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井 우물 정:

1. 감정 (甘井) [감정]

한자: 甘(달 감), 井(우물 정(:))

물맛이 좋은 우물.

2. 개금정 (開金井) [개금정]

한자: 開(열 개), 金(쇠 금), 井(우물 정(:))

관을 묻기 위하여 ‘井’ 자 모양의 나무틀을 놓고 구덩이를 팜.

3. 갱정 (坑井) [갱정]

한자: 坑(구덩이 갱), 井(우물 정(:))

지하자원을 찾아내거나 광석의 운반 또는 통풍을 위하여, 수평 갱도와 연결하여 수직으로 또는 경사지게 파 들어가는 작은 갱도.

4. 견정 (肩井) [견정]

한자: 肩(어깨 견), 井(우물 정(:))

담경(膽經)에 속한 혈(穴)의 이름. 어깨 위의 가장 위쪽 부분으로 팔을 펴면 오목하게 들어가며 삼지(三指)로 눌렀을 때 중지가 닿는 곳이다.

5. 공정 (空井) [공정]

한자: 空(빌 공), 井(우물 정(:))

물이 말라 버린 우물.

6. 공정 (空井) [공정]

한자: 空(빌 공), 井(우물 정(:))

건물 내부에 수직으로 2~3층 높이의 큰 공간을 이루게 한 부분이나, 벽 없이 기둥만 세워서 바깥을 향하여 열려 있는 부분.

7. 관정 (管井) [관정]

한자: 管(대롱/주관할 관), 井(우물 정(:))

둥글게 판 우물. 또는 둘레가 대롱 모양으로 된 우물.

용례:

  • 지하수 관정 수질 검사.
  • 가뭄을 극복하기 위해서 그 마을에서는 새로운 관정을 팠다.

8. 광정 (光井) [광정]

한자: 光(빛 광), 井(우물 정(:))

지붕에서 천장면까지 통처럼 뚫어 놓아 그 안의 반사율을 높게 만들어 놓은 지붕창.

9. 광정 (鑛井) [광:정]

한자: 鑛(쇳돌 광:), 井(우물 정(:))

광산의 구덩이.

10. 굴착정 (掘鑿井) [굴착쩡]

한자: 掘(팔 굴), 鑿(뚫을 착), 井(우물 정(:))

땅이나 암석 따위를 파고 뚫어서 생긴 구덩이.

11. 금정 (金井) [금정]

한자: 金(쇠 금), 井(우물 정(:))

「1」무덤을 만들 때에, 구덩이의 길이와 너비를 재기 위하여 쓰는 틀. 나무로 만들며, 모양은 ‘井’ 자이다. 땅바닥에 놓고 그 안으로 땅을 파서 굿을 만든다.
「2」뫼를 쓰기 위하여 판 구덩이.
「3」‘우물’(물을 긷기 위하여 땅을 파서 지하수를 괴게 한 곳. 또는 그런 시설.)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

용례:

「1」금정을 놓다.

12. 내금정 (內金井) [내:금정]

한자: 內(안 내:), 金(쇠 금), 井(우물 정(:))

금정틀을 놓고 구덩이를 판 다음, 그 안에 관을 놓을 자리로 파낸 곳.

13. 노정 (露井) [노정]

한자: 露(이슬 로(:)), 井(우물 정(:))

지붕이 없는 우물.

14. 매기정 (煤氣井) [매기정]

한자: 煤(그을음 매), 氣(기운 기), 井(우물 정(:))

그을음이 섞인 연기를 내뿜는 우물이라는 뜻으로, ‘유정’(석유의 원유를 퍼내는 샘.)을 달리 이르는 말.

15. 부정 (腐井) [부:정]

한자: 腐(썩을 부:), 井(우물 정(:))

물이 썩은 우물.

16. 분수정 (噴水井) [분:수정]

한자: 噴(뿜을 분), 水(물 수), 井(우물 정(:))

압력 때문에 지하수가 저절로 뿜어져 나오는 우물. 지하수와 지층이 굽어 있는 낮은 곳에 고인 물은 강한 압력을 받아 솟아오른다.

17. 분유정 (噴油井) [부:뉴정]

한자: 噴(뿜을 분), 油(기름 유), 井(우물 정(:))

지하의 석유가 천연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땅 위로 높이 분출하는 유정.

18. 석유정 (石油井) [서규정]

한자: 石(돌 석), 油(기름 유), 井(우물 정(:))

석유의 원유를 퍼내는 샘.

19. 석정 (石井) [석쩡]

한자: 石(돌 석), 井(우물 정(:))

벽을 돌로 쌓아 올린 우물.

20. 소금정 (小金井) [소:금정]

한자: 小(작을 소:), 金(쇠 금), 井(우물 정(:))

관을 덧씌우거나 시체를 덮는 제구. 대나 나무의 가늘고 길게 오린 조각으로 만들고 그 위에 종이를 바른다.

21. 시굴정 (試掘井) [시:굴쩡]

한자: 試(시험 시(:)), 掘(팔 굴), 井(우물 정(:))

지표면에서 목표로 한 지층까지 뚫은 우물 모양의 수직 굴.

22. 시정 (市井) [시:정]

한자: 市(저자 시:), 井(우물 정(:))

「1」인가가 모인 곳. 중국 상대(上代)에 우물이 있는 곳에 사람이 모여 살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2」시장에서 장사하는 사람의 무리.

