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5

171. 의자 (義子) [의:자]

한자: 義(옳을 의:), 子(아들 자)

「1」아내가 전남편과의 사이에서, 또는 남편이 전처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2」남의 자식을 데려다가 제 자식처럼 기른 아들.
「3」의로 맺은 아들.

172. 이분자 (異分子) [이:분자]

한자: 異(다를 이:), 分(나눌 분(:)), 子(아들 자)

한 단체나 집단 안에 있으면서 그곳의 주된 주의, 사상, 성질, 종류와는 다른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

용례:

당내의 이분자를 처단하다.

173. 이색분자 (異色分子) [이:색뿐자]

한자: 異(다를 이:), 色(빛 색), 分(나눌 분(:)), 子(아들 자)

한 단체나 집단 안에 있으면서 그곳의 주된 주의, 사상, 성질, 종류와는 다른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

용례:

이색분자를 적발하다.

174. 이자 (利子) [이:자]

한자: 利(이할 리:), 子(아들 자)

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

용례:

  • 2푼 이자.
  • 이자 놀이.
  • 이자가 싸다.
  • 이자가 비싸다.
  • 이자를 내다.
  • 이자를 물다.
  • 이자를 받다.
  • 이자는커녕 본전도 못 받았다.
  • 이 돈은 이자까지 쳐서 꼭 갚겠다.

175. 이중중성자 (二重中性子) [이:중중성자]

한자: 二(두 이:), 重(무거울 중:), 中(가운데 중), 性(성품 성:), 子(아들 자)

「1」두 개의 중성자가 가상적으로 결합한 상태.
「2」어떤 핵반응에서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두 중성자의 결합 상태.

176. 인자 (人子) [인자]

한자: 人(사람 인), 子(아들 자)

「1」사람의 자식.
「2」예수 자신을 이르는 말. 구세주의 초월성과 동시에 그 인간성을 강조한 이름이다.

용례:

  • 「1」인자의 도리로서 생친께 추배를 받을 수 없사오니, 단지 추배하지 않고 칭명하지 않고….≪김동인, 운현궁의 봄≫
  • 「2」너희들은 인자의 영광이 하늘나라에서 이루어질 것을 모르느냐?≪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177. 일분자 (一分子) [일분자]

한자: 一(한 일), 分(나눌 분(:)), 子(아들 자)

어떤 조직체를 이루는 무리 속의 한 구성원.

용례:

자기도 이 넓은 세계의 한 사람으로서, 사회의 일분자로서, 한 사람 구실을 해야겠다는 향상심을 가지게 되었다.≪이기영, 고향≫

178. 일자 (日子) [일짜]

한자: 日(날 일), 子(아들 자)

날의 개수.

용례:

실습 일자가 모자라서 그래요. 먼젓번 감기를 앓느라고 사흘을 빠졌잖아요.≪오정희, 어둠의 집≫

179. 일자 (日子) [일짜]

한자: 日(날 일), 子(아들 자)

「1」어느 날이라고 정한 날.
「2」어느 해의 어느 달 며칠에 해당하는 그날.

용례:

  • 「1」시험 일자.
  • 「1」일자를 잡다.
  • 「1」회담 일자를 결정하다.
  • 「1」떠나간 남편은 돌아오마던 일자가 지나도 소식이 없다.
  • 「2」요기를 한 후 태영은 주막집 방의 훈훈한 온돌방에 앉아 벽에 붙어 있는 달력의 일자를 수첩에 기입했다.≪이병주, 지리산≫

180. 입자 (粒子) [입짜]

한자: 粒(낟알 립), 子(아들 자)

「1」물질을 구성하는 미세한 크기의 물체. 소립자, 원자, 분자, 콜로이드 따위를 이른다.
「2」물질의 일부로서, 구성하는 물질과 같은 종류의 매우 작은 물체.

용례:

「2」모래의 입자가 곱다.

181. 자사자 (子思子) [자사자]

한자: 子(아들 자), 思(생각 사(:)), 子(아들 자)

「1」춘추 시대에 자사가 펴낸 유학서. 원래 23편으로 되어 있었는데, 현재는 없어지고 ‘사서05’(四書) 가운데 ≪중용≫이 그 가운데 남은 것이라고 한다.
「2」중국 송나라 왕탁(汪晫)이 편집한 유학서. ≪중용≫과 그 밖의 책에서 자사의 언행을 모아, 내외편(內外篇) 9편으로 정리하였다. 1권.

182. 잘배자 (잘褙子) [잘:배자]

한자: 褙(배자 배), 子(아들 자)

검은담비의 털가죽을 대어 지은 배자.

