2」바둑판처럼 가로세로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짠 구조나 물건. 또는 그런 형식.
「3」전자관의 전극 가운데 하나. 그물이나
나선 모양으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장치되어, 주로 두 극 사이의 전자 흐름을 제어한다. 기능에 따라 제어 격자, 차폐 격자, 억제 격자 따위가 있다.
「4」빛의 회절 현상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얻는 장치.
용례:
- 「2」격자 모양의 무늬가 있는 셔츠.
- 「2」감옥마다 창에는 쇠창살로 격자가 되어 있어 개미 한 마리 빠져나갈 틈이 없었다.
8. 결명자 (決明子) [결명자]
한자: 決(결단할 결), 明(밝을 명), 子(아들 자)
결명차의 씨. 간열(肝熱)을 내리고 눈을 밝게 하며 두통, 변비에 약재로 쓴다.
9. 경박자 (輕薄子) [경박짜]
한자: 輕(가벼울 경), 薄(엷을 박), 子(아들 자)
경박한 사람.
용례:
그때에는 경박자들이 그 용모를 보며 그 언사를 듣고 스스로 경외하는 마음이 생겨서….≪대한매일신보≫
10. 경박재자 (輕薄才子) [경박째자]
한자: 輕(가벼울 경), 薄(엷을 박), 才(재주 재), 子(아들 자)
재주는 있으나 경박한 사람.
용례:
양쪽 눈알이 불거져 나오고 입술이 얇아서 어딘지 재기에 날리는 듯한, 소위 경박재자를 연상시키는 얼굴이었다.≪김동리, 실존무≫
11. 계자 (繼子) [계:자]
한자: 繼(이을 계:), 子(아들 자)
「1」아들이 없는 집에서 대를 잇기 위하여 동성동본 중에서 데려다 기르는 조카뻘 되는 남자아이.
「2」아내가 전남편과의 사이에서, 또는 남편이 전처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
12. 계자 (系子) [계:자]
한자: 系(이어맬 계:), 子(아들 자)
「1」아들이 없는 집에서 대를 잇기 위하여 동성동본 중에서 데려다 기르는 조카뻘 되는 남자아이.
「2」아내가 전남편과의 사이에서, 또는 남편이 전처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
13. 고깔모자 (고깔帽子) [고깔모자]
한자: 帽(모자 모), 子(아들 자)
고깔처럼 생긴 모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야자나무 밑에서 고깔모자에 연분홍빛 아오자이 차림의 월남 아가씨가….≪안정효, 하얀 전쟁≫
14. 고손자 (高孫子) [고손자]
한자: 高(높을 고), 孫(손자 손(:)), 子(아들 자)
증손자의 아들. 또는 손자의 손자.
용례:
그러고 보니 자기 나이 환갑이 지나 칠십 고개를 바라보고 있는지라 막 바로 말하자면 고손자 볼 나이였다.≪한설야, 탑≫
15. 고애자 (孤哀子) [고애자]
한자: 孤(외로울 고), 哀(슬플 애), 子(아들 자)
어버이를 모두 여읜 사람이 상중(喪中)에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용례:
어머니를 여읜, 슬픈 아들 고애자 이기채는 이마를 조아리어 절하고 통곡으로 아뢰나이다.≪최명희, 혼불≫
16. 고자 (鼓子) [고자]
한자: 鼓(북 고), 子(아들 자)
생식 기관이 불완전한 남자.
용례:
- 환관은 자기 가문이나 종씨 가운데 고자가 있으면 양자로 들이고, 그 양자는 자동적으로 환관을 계승하여 당장 왕 가까이 입시할 수 있었다.
- 고자가 어린애를 낳았다니 믿어지지 않는다.≪방영웅, 분례기≫
- 그는 한번은 양복을 쪽 뽑아 입고 학교에 나타난 녀석을 고자라고 큰 소리로 놀리다가 대판으로 싸운 일까지 있었다.≪신상웅, 심야의 정담≫
17. 골수분자 (骨髓分子) [골쑤분자]
한자: 骨(뼈 골), 髓(뼛골 수), 分(나눌 분(:)), 子(아들 자)
조직체에서 그 조직체의 이념을 철저히 신봉하거나 어떤 상사에게 철저한 충성을 바치는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
용례:
지금 자수자는 대부분이 소작농 출신의 무학자로 좌익 골수분자의 설득에 넘어갔던 자들이 아닌가.≪김원일, 불의 제전≫
18. 골자 (骨子) [골짜]
한자: 骨(뼈 골), 子(아들 자)
말이나 일의 내용에서 중심이 되는 줄기를 이루는 것.
