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2

46. 당제 (堂祭) [당제]

한자: 堂(집 당), 祭(제사 제:)

마을 사람들이 마을을 지켜 주는 신인 동신(洞神)에게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 마을 사람들의 무병과 풍년을 빌며 정월 대보름날에 서낭당, 산신당, 당산(堂山) 따위에서 지낸다.(노신제,동신제,동제,부락제,산천제,수살제,토신제)

용례:

당산 집은 마을의 수호신인 당 할머니를 모시고 매년 당제를 모시는 곳이기 때문에 그만큼 신성하게 여기는 곳이었다.≪송기숙, 암태도≫

47. 대감제 (大監祭) [대:감제]

한자: 大(큰 대(:)), 監(볼 감), 祭(제사 제:)

무당이 대감이라는 신에게 지내는 제사.

48. 대사제 (大司祭) [대:사제]

한자: 大(큰 대(:)), 司(맡을 사), 祭(제사 제:)

「1」구약 시대에, 하나님에게 제사 지내는 일을 맡아보던 성직자.
「2」‘예수 그리스도’를 달리 이르는 말. 사제의 우두머리이며 근원이라는 뜻이다.
「3」한 도시의 가장 높은 사제. 5세기경부터 생긴 성직이다.

49. 대제 (大祭) [대:제]

한자: 大(큰 대(:)), 祭(제사 제:)

「1」큰 제사.
「2」조선 시대에, 종묘·사직·영녕전에서 지내던 큰 제사.

50. 대축제 (大祝祭) [대:축쩨]

한자: 大(큰 대(:)), 祝(빌 축), 祭(제사 제:)

큰 경축 행사.

용례:

지역 농산물 대축제가 열려 제철 과일과 채소를 싸게 구입했다.

51. 도당제 (都堂祭) [도당제]

한자: 都(도읍 도), 堂(집 당), 祭(제사 제:)

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 무당이 주재한다는 점이 동신제와 다르다.

52. 독산제 (獨山祭) [독싼제]

한자: 獨(홀로 독), 山(메 산), 祭(제사 제:)

은산 별신제 절차의 하나. 하당굿 3일 뒤에 제주(祭主)가 별자만 데리고 당 아래 있는 독산 제단에 가서 간단히 지내는 제사이다.

53. 동빙제 (凍氷祭) [동:빙제]

한자: 凍(얼 동:), 氷(얼음 빙), 祭(제사 제:)

조선 시대에, 겨울이 너무 따뜻하거나 눈이 오지 않을 때, 또는 얼음을 떠서 빙고(氷庫)에 넣거나 빙고를 열 때 지내던 제사.(사한제,장빙제)

54. 둑제 (纛▽祭) [둑쩨]

한자: 纛(둑[儀仗旗] 독), 祭(제사 제:)

임금의 행차나 군대의 행렬 앞에 세우는 둑에 지내던 제사.

55. 떡국제 (떡국祭) [떡꾹쩨]

한자: 祭(제사 제:)

「1」설날에 메 대신에 떡국으로 지내는 차례.
「2」전라북도에서 섣달그믐날 저녁에 지내는 제사. 꿩고기를 넣고 끓인 떡국으로 제사를 지낸다.

56. 마신제 (馬神祭) [마:신제]

한자: 馬(말 마:), 神(귀신 신), 祭(제사 제:)

예전에, 음력 10월의 말날에 시루떡을 마구간에 차려 놓고 말의 건강을 빌던 제사.

57. 마제 (禡祭) [마:제]

한자: 禡(마제(禡祭) 마), 祭(제사 제:)

군대가 출정할 때, 그 군대가 머무르는 곳에서 군신(軍神)에게 무운(武運)을 빌던 제사.

58. 만월제 (滿月祭) [마:눨쩨]

한자: 滿(찰 만(:)), 月(달 월), 祭(제사 제:)

보름날을 택하여 지내는 제사나 굿. 하회 별신굿인 경우 마지막 행사인 거리굿을 음력 정월 대보름날 자정에 하고 끝낸다.

59. 망령제 (亡靈祭) [망녕제]

한자: 亡(망할 망), 靈(신령 령), 祭(제사 제:)

죽은 사람의 넋을 극락으로 인도하는 굿. 지노귀굿보다 규모가 큰 것으로 죽은 지 49일 안에 하는데, 흔히 사십구일재와 같이 하기도 한다.