용례:

검은 잘배자의 야들한 털이 층층이 무늬를 지어 촛불 아래 찬란하다.≪박종화, 임진왜란≫

183. 장의자 (長椅子) [장의자]

한자: 長(긴 장(:)), 椅(의자 의), 子(아들 자)

여러 사람이 앉을 수 있게 가로로 길게 만든 의자.

용례:

초라한 응접탁자 앞에 장의자가 있고, 안쪽으로 창가에는…안락의자가 두 개 나란히 놓여 있었다.≪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184. 장자 (長子) [장:자]

한자: 長(긴 장(:)), 子(아들 자)

둘 이상의 아들 가운데 맏이가 되는 아들.

용례:

장자란 누구냐? 아버지와 맞잡이가 되는 사람 아니냐? 아버지를 여의면 장자가 아버지 역할을 한다. 그래서 장자는 소중하고 귀한 사람이지.≪최명희, 혼불≫

185. 적색분자 (赤色分子) [적쌕뿐자]

한자: 赤(붉을 적), 色(빛 색), 分(나눌 분(:)), 子(아들 자)

사회주의자나 공산주의자를 이르는 말.

용례:

적색분자 색출.

186. 적자 (嫡子) [적짜]

한자: 嫡(정실 적), 子(아들 자)

정실이 낳은 아들.

용례:

왕의 적자에게 왕권을 물려주다.

187. 전자 (電子) [전:자]

한자: 電(번개 전:), 子(아들 자)

음전하를 가지고 원자핵의 주위를 도는 소립자의 하나. 질량은 9.1090×10-31kg이며, 약 0.511MeV이다. 원자의 전자 수는 그 원자 번호와 같다. 19세기 말, 진공 방전에 의한 음극선 입자로서 발견되었다. 기호는 e.

188. 접의자 (접椅子) [저븨자]

한자: 椅(의자 의), 子(아들 자)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만든 의자.

용례:

접의자를 펴고 앉다.

189. 정수분자 (精粹分子) [정수분자]

한자: 精(정할 정), 粹(순수할 수), 分(나눌 분(:)), 子(아들 자)

어떤 사회나 단체에서, 가장 우수하고 기본적이며 핵심이 되는 사람.

용례:

나는 이 보광당을 언제 해산해도 당원들이 민족과 나라를 위한 정수분자로서 각각 행동할 수 있도록 단련하는 단체로 만들고 싶습니다.≪이병주, 지리산≫

190. 정예분자 (精銳分子) [정예분자]

한자: 精(정할 정), 銳(날카로울 예:), 分(나눌 분(:)), 子(아들 자)

사회나 단체에서 가장 능력이 우수하고 일에 기운차게 앞질러 나설 힘이 있는 사람.

용례:

조정에서 만민 공동회의 정예분자들을 체포하기로 한 것과 때를 같이하여….≪문순태, 타오르는 강≫

191. 정자 (亭子) [정자]

한자: 亭(정자 정), 子(아들 자)

경치가 좋은 곳에 놀거나 쉬기 위하여 지은 집.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다.

용례:

  • 정자에 오르다.
  • 사랑채와 안채를 중심하여 사면에 누각과 같은 큰 문들이 있었고, 뜰 안엔 네 개의 정자와 그 정자를 둘러싼 큰 연못이 있었다.≪정한숙, 고가≫

192. 정자 (精子) [정자]

한자: 精(정할 정), 子(아들 자)

생물의 수컷의 생식 세포. 사람의 경우 길이는 0.05mm가량이고 머리, 목, 꼬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운동성이 뛰어나다. 모든 후생동물과 은행나무, 이끼, 고사리류, 소철 따위에서 볼 수 있다.

193. 제자 (弟子) [제:자]

한자: 弟(아우 제:), 子(아들 자)

「1」스승으로부터 가르침을 받거나 받은 사람.
「2」예수의 가르침을 받아 그의 뒤를 따르는 사람.

용례:

  • 「1」제자로 삼다.
  • 「1」제자를 기르다.
  • 「1」스승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제자의 도리이다.
  • 「1」가끔씩 옛날의 제자들이 찾아오는 걸로 보아 아주 나쁜 선생은 아니었던 것 같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 「1」종소리 나는 곳을 찾아가 보니, 산속에는 한 채 깨끗한 절간이 있고, 절 속에는 노장 스님이 제자들에게 불경을 가르치고 있었다.≪박종화, 임진왜란≫

194. 조자 (調子) [조자]

한자: 調(고를 조), 子(아들 자)

소리의 높낮이가 길이나 리듬과 어울려 나타나는 음의 흐름.