용례:
-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한 개헌안.
- 이야기하는 내용의 중요 골자를 파악하다.
- 영국은 일본과 다른 나라와 교전하게 될 때 서로 중립을 지킬 것을 골자로 하는 영일 동맹을 맺었다.≪안수길, 북간도≫
19. 공자 (公子) [공자]
한자: 公(공평할 공), 子(아들 자)
지체가 높은 집안의 아들.
용례:
당시의 많은 명문 공자들이 모두 그 몸차림이며 언어·행동·동작을, 흥선을 본뜨려고 얼마나 거울을 들여다보며 애썼던가?≪김동인, 운현궁의 봄≫
20. 공자 (孔子) [공:자]
한자: 孔(구멍 공:), 子(아들 자)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학자(B.C.551~B.C.479).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노나라 사람으로 여러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인(仁)을 정치와 윤리의 이상으로 하는 도덕주의를 설파하여 덕치 정치를 강조하였다. 만년에는 교육에 전념하여 3,000여 명의 제자를 길러 내고, ≪시경≫과 ≪서경≫ 등의 중국 고전을 정리하였다. 제자들이 엮은 ≪논어≫에 그의 언행과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21. 과격분자 (過激分子) [과:격뿐자]
한자: 過(지날 과:), 激(격할 격), 分(나눌 분(:)), 子(아들 자)
주장이나 행동이 극단에 치우치게 격렬한 사람.
용례:
- 당국은 비밀리에 조합 안의 과격분자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 경찰차가 불에 탄 사건은 어느 과격분자의 소행으로 보인다.
22. 과자 (菓子) [과:자]
한자: 菓(과자 과/실과 과:), 子(아들 자)
식물이 수정한 후 씨방이 자라서 생기는 것. 대개는 이 속에 씨가 들어 있다.
23. 과자 (菓子) [과자]
한자: 菓(과자 과/실과 과:), 子(아들 자)
밀가루나 쌀가루 등에 설탕, 우유 따위를 섞어 굽거나 기름에 튀겨서 만든 음식. 주로 간식으로 먹는다.
용례:
- 과자 부스러기.
- 과자 한 봉지.
- 내 동생은 소풍 간다고 과자를 가방 가득 채웠다.
24. 관자 (貫子) [관자]
한자: 貫(꿸 관(:)), 子(아들 자)
망건에 달아 당줄을 꿰는 작은 단추 모양의 고리. 신분에 따라 금(金), 옥(玉), 호박(琥珀), 마노, 대모(玳瑁), 뿔, 뼈 따위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용례:
어차피 내 한평생 망건 쓰고 관자 달고 갓 써 볼 일 없는 머리, 자고 나도 빗질할 새 없고….≪최명희, 혼불≫
25. 교자 (交子) [교자]
한자: 交(사귈 교), 子(아들 자)
「1」교자상에 차려 놓은 음식. 건교자, 식교자, 얼교자가 있다.
「2」음식을 차려 놓는 사각형의 큰 상.
용례:
- 「1」주인이 마련해 준 교자는 맛이 좋았지만 하상은 식욕을 잃고 있었다.≪한무숙, 만남≫
- 「2」청요리 한 교자가 떡 벌어지게 들어오는 것을 보고 누구나 우충이가 왔으면 하는 생각이었는데….≪염상섭, 화관≫
26. 교자 (轎子) [교자]
한자: 轎(가마 교), 子(아들 자)
조선 시대에, 종일품 이상 및 기로소(耆老所)의 당상관이 타던 가마. 앞뒤로 두 사람씩 네 사람이 낮게 어깨에 메고 천천히 다녔다.