60. 망제 (望祭) [망:제]

한자: 望(바랄 망:), 祭(제사 제:)

「1」멀리 떨어진 곳에서 조상의 무덤이 있는 쪽을 향하여 지내는 제사.
「2」고려·조선 시대에, 매달 음력 보름에 종묘(宗廟)에서 지내던 제사.
「3」가뭄이 심할 때 북교(北郊)에 나가서 악(嶽), 해(海), 독(瀆), 명산(名山), 대천(大川) 따위의 19신위(神位)에게 비를 내려 달라고 빌던 제사.

용례:

「2」태조 대왕의 능침인 건원릉에 보름 망제를 지내는데, 별안간 울음소리가 처절하게 일어나고….≪박종화, 임진왜란≫

61. 망혼제 (亡魂祭) [망혼제]

한자: 亡(망할 망), 魂(넋 혼), 祭(제사 제:)

예전에, 백중날 밤에 돌아가신 부모를 위하여 지내던 제사.

62. 매제 (禖祭) [매제]

한자: 禖(매제 매), 祭(제사 제:)

임금에게 자식을 점지한다는 신(神)에게 지내던 제사.

63. 맹동제 (孟冬祭) [맹:동제]

한자: 孟(맏 맹(:)), 冬(겨울 동(:)), 祭(제사 제:)

겨울이 드는 첫 번째 달인 음력 시월에 지내는 종묘제의 한 가지.

64. 맹제 (盟祭) [맹제]

한자: 盟(맹세 맹), 祭(제사 제:)

희생물을 잡아서 서로 그 피를 마시고 서약을 꼭 지키기로 신에게 맹세하는 절차.

65. 목신제 (木神祭) [목씬제]

한자: 木(나무 목), 神(귀신 신), 祭(제사 제:)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행하는 풍속의 하나. 큰 나무에 가지각색으로 헝겊과 종이를 오려서 걸고 상을 차려 놓은 뒤 제사를 지낸다.

66. 묘제 (墓祭) [묘:제]

한자: 墓(무덤 묘:), 祭(제사 제:)

무덤 앞에서 지내는 제사.

용례:

명절에는 묘제의 행렬이 줄을 잇는다.

67. 무혈제 (無血祭) [무혈쩨]

한자: 無(없을 무), 血(피 혈), 祭(제사 제:)

유혈이 없는 제사. 곧 미사성제 따위를 이른다.

68. 문화제 (文化祭) [문화제]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祭(제사 제:)

문화를 주제로 하거나 문화와 관련된 내용으로 꾸린 축제나 기념행사.

용례:

  • 문화제를 개최하다.
  • 지역마다 그 지역의 문화적 특색을 나타내는 문화제가 있으므로 여행 계획을 세울 때 이를 고려하면 좋다.

69. 민속제 (民俗祭) [민속쩨]

한자: 民(백성 민), 俗(풍속 속), 祭(제사 제:)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놀이.

70. 반혼제 (返魂祭) [반:혼제]

한자: 返(돌이킬 반:), 魂(넋 혼), 祭(제사 제:)

죽은 사람의 혼을 집으로 불러들일 때에 지내는 제사.

71. 발인제 (發靷祭) [바린제]

한자: 發(필 발), 靷(가슴걸이 인), 祭(제사 제:)

상여가 집에서 떠나기 바로 전에 상여 앞에 차려 놓고 지내는 제사.

72. 백일제 (百日祭) [배길쩨]

한자: 百(일백 백), 日(날 일), 祭(제사 제:)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백 번째 되는 날에 드리는 불공.

73. 번제 (燔祭) [번제]

한자: 燔(구울 번), 祭(제사 제:)

구약 시대에, 짐승을 통째로 태워 제물로 바친 제사. 안식일, 매달 초하루와 무교절, 속죄제에 지냈다.

74. 벌제 (伐祭) [벌쩨]

한자: 伐(칠[討] 벌), 祭(제사 제:)

남의 집에 가서 제사 음식을 달라고 하여 얻어먹음.(토제)

75. 별신제 (別神祭) [별씬제]

한자: 別(다를/나눌 별), 神(귀신 신), 祭(제사 제:)

동해안 일부와 충남 은산에서 전하여지는 복합적인 형식의 부락제. 유교식으로 제관이 축문을 읽은 뒤, 무당이 나와 굿을 한다.