용례:

  • 「1」시정의 무뢰배.
  • 「1」시정의 백성.
  • 「1」시정의 소인배.
  • 「1」시정의 아낙.
  • 「1」시정의 협객.
  • 「1」그 사람은 시정의 장사치가 아니다.
  • 「1」조정보다도 시정 소문은 더 빨랐다. 흥선은 지방에서 일어난 모든 일을 쏜살같이 알았다.≪박종화, 전야≫

23. 심정 (深井) [심:정]

한자: 深(깊을 심), 井(우물 정(:))

깊은 우물.

용례:

  • 천 길 심정.
  • 심정을 파다.

24. 암정 (巖井) [암정]

한자: 巖(바위 암), 井(우물 정(:))

바위틈에서 솟아나는 샘.

25. 압입정 (壓入井) [아빕쩡]

한자: 壓(누를 압), 入(들 입), 井(우물 정(:))

유층(油層)에 남아 있는 기름을 유정(油井) 가까이 밀어 보내기 위하여 가스나 물과 같은 유체를 압력을 가하여 밀어 넣는 갱정(坑井).

26. 염정 (鹽井) [염정]

한자: 鹽(소금 염), 井(우물 정(:))

「1」소금을 얻기 위하여 바닷물을 모아 두는 웅덩이.
「2」염분이 들어 있는 우물.

27. 온정 (溫井) [온정]

한자: 溫(따뜻할 온), 井(우물 정(:))

「1」땅속에서 따뜻한 물이 솟는 우물.
「2」지열에 의하여 지하수가 그 지역의 평균 기온 이상으로 데워져 솟아 나오는 샘. 온천의 온도 한계는 일정하지 않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5℃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여러 가지 광물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의료에 효과가 있다.

28. 옹정 (甕井) [옹:정]

한자: 甕(독 옹:), 井(우물 정(:))

밑바닥을 없앤 독을 묻어서 만든 우물.

29. 외금정 (外金井) [외:금정]

한자: 外(바깥 외:), 金(쇠 금), 井(우물 정(:))

무덤의 구덩이를 팔 때, 길이와 넓이를 금정틀에 맞추어 파낸 곳.

30. 원정 (圓井) [원정]

한자: 圓(둥글 원), 井(우물 정(:))

「1」둥근 우물.
「2」둥근 구덩이.

31. 유정 (乳井) [유정]

한자: 乳(젖 유), 井(우물 정(:))

젖소의 젖에서 나온 두 줄의 정맥이 배 안으로 들어가는 구멍.

32. 유정 (油井) [유정]

한자: 油(기름 유), 井(우물 정(:))

석유의 원유를 퍼내는 샘.

용례:

  • 유정에 불이 붙자 불기둥이 치솟았다.
  • 유정에서 석유를 채취한다.

33. 자분정 (自噴井) [자분정]

한자: 自(스스로 자), 噴(뿜을 분), 井(우물 정(:))

불투수층 사이의 투수층에 있는 지하수가 지층의 압력에 의하여 지표상으로 솟아 나오는 우물.

34. 전시정 (廛市井) [전:시정]

한자: 廛(가게 전:), 市(저자 시:), 井(우물 정(:))

가게를 차리고 물건을 파는 사람.

35. 정정 (井井) [정정]

한자: 井(우물 정(:)), 井(우물 정(:))

‘정정하다’
(「1」질서나 조리가 정연하다.
「2」왕래가 빈번하다.)의 어근.

36. 주입정 (注入井) [주:입쩡]

한자: 注(부을 주:), 入(들 입), 井(우물 정(:))

석유를 2차로 회수할 때에 가스나 물 같은 유체를 밀어 넣는 갱정. 유층에 남아 있는 기름을 유정 가까이 밀어 보내기 위하여 저류층에 시추한다.

37. 준정 (浚井) [준:정]

한자: 浚(깊게할 준:), 井(우물 정(:))

우물을 깨끗이 쳐냄.

38. 지열정 (地熱井) [지열정]

한자: 地(따 지), 熱(더울 열), 井(우물 정(:))

땅 밑에 있는 지열을 끌어 올리려고 판 구덩이.

39. 집수정 (集水井) [집쑤정]

한자: 集(모을 집), 水(물 수), 井(우물 정(:))

두 개 이상의 수원(水源)이나 못, 우물로부터 물을 모아 하류로 보내는 큰 우물.

40. 착정 (鑿井) [착쩡]

한자: 鑿(뚫을 착), 井(우물 정(:))

우물을 팜.

41. 찬정 (鑽井) [찬:정]

한자: 鑽(뚫을 찬), 井(우물 정(:))

「1」우물을 팜. 또는 그 우물.
「2」불투수층 사이의 투수층에 있는 지하수가 지층의 압력에 의하여 지표상으로 솟아 나오는 우물.

42. 취수정 (取水井) [취:수정]

한자: 取(가질 취:), 水(물 수), 井(우물 정(:))

땅속의 물을 끌어 올리기 위하여 만든 우물.

43. 탁정 (濁井) [탁쩡]

한자: 濁(흐릴 탁), 井(우물 정(:))

물이 맑지 아니한 우물.

44. 탕정 (湯井) [탕:정]

한자: 湯(끓을 탕:), 井(우물 정(:))

더운물이 솟는 우물.

45. 태정 (苔井) [태정]

한자: 苔(이끼 태), 井(우물 정(:))

이끼가 낀 우물.

46. 폐정 (廢井) [폐:정]

한자: 廢(폐할/버릴 폐:), 井(우물 정(:))

우물을 쓰지 않고 버려둠. 또는 그 우물.

용례:

  • 그 마을의 중앙에 폐정이 하나 있다.
  • 어머니 머릿방 아씨가 빠져 죽은 우물은 폐정이 되었을 뿐 아니라….≪박완서, 미망≫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