용례:

  • 구룡소로부터는 수석(水石)의 정재(呈才)가 갈수록 조자를 높여서 견디어….≪최남선, 금강 예찬≫
  • 휘파람을 불어 본다.…권학가를 조자를 맞추어서 날카롭게 불어 넘겼다.≪김남천, 대하≫

195. 족자 (簇子) [족짜]

한자: 簇(가는대[小竹] 족), 子(아들 자)

「1」그림이나 글씨 따위를 벽에 걸거나 말아 둘 수 있도록 양 끝에 가름대를 대고 표구한 물건.
「2」정재(呈才) 때 쓰던 제구의 하나.

용례:

  • 「1」그는 서재 벽면에 두 자 폭의 족자를 걸었다.
  • 「1」사방탁자와 문갑이 한쪽에 놓였고 액자와 족자도 서넛 걸려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196. 종손자 (從孫子) [종:손자]

한자: 從(좇을 종(:)), 孫(손자 손(:)), 子(아들 자)

형이나 아우의 손자.

용례:

장시흥 씨는 안채로 들어가려던 발길을 돌려 불을 켠 채로 책을 보고 있는 종손자의 방을 기웃거렸다.≪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197. 종자 (宗子) [종자]

한자: 宗(마루 종), 子(아들 자)

종가(宗家)의 맏아들.

용례:

형준이가 만약 장남이 아니고, 집안을 계승할 책임이 있는 종자가 아니라면….≪김남천, 대하≫

198. 종자 (從子) [종:자]

한자: 從(좇을 종(:)), 子(아들 자)

형제자매의 자식을 이르는 말. 주로 친조카를 이른다.

용례:

무왕의 종자 복신과 중 도침을 중심으로 한 일련의 광복 운동 과정들이 너무도 처절하고….≪이청준, 춤추는 사제≫

199. 종자 (種子) [종자]

한자: 種(씨 종(:)), 子(아들 자)

「1」식물에서 나온 씨 또는 씨앗.
「2」동물의 혈통이나 품종. 또는 그로부터 번식된 새끼.
「3」사람의 혈통을 낮잡아 이르는 말.
「4」유식종(唯識宗)에서, 아라야식 가운데 들어 있는, 만유의 물심 현상을 내는 마음의 힘. 또는 그런 작용을 이르는 말.
「5」진언종에서, 불보살 따위의 인물이나 수(水)·화(火) 따위의 사물을 낸다고 하는 범자를 이르는 말.

용례:

  • 「1」종자로 쓰다.
  • 「1」종자를 심다.
  • 「1」종자를 뿌리다.
  • 「1」종자를 섞다.
  • 「1」종자를 퍼뜨리다.
  • 「1」새로운 종자를 개발하다.
  • 「1」벼의 종자를 개량하여 소출을 늘렸다.
  • 「1」느릅나무 껍질과 건초로 연명하는 농민들은 종자 알곡까지 관청에 갖다 바쳐야 했다.
  • 「2」종자가 좋은 개.
  • 「2」혈통은 가축들의 종자를 개량할 때만 필요한 거지 인간에게는 전혀 해당되지 않소.≪홍성원, 육이오≫
  • 「3」그런 자식이 어찌 사람의 종자란 말이냐?

200. 종파분자 (宗派分子) [종파분자]

한자: 宗(마루 종), 派(갈래 파), 分(나눌 분(:)), 子(아들 자)

개인이나 분파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집단이나 분파.

용례:

지금 북쪽에선 우리를 이현상에게 추종하는 종파분자의 졸개들이라고 생각하고 있을 거요.≪이병주, 지리산≫

201. 좌익분자 (左翼分子) [좌:익뿐자]

한자: 左(왼 좌:), 翼(날개 익), 分(나눌 분(:)), 子(아들 자)

사회 운동에 있어서 급진적·과격적 당파에 속한 사람. 일반적으로 공산당에 속한 사람을 이른다.

용례:

흔히 당시의 참상을 이데올로기의 대치니 이데올로기의 희생이니 하는데, 좌익분자는 모르겠지만 지방 빨갱이들은 그 이데올로기가 무엇인지 아는 사람이 별로 없었을 테니까.≪이영치, 흐린 날 황야에서≫

202. 주전자 (酒煎子) [주전자]

한자: 酒(술 주(:)), 煎(달일 전(:)), 子(아들 자)

물이나 술 따위를 데우거나 담아서 따르게 만든 그릇. 귀때와 손잡이가 달려 있으며, 쇠붙이나 사기로 만든다.