76. 병제 (兵祭) [병제]

한자: 兵(병사 병), 祭(제사 제:)

군(軍)에서 제사를 지내는 일.

77. 보사제 (報祀祭) [보:사제]

한자: 報(갚을/알릴 보:), 祀(제사 사), 祭(제사 제:)

기우제를 지낸 뒤에 비가 오면 지내는 제사. 비 온 뒤 3일 안에 돼지를 잡아 하늘에 감사를 드린다.

78. 보제 (報祭) [보:제]

한자: 報(갚을/알릴 보:), 祭(제사 제:)

해마다 가을 농사를 마친 뒤, 신의 은덕에 감사를 드리기 위하여 제사를 지냄. 또는 그 제사.

79. 봉분제 (封墳祭) [봉분제]

한자: 封(봉할 봉), 墳(무덤 분), 祭(제사 제:)

시체를 파묻고 봉분을 만든 뒤에 지내는 제사.(성분제)

80. 부군제 (府君祭) [부:군제]

한자: 府(마을[官廳] 부(:)), 君(임금 군), 祭(제사 제:)

‘동신제’(마을 사람들이 마을을 지켜 주는 신인 동신(洞神)에게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를 달리 이르는 말.

81. 부제 (祔祭) [부:제]

한자: 祔(합장할 부), 祭(제사 제:)

「1」제례에서, 삼년상을 마친 뒤에 그 신주를 조상의 신주 곁에 모실 때 지내는 제사.
「2」제례에서, 졸곡(卒哭)을 지낸 다음 날, 고인의 신주를 조상의 신주 앞에 붙이는 제사.

82. 부제 (副祭) [부:제]

한자: 副(버금 부:), 祭(제사 제:)

「1」부제품을 받은 성직자. 사제를 도와 강론, 성체 분배 따위의 집행을 하게 된다.
「2」프로테스탄트 일부 분파에서 ‘「1」’을 이르는 말.

83. 부활제 (復活祭) [부:활쩨]

한자: 復(다시 부:), 活(살 활), 祭(제사 제:)

예수의 부활을 기념하기 위하여 행하는 축제.

84. 분황제 (焚黃祭) [분황제]

한자: 焚(불사를 분), 黃(누를 황), 祭(제사 제:)

죽은 자에 대한 임금의 고명문(誥命文)의 부본(副本)을 그 영전에서 불살라 고하던 제사.

용례:

연평 부원군 이귀가 익산 땅의 부모 묘에 분황제를 지내러 내려가겠다고 하니….≪번역 인조실록≫

85. 불돗제 (불돗祭) [불도쩨]

한자: 祭(제사 제:)

제주에서, 새해에 잡귀를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이기 위하여 하는 굿.

86. 사모제 (思慕祭) [사모제]

한자: 思(생각 사(:)), 慕(그릴 모:), 祭(제사 제:)

고인을 사모하여 지내는 제사.

용례:

그분의 사모제에는 생전에 그분을 존경하던 많은 사람이 모였다.

87. 사순제 (四旬祭) [사:순제]

한자: 四(넉 사:), 旬(열흘 순), 祭(제사 제:)

사순절에 금식하고 속죄하며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

88. 사육제 (謝肉祭) [사:육쩨]

한자: 謝(사례할 사:), 肉(고기 육), 祭(제사 제:)

사순절에 앞서서 3일 또는 한 주일 동안 즐기는 명절.(육제)

89. 사은제 (謝恩祭) [사:은제]

한자: 謝(사례할 사:), 恩(은혜 은), 祭(제사 제:)

구약 시대에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이 지켜야 할 율법으로 정해 놓은 제사.(수은제)

90. 사제 (司祭) [사제]

한자: 司(맡을 사), 祭(제사 제:)

「1」주교와 신부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주교의 아래인 성직자. 의식과 전례를 맡아본다.

용례:

  • 「1」매일 바치는 성무일도는 사제 생활의 중심이다.
  • 「1」미사를 집전하는 사제의 손에 빵 조각이 포개어져 있었다.
  • 「2」사제 서품식.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