용례:
- 석성의 아내 유 씨는 시녀를 휘동하여 교군꾼을 불러 교자를 문밖에 대령하게 한 뒤에 대문까지 나가서 홍 통사를 전송한다.≪박종화, 임진왜란≫
- 이튿날 두 대감을 태운 교자는 걸음 좋은 교군 넷이 풍우같이 몰아 단숨에 주성에 닿았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27. 구급상자 (救急箱子) [구:급쌍자]
한자: 救(구원할 구:), 急(급할 급), 箱(상자 상), 子(아들 자)
구급약 및 간단한 의료 도구를 넣어 두는 상자.
용례:
소년이 구급상자를 내오더니 익숙한 솜씨로 그의 점퍼 소매를 찢었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28. 구기자 (枸杞子) [구기자]
한자: 枸(구기자(枸杞子) 구), 杞(구기자(枸杞子) 기), 子(아들 자)
구기자나무의 열매. 해열제와 강장제로 쓴다.
29. 군자 (君子) [군자]
한자: 君(임금 군), 子(아들 자)
「1」행실이 점잖고 어질며 덕과 학식이 높은 사람.
「2」예전에, 높은 벼슬에 있던 사람을 이르던 말.
「3」예전에, 아내가 자기 남편을 이르던 말.
용례:
- 「1」군자는 덕을 가져서 이기는 것이요, 소인은 강포한 힘으로 이겨 보려 하는 것인데….≪박종화, 임진왜란≫
- 「1」소인은 재물을 주고받고 군자는 아름다운 말을 주고받는다고 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30. 귀공자 (貴公子) [귀:공자]
한자: 貴(귀할 귀:), 公(공평할 공), 子(아들 자)
「1」귀한 집 아들. 또는 귀한 집 젊은 남자를 이르는 말.
「2」생김새나 몸가짐이 의젓하고 고상한 남자.
용례:
- 「1」얼굴이 준수하고 색깔이 희었다. 어디로 보든지 양반의 집 귀공자다.≪박종화, 전야≫
- 「1」누다락에 올라 멀리 남쪽 하늘을 바라보던 당년 삼십육 세의 귀공자 김춘추 장군은 푸른 하늘을 바라다보면서 크게 탄식한다.≪홍효민, 신라 통일≫
- 「2」지금 눈앞에는 그 옛날 하인이었던 사내의 자식이 어느 귀공자 못지않게 슬기를 가득 채운 눈망울을 빛내며 앉아 있는 것이다.≪박경리, 토지≫
- 「2」그는 영준이와 같은 귀공자가 찾아온 것을 누구보다도 은근히 반겨하는 모양이다. ≪이기영, 봄≫
31. 귀동자 (貴童子) [귀:동자]
한자: 貴(귀할 귀:), 童(아이 동(:)), 子(아들 자)
특별히 귀염을 받거나 귀하게 자란 사내아이.
용례:
- 당신은 꼭 옥 같은 귀동자를 낳을 겁니다.
- 그는 귀동자로 자라서인지 버릇이 없었다.
- 그는 지체 높고 문벌 좋은 가문에서 금이야 옥이야 길러 낸 귀동자였다.
32. 극렬분자 (極烈分子) [긍녈분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烈(매울 렬), 分(나눌 분(:)), 子(아들 자)
사상이나 행동 따위가 매우 과격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용례:
아무리 극렬분자가 주동 세력에 끼어 있다 해도 적당히 세부 원칙을 개선할 기미만 보여 주면 시들게 되어 있거든….≪황석영, 객지≫
33. 나무판자 (나무板子) [나무판자]
한자: 板(널 판), 子(아들 자)
나무를 켜서 넓고 얇게 만든 판.
용례:
- 나무판자를 깔고 앉다.
- 벽돌 삼십 장씩 지고 휘청휘청하는 나무판자 다리로 올라갈 때 나무판자가 금방 부러지는 듯하여….≪강경애, 인간 문제≫
34. 난자 (卵子) [난:자]
한자: 卵(알 란:), 子(아들 자)
암컷의 생식 세포.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감수 분열에 의하여 생기며, 수정 후 발달하여 배(胚)를 형성한다.
35. 남자 (男子) [남자]
한자: 男(사내 남), 子(아들 자)
「1」남성으로 태어난 사람.
「2」한 여자의 남편이나 애인을 이르는 말.
용례:
- 「1」남자 친구.
- 「1」남자 탈의실.
- 「1」남자 화장실.