용례:

  • 물 한 주전자.
  • 주전자에 물을 끓이다.
  • 주전자에서 물을 따라 마시다.
  • 주전자에 물이 한 방울도 남아 있지 않았다.
  • 도석은 주전자를 기울여 잔에 술을 가득 채웠다.≪최인호, 지구인≫

203. 중간자 (中間子) [중간자]

한자: 中(가운데 중), 間(사이 간(:)), 子(아들 자)

「1」이쪽에도 저쪽에도 속하지 아니하고 양쪽의 사이에 있는 것.
「2」전자보다 무겁고 양성자보다 가벼운 질량을 가진 소립자. 1935년에 일본의 유카와 히데키(湯川秀樹)가 존재를 예언한 후, 우주선 속에서 발견되었다. 뮤(μ) 중간자, 파이(π) 중간자, 케이(K) 중간자가 있다. 수명은 짧고, 불안정하며, 붕괴되어 더 가벼운 소립자가 된다.

용례:

「1」천체에 비하면 허무에 가까울 만큼 작은 것, 미생물에 비하면 무한에 가까울 만큼 위대한 것, 그러니까 인간은 중간자라고 한 것은 파스칼 아니었던가요?≪이병주, 지리산≫

204. 중산모자 (中山帽子) [중산모자]

한자: 中(가운데 중), 山(메 산), 帽(모자 모), 子(아들 자)

꼭대기가 둥글고 높은 서양 모자. 예장용은 검은색, 승마용·산책용은 회색 또는 밤색이 보통이다.

용례:

그는 나보다 5세 연상으로 파란 두루마기를 입고 난데없는 중산모자를 쓰고….≪변영로, 명정 40년≫

205. 중절모자 (中折帽子) [중절모자]

한자: 中(가운데 중), 折(꺾을 절), 帽(모자 모), 子(아들 자)

꼭대기의 가운데를 눌러쓰는, 챙이 둥글게 달린 신사용의 모자.

용례:

중절모자를 눌러쓰고 회색 춘추 코트를 입고 코 밑의 소위 카이젤 수염이란 게 엄숙하다.≪박경리, 토지≫

206. 증손자 (曾孫子) [증손자]

한자: 曾(일찍 증), 孫(손자 손(:)), 子(아들 자)

손자의 아들. 또는 아들의 손자.

용례:

  • 홀아비 신세에 눈먼 손자를 그런대로 키워 그 손자 몸에서 7대 독자인 증손자를 겨우겨우 얻어 내면서부터….≪전상국, 하늘 아래 그 자리≫
  • 아들이 있고 손자가 있고 증손자까지 두었건마는 그래도 수원집만은 모두 못하였다.≪염상섭, 삼대≫

207. 지혈겸자 (止血鉗子) [지혈겸자]

한자: 止(그칠 지), 血(피 혈), 鉗(집게 겸), 子(아들 자)

‘지혈 집게’(외과 수술을 할 때 나오는 피를 멎게 하는 데 쓰는 집게.)의 전 용어.

용례:

간호원과 조수가 한 교수의 옆에서 절개한 부분의 핏줄을 세밀히 찾아 지혈 겸자로 묶어 놓고, 피를 닦아 냈다.≪황석영, 한 씨 연대기≫

208. 진자 (振子) [진:자]

한자: 振(떨칠 진:), 子(아들 자)

줄 끝에 추를 매달아 좌우로 왔다 갔다 하게 만든 물체.

용례:

진자 운동.

209. 찻주전자 (찻酒煎子) [차쭈전자]

한자: 酒(술 주(:)), 煎(달일 전(:)), 子(아들 자)

차를 끓이는 데에 쓰는 주전자.

용례:

  • 찻주전자에 찻물을 넣다.
  • 찻주전자를 기울여 차를 따르자 향긋한 차 냄새가 온 방 안을 감돈다.

210. 책자 (冊子) [책짜]

한자: 冊(책 책), 子(아들 자)

일정한 목적, 내용, 체재에 맞추어 사상, 감정, 지식 따위를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여 적거나 인쇄하여 묶어 놓은 것.

용례:

  • 그는 극동으로 특파되기 전에 일본과 한국에 관한 몇 종의 책자들을 구해 읽었다.≪홍성원, 육이오≫
  • 그는 자리에 앉자마자 지체 없이 지퍼를 내리고는 왼쪽 안주머니에서 문고판 책자를 꺼내 들었다.≪이영치, 흐린 날 황야에서≫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子 아들 자 - 6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