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 천제 (天祭) [천제]
한자: 天(하늘 천), 祭(제사 제:)
「1」하느님에게 지내는 제사.
「2」‘동신제’(마을 사람들이 마을을 지켜 주는 신인 동신(洞神)에게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를 달리 이르는 말.
182. 첫기제 (첫忌祭) [첟끼제]
한자: 忌(꺼릴 기), 祭(제사 제:)
삼년상을 마친 뒤에 처음으로 지내는 기제.
183. 초감제 (初監祭) [초감제]
한자: 初(처음 초), 監(볼 감), 祭(제사 제:)
제주도 큰굿의 첫째 굿거리. 천지개벽의 내용을 담은 무가를 부른다.
184. 초우제 (初虞祭) [초우제]
한자: 初(처음 초), 虞(염려할/나라이름 우), 祭(제사 제:)
장사를 지낸 후 첫 번째 지내는 제사. 혼령을 위안하기 위한 제사로, 장사 당일을 넘기지 않는다.
용례:
매장한 이튿날은 또 초우제라고 울고 3일째 되는 날은 삼우제라 하여 곡한다.≪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185. 초저녁제 (初저녁祭) [초저녁쩨]
한자: 初(처음 초), 祭(제사 제:)
저녁때에 지내는 제사.(저녁제)
용례:
관가의 폐문하는 삼현육각 소리가 들리더니 그 집에서 초저녁제를 지내려고 준비가 분주하였다.≪홍명희, 임꺽정≫
186. 초제 (醮祭) [초제]
한자: 醮(초례 초), 祭(제사 제:)
무속 신앙이나 도교에서, 별을 향하여 지내는 제사.
용례:
주상께서는 방술에 미혹되시어 연일 대소의 초제로 귀한 재물을 헛되이 버리고 계시니….≪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187. 초혼제 (招魂祭) [초혼제]
한자: 招(부를 초), 魂(넋 혼), 祭(제사 제:)
전사하거나 순직한 사람의 혼령을 위로하는 제사.
188. 총사제 (總司祭) [총:사제]
한자: 總(다[皆] 총:), 司(맡을 사), 祭(제사 제:)
같은 전교 구역 안의 여러 신부(神父)를 총감독하는 신부.
189. 추모제 (追慕祭) [추모제]
한자: 追(쫓을/따를 추), 慕(그릴 모:), 祭(제사 제:)
죽은 사람을 그리며 생각하는 뜻에서 지내는 제.
용례:
추모제를 지내다.
190. 축원제 (祝願祭) [추권제]
한자: 祝(빌 축), 願(원할 원:), 祭(제사 제:)
희망하는 대로 이루어지기를 비는 제사.
용례:
옛날 사람들은 소원하는 바가 꼭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축원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191. 축제 (祝祭) [축쩨]
한자: 祝(빌 축), 祭(제사 제:)
「1」축하하여 벌이는 큰 규모의 행사.
「2」축하와 제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1」문화 축제.
- 「1」거리 축제.
- 「1」개교 기념 축제.
- 「1」축제 분위기에 싸이다.
- 「1」축제가 열리다.
- 「1」축제를 벌이다.
- 「1」곧 밖이 왁자지껄하면서 함이 도착한다는 전갈이 들어오고 집안의 축제 기분은 고조됐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192. 춘향제 (春香祭) [춘향제]
한자: 春(봄 춘), 香(향기 향), 祭(제사 제:)
매년 봄에 남원(南原)에서 벌이는 지방 문화제. 춘향의 넋을 위로하고 그 정절을 기리는 여러 행사와 놀이를 한다.
193. 출사제 (出師祭) [출싸제]
한자: 出(날[生] 출), 師(스승 사), 祭(제사 제:)
출병(出兵)할 때 지내던 제사.
194. 출행제 (出行祭) [출행제]
한자: 出(날[生] 출), 行(다닐 행(:)), 祭(제사 제:)
길을 떠날 때 무사하기를 비는 제사.
용례:
출행제를 올리다.
195. 치제 (致祭) [치:제]
한자: 致(이를 치:), 祭(제사 제:)
임금이 제물과 제문을 보내어 죽은 신하를 제사 지내던 일. 또는 그 제사.
용례:
유림들이 생전에 그 덕을 추모하와 지금 아무 서원을 이룩했다 하옵니다. 치제를 내리시고 사패전을 주시어 어진 이를 대접하소서.≪박종화, 전야≫
196. 칙제 (勅祭) [칙쩨]
한자: 勅(칙서 칙), 祭(제사 제:)
칙명으로 지내는 제사.
197. 친제 (親祭) [친제]
한자: 親(친할 친), 祭(제사 제:)
임금이 몸소 제사를 지냄.
용례:
연산은 어마마마의 새로운 사당 혜안전에 친제를 드리시고….≪박종화, 금삼의 피≫
198. 칠성제 (七星祭) [칠썽제]
한자: 七(일곱 칠), 星(별 성), 祭(제사 제:)
음력 정월 초이렛날 야반(夜半)에 칠성신에게 올리는 제사. 한집안의 평안과 자녀의 장성을 빈다.
199. 칠일제 (七日祭) [치릴쩨]
한자: 七(일곱 칠), 日(날 일), 祭(제사 제:)
사람이 죽은 지 이레 만에 지내는 제사.
200. 탈제 (탈祭) [탈:제]
한자: 祭(제사 제:)
탈놀음에서, 길놀이를 마친 다음 본격적인 탈놀음에 앞서 지내는 고사.
201. 탑신제 (塔神祭) [탑씬제]
한자: 塔(탑 탑), 神(귀신 신), 祭(제사 제:)
정초에 풍물놀이와 가무(歌舞)로 동신(洞神)인 탑신을 위로하는 굿.