- 「1」한 젊은 남자가 가게 문을 밀고 들어왔다.
- 「1」그 처자 사람 부리는 휫손이 웬만한 남자 뺨치겠습니다.≪송기숙, 녹두 장군≫
- 「1」여자는 유리잔을 쥐고서 남자 앞에서 담배를 피울 것인지 아닌지 망설이고 있었다.≪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 「2」그녀는 아직 남자가 없다.
- 「2」너도 이제 좋은 남자 만나서 아들딸 낳고 잘 살아야지.
36. 낭자 (娘子) [낭자]
한자: 娘(계집 낭), 子(아들 자)
예전에, ‘처녀’(결혼하지 아니한 성년 여자.)를 높여 이르던 말.
용례:
낭자, 지나가는 과객이온데 목이 몹시 마르니 물 한 바가지만 주오.
37. 낭자 (郎子) [낭자]
한자: 郎(사내 랑), 子(아들 자)
예전에, 남의 집 총각을 점잖게 이르던 말.
용례:
소녀를 이 낭자의 짝이 되게 하여 주옵소서.
38. 내자 (內子) [내:자]
한자: 內(안 내:), 子(아들 자)
「1」남 앞에서 자기의 아내를 이르는 말.
「2」옛날 중국에서, 경대부의 정실(正室)을 이르던 말.
용례:
- 「1」내자가 될 사람.
- 「1」저의 내자가 들은 바로는 그렇다 합니다.
- 「1」아우들이 각기 자기 내자를 거느리고 자식새끼들이 하나둘 생겨나고 보면 그때는 사정이 달라지게 마련이고….≪이정환, 샛강≫
39. 널판자 (널板子) [널:판자]
한자: 板(널 판), 子(아들 자)
나무를 켜서 넓고 얇게 만든 판.
용례:
- 널판자로 칸막이를 하다.
- 드럼통 위에 널판자를 이은 좁다란 선창으로 그녀는 올라섰다.≪황석영, 영등포 타령≫
40. 눈동자 (눈瞳子) [눈똥자]
한자: 瞳(눈동자 동:), 子(아들 자)
「1」눈알의 한가운데에 있는, 빛이 들어가는 부분. 검게 보이며, 빛의 세기에 따라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홍채로 크기가 조절된다.
「2」눈알의 가운데에 색이 있는 부분.
용례:
- 「1」까만 눈동자.
- 「1」눈동자가 맑다.
- 「1」눈동자가 초점을 잃고 멍하게 풀어지다.
- 「2」푸른 눈동자.
- 「2」연갈색 눈동자.
41. 다자 (多子) [다자]
한자: 多(많을 다), 子(아들 자)
「1」많은 경대부(卿大夫).
「2」많은 자식.
42. 단자 (單子) [단자]
한자: 單(홑 단), 子(아들 자)
「1」부조나 선물 따위의 내용을 적은 종이. 돈의 액수나 선물의 품목, 수량, 보내는 사람의 이름 따위를 써서 물건과 함께 보낸다.
「2」사주 또는 후보자의 명단 따위를 적은 종이.
용례:
- 「1」부조 봉투에 단자를 써넣다.
- 「1」예물 단자를 적어 보면 황모시 열 필, 흰모시 스무 필, 검은 마포 열 필….≪박종화, 임진왜란≫
- 「2」결혼을 앞두고 사주를 쓴 단자를 보냈다.
43. 단자 (端子) [단자]
한자: 端(끝 단), 子(아들 자)
전기 기계나 기구 따위에서, 전력을 끌어들이거나 보내는 데 쓰는 회로의 끝부분.
용례:
- 입력 단자.
- 출력 단자.
- 단자를 꽂다.
44. 단표자 (單瓢子) [단표자]
한자: 單(홑 단), 瓢(표주박 표), 子(아들 자)
한 개의 표주박.
용례:
죽장망혜 단표자로 산천경개를 구경하다.
45. 독자 (獨子) [독짜]
한자: 獨(홀로 독), 子(아들 자)
「1」다른 자식이 없이 단 하나뿐인 아들.
「2」형제자매가 없는 사람.
용례:
「1」그는 독자로 자라서 형제간의 우애가 무엇인지 잘 몰랐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6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