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 자죄 (自罪) [자죄]
한자: 自(스스로 자), 罪(허물 죄:)
생각이나 말 또는 행위에 있어서, 알고 있으면서도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는 죄. ‘원죄’(인류의 시조인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따 먹은 죄 때문에 모든 인간이 날 때부터 가지고 있다는 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162. 작죄 (作罪) [작쬐]
한자: 作(지을 작), 罪(허물 죄:)
죄를 지음. 또는 그 죄.
용례:
전세에 작죄가 극심하여 여신(女身)으로 환생하옵고….≪한무숙, 이사종의 아내≫
163. 장닉죄 (藏匿罪) [장닉쬐]
한자: 藏(감출 장:), 匿(숨길 닉), 罪(허물 죄:)
벌금형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범죄자를 은닉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
164. 장물죄 (贓物罪) [장물쬐]
한자: 贓(장물 장), 物(물건 물), 罪(허물 죄:)
장물을 직접 취득·양여·운반·보관하거나 이러한 행위를 하도록 알선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
165. 장죄 (杖罪) [장:쬐]
한자: 杖(지팡이 장(:)), 罪(허물 죄:)
장형(杖刑)에 해당하는 죄.
166. 장죄 (贓罪) [장쬐]
한자: 贓(장물 장), 罪(허물 죄:)
「1」관리가 뇌물을 받은 죄.
「2」장물을 직접 취득·양여·운반·보관하거나 이러한 행위를 하도록 알선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
167. 장품죄 (贓品罪) [장품쬐]
한자: 贓(장물 장), 品(물건 품:), 罪(허물 죄:)
장물을 직접 취득·양여·운반·보관하거나 이러한 행위를 하도록 알선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
168. 재물죄 (財物罪) [재물쬐]
한자: 財(재물 재), 物(물건 물), 罪(허물 죄:)
다른 사람의 재물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 절도죄, 횡령죄, 손괴죄, 장물죄 따위이다.
169. 재산죄 (財産罪) [재산쬐]
한자: 財(재물 재), 産(낳을 산:), 罪(허물 죄:)
법률에 의하여 보호되는 재산을 침해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 절도와 강도의 죄, 사기와 공갈의 죄, 횡령과 배임(背任)의 죄 따위이다.
170. 저죄 (抵罪) [저:죄]
한자: 抵(막을[抗] 저:), 罪(허물 죄:)
죄의 경중에 따라 형벌을 받음.
171. 적죄 (積罪) [적쬐]
한자: 積(쌓을 적), 罪(허물 죄:)
죄를 많이 지음.
용례:
내가 무슨 적죄를 그리 많이 했기에 집안에 상고가 이리 그치지 않는가.≪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72. 전복죄 (顚覆罪) [전:복쬐]
한자: 顚(엎드러질/이마 전:), 覆(다시 복), 罪(허물 죄:)
승객이 있는 기차, 전차 따위의 차량을 전복하거나 파괴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
173. 전죄 (前罪) [전죄]
한자: 前(앞 전), 罪(허물 죄:)
이전에 저지른 죄.
용례:
소요에 가담했던 사람들도 모두 돌아가 안업에 종사하면 상하를 가리지 않고 전죄를 묻지 않을 것이다.≪송기숙, 녹두 장군≫
174. 절도죄 (竊盜罪) [절또쬐]
한자: 竊(훔칠 절), 盜(도둑 도(:)), 罪(허물 죄:)
남의 재물을 몰래 훔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
용례:
- 절도죄가 성립하다.
- 절도죄로 징역을 살다.
- 절도죄를 범하다.
- 절도죄로 감옥을 제집 드나들 듯하던 그의 형도 폐결핵을 앓다가 딸 둘을 남겨 놓고 죽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175. 정죄 (定罪) [정:죄]
한자: 定(정할 정:), 罪(허물 죄:)
「1」죄가 있다고 단정함.
「2」전생에 정하여진 죄.
176. 정죄 (情罪) [정죄]
한자: 情(뜻 정), 罪(허물 죄:)
사정과 죄상을 아울러 이르는 말.
177. 정죄 (淨罪) [정죄]
한자: 淨(깨끗할 정), 罪(허물 죄:)
「1」죄를 깨끗이 씻음.
「2」이 세상에서 죄의 보속(補贖)을 다 하지 않은 사람이 죽은 후에 연옥에서 불로써 죄를 씻고 천국에 들어가는 일.
178. 조직범죄 (組織犯罪) [조직뻠:죄]
한자: 組(짤 조), 織(짤 직), 犯(범할 범:), 罪(허물 죄:)
여러 사람이 조직을 이루어 함께 저지르는 범죄. 규모가 크고 피해도 사회 전체에 미치는 특성이 있다.