202. 토룡제 (土龍祭) [토룡제]
한자: 土(흙 토), 龍(용 룡), 祭(제사 제:)
흙으로 빚은 용을 놓고 비가 오기를 빌며 지내던 제사.
203. 특제 (特祭) [특쩨]
한자: 特(특별할 특), 祭(제사 제:)
특별히 제사를 지냄. 또는 그 제사.
204. 파제 (罷祭) [파:제]
한자: 罷(마칠 파:), 祭(제사 제:)
제사를 마침.
용례:
파제 후 이 집 저 집 지붕 위에 던져 올린 퇴주 그릇의 세 숟갈 밥을 먹으러 날 새자마자 날아드는 까마귀들도 기분 나빴다.≪현기영, 순이 삼촌≫
205. 평토제 (平土祭) [평토제]
한자: 平(평평할 평), 土(흙 토), 祭(제사 제:)
「1」평토한 후 지내는 제사.
「2」시체를 파묻고 봉분을 만든 뒤에 지내는 제사.
용례:
「2」평토제가 끝나고 해반과 아울러 으레 있는 식사와 주찬이 나돌 무렵이었다.≪김정한, 수라도≫
206. 포제 (酺祭) [포제]
한자: 酺(연회 포), 祭(제사 제:)
「1」논밭의 충해가 심할 때에 그 피해를 물리치기 위하여 지내던 제사.
「2」제주에서, 매년 정월 첫 정일(丁日)에 지내는 동제(洞祭).
207. 풍신제 (風神祭) [풍신제]
한자: 風(바람 풍), 神(귀신 신), 祭(제사 제:)
음력 2월 초하루부터 스무날 사이에 풍신인 영등할머니에게 지내는 제사. 집집마다 부엌이나 뒤뜰에 제단을 차리고, 폭풍우의 피해를 면하여 주고 집안 식구에게 복을 내려 주기를 빈다.
용례:
어항인 통영은 어느 지방보다 풍신제가 성행하는 곳이다.≪박경리, 토지≫
208. 풍어제 (豐漁祭) [풍어제]
한자: 豐(풍년 풍), 漁(고기잡을 어), 祭(제사 제:)
어촌에서, 물고기가 많이 잡히기를 비는 제사.
용례:
풍어제는 벌써 네 번이나 떠들썩하게 치렀지만, 바다는 요지부동 고기 떼를 돌리고는….≪천승세, 낙월도≫
209. 하제 (下祭) [하:제]
한자: 下(아래 하:), 祭(제사 제:)
불조(佛祖)의 형상이나 큰스님의 진영(眞影) 따위를 봉안하고 공양을 베푸는 일.
210. 합사제 (合祀祭) [합싸제]
한자: 合(합할 합), 祀(제사 사), 祭(제사 제:)
둘 이상의 혼령을 한곳에 모아 지내는 제향(祭享).
211. 합제 (合祭) [합쩨]
한자: 合(합할 합), 祭(제사 제:)
「1」여러 사람의 제사를 함께 지냄. 또는 그 제사.
「2」한데 모아 놓고 일정한 날에 두루 어울려 제사를 지냄.
212. 해괴제 (解怪祭) [해:괴제]
한자: 解(풀 해:), 怪(괴이할 괴(:)), 祭(제사 제:)
조선 시대에, 나라에서 이상한 일이 일어났을 경우에 지내던 제사. 궁중 용마루 위에서 부엉이가 울거나, 절의 부처가 땀을 흘리거나 하는 일이 있을 때에 지냈다.
213. 해부제 (解剖祭) [해:부제]
한자: 解(풀 해:), 剖(쪼갤 부:), 祭(제사 제:)
해부에 쓰는 시체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
214. 향산제 (香山祭) [향산제]
한자: 香(향기 향), 山(메 산), 祭(제사 제:)
함경북도 일대에서 단군의 탄생일을 기념하고 집안의 평안을 빌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 음력 10월 초하루나 10월 중의 길일을 택하여 햇곡식으로 음식을 만들어 집집마다 제사를 지낸다.
215. 헌당제 (獻堂祭) [헌:당제]
한자: 獻(드릴 헌:), 堂(집 당), 祭(제사 제:)
교회당 따위를 새로 지어 하나님에게 바치는 의식.
216. 헌제 (獻祭) [헌:제]
한자: 獻(드릴 헌:), 祭(제사 제:)
제사를 드림.
217. 혈제 (血祭) [혈쩨]
한자: 血(피 혈), 祭(제사 제:)
「1」산짐승의 피를 바치어 지내는 제사.
「2」희생이 되는 제물의 피로 하느님에게 봉헌하는 제사.
218. 화목제 (和睦祭) [화목쩨]
한자: 和(화할 화), 睦(화목할 목), 祭(제사 제:)
구약 시대에, 하나님에게 동물 제물을 바쳐 하나님과 사람과의 관계를 화목하게 하려고 행하던 제사.(평화제)
219. 화제 (火祭) [화:제]
한자: 火(불 화(:)), 祭(제사 제:)
구약 시대에, 유대인의 제사 방법의 하나. 짐승, 유향 따위를 불살라 그 냄새를 제물로 바친다.
220. 흉제 (凶祭) [흉제]
한자: 凶(흉할 흉), 祭(제사 제:)
장례를 지낸 다음 삼년상을 마칠 때까지 지내는 제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이에는 초우제(初虞祭), 삼우제(三虞祭), 졸곡(卒哭), 소상(小祥), 대상(大祥), 담제(禫祭) 따위가 있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