용례:
검찰과 경찰은 인신매매나 마약 밀매 같은 조직범죄를 뿌리 뽑기로 했다.
179. 종죄 (從罪) [종죄]
한자: 從(좇을 종(:)), 罪(허물 죄:)
방조범에게 과하는 죄.
180. 좌죄 (坐罪) [좌:죄]
한자: 坐(앉을 좌:), 罪(허물 죄:)
연좌되어 벌을 받음.
181. 죄기죄 (罪其罪) [죄:기죄]
한자: 罪(허물 죄:), 其(그 기), 罪(허물 죄:)
그 죄에 대하여 벌을 줌.
182. 죽을죄 (죽을罪) [주글쬐]
한자: 罪(허물 죄:)
죽어 마땅한 큰 죄.
용례:
- 죽을죄를 지었으니 한 번만 용서해 주십시오.
- 하룻밤 외박을 했다고 무슨 죽을죄를 진 것처럼 축 늘어져 있는 꼴이 이상하단 말이야.≪이병주, 행복어 사전≫
- 철모르는 어린것한테 무슨 죽을죄가 있다고 요 지경으로 산송장을 만들더란 말이냐?≪윤흥길, 완장≫
183. 준범죄 (準犯罪) [준:범죄]
한자: 準(준할 준:), 犯(범할 범:), 罪(허물 죄:)
형법상의 범죄는 아니지만 민사상의 손해 배상 책임이 생기는 행위.
184. 중범죄 (重犯罪) [중:범죄]
한자: 重(무거울 중:), 犯(범할 범:), 罪(허물 죄:)
높은 형량을 받을 정도로 크고 무거운 범죄.
용례:
- 중범죄를 저지르다.
- 일반적으로 중범죄에는 방화, 살인, 강도 등이 포함된다.
185. 중죄 (重罪) [중:죄]
한자: 重(무거울 중:), 罪(허물 죄:)
「1」무거운 죄.
「2」십중금계(十重禁戒)를 범한 무거운 범죄.
용례:
- 「1」중죄를 저지르다.
- 「1」중죄를 짓다.
- 「1」예전에 불효는 중죄로 다스려 무거운 형벌을 내렸다.
186. 중혼죄 (重婚罪) [중:혼쬐]
한자: 重(무거울 중:), 婚(혼인할 혼), 罪(허물 죄:)
아내나 남편이 있는 사람이 다른 사람과 다시 혼인함으로써 성립하는 죄.
용례:
의리부동한 놈이니 남의 누이를 유인하여 타락을 시켜 놓았느니 하며 욕설을 퍼붓다가 사기횡령과 중혼죄로 고소를 한다고 이를 갈아붙였다.≪염상섭, 썩은 호도≫
187. 증뢰죄 (贈賂罪) [증뇌쬐]
한자: 贈(줄[送] 증), 賂(뇌물 뢰), 罪(허물 죄:)
뇌물을 주거나 줄 의사를 표시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증회죄)
188. 지죄 (知罪) [지죄]
한자: 知(알 지), 罪(허물 죄:)
자기가 지은 죄를 앎.
189. 질료죄 (質料罪) [질료쬐]
한자: 質(바탕 질), 料(헤아릴 료(:)), 罪(허물 죄:)
악인 줄을 모르고 저지른 죄.
190. 집합죄 (集合罪) [지팝쬐]
한자: 集(모을 집), 合(합할 합), 罪(허물 죄:)
다수의 행위자가 같은 목표를 향하여 같은 방향에서 공동으로 작용하는 범죄. 소요죄, 내란죄 따위가 있다.
191. 차죄 (遮罪) [차:죄]
한자: 遮(가릴 차(:)), 罪(허물 죄:)
그 자체는 죄가 아니지만 그로 말미암아 성죄(性罪)를 초래하는 행위.
192. 참죄 (斬罪) [참:쬐]
한자: 斬(벨 참(:)), 罪(허물 죄:)
참형을 당할 정도의 죄.
193. 첨죄 (添罪) [첨죄]
한자: 添(더할 첨), 罪(허물 죄:)
이미 죄가 있는 사람이 거듭 죄를 저지름.
194. 청죄 (請罪) [청죄]
한자: 請(청할 청), 罪(허물 죄:)
「1」저지른 죄에 대하여 벌을 줄 것을 청함.
「2」감형(減刑)하거나 면죄(免罪)하여 줄 것을 청함.
195. 청죄 (聽罪) [청죄]
한자: 聽(들을 청), 罪(허물 죄:)
죄를 고백하는 것을 들음.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罪 허물 죄: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罪 허물 죄: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罪 허물 죄: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罪 허물 죄: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罪 허물 죄: - 6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