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1

1. 가경지 (可耕地) [가:경지]

한자: 可(옳을 가:), 耕(밭갈[犁田] 경), 地(따 지)

일구어서 농사를 지을 만한 땅.

용례:

가경지를 늘리기 위한 대규모 개간 사업이 벌어지고 있다.

2. 각지 (各地) [각찌]

한자: 各(각각 각), 地(따 지)

각 지방. 또는 여러 곳.

용례:

  • 각지를 돌다.
  • 세계 각지를 여행하다.
  • 전국 각지에서 환경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3. 간석지 (干潟地) [간석찌]

한자: 干(방패 간), 潟(개펄 석), 地(따 지)

밀물 때는 물에 잠기고 썰물 때는 물 밖으로 드러나는 모래 점토질의 평탄한 땅. 펄 갯벌, 혼성 갯벌, 모래 갯벌 따위가 있으며 생물상이 다양하게 분포한다.

용례:

간석지를 개간하다.

4. 간척지 (干拓地) [간척찌]

한자: 干(방패 간), 拓(넓힐 척), 地(따 지)

바다나 호수 따위를 둘러막고 물을 빼내어 만든 땅.

용례:

묵정밭 아래로 내려다보이는 연안에는 별로 넓지 않은 간척지가 있었다.≪한승원, 포구의 달≫

5. 개간지 (開墾地) [개간지]

한자: 開(열 개), 墾(개간할 간), 地(따 지)

거친 땅이나 버려 둔 땅을 일구어 쓸모 있게 만든 땅.

용례:

개간지에 농작물을 심다.

6. 개발지 (開發地) [개발찌]

한자: 開(열 개), 發(필 발), 地(따 지)

새로 건물 따위를 건설하여 쓸모 있게 된 땅.

용례:

신도시 개발지가 부동산 투기의 대상이 되고 있다.

7. 개척지 (開拓地) [개척찌]

한자: 開(열 개), 拓(넓힐 척), 地(따 지)

「1」거친 땅을 일구어 새로 얻은 땅.
「2」새로운 영역, 운명, 진로 따위를 처음으로 열어 새로 얻은 분야나 영역.

용례:

「1」만주는 개척지라서 측량이 필수적이니까….≪최명희, 혼불≫

8. 개최지 (開催地) [개최지]

한자: 開(열 개), 催(재촉할 최:), 地(따 지)

행사나 모임 따위를 여는 장소.

용례:

  • 세계 육상 대회 개최지.
  • 만국 박람회 개최지.

9. 개항지 (開港地) [개항지]

한자: 開(열 개), 港(항구 항:), 地(따 지)

외국과 무역을 하도록 개방한 항구 또는 공항.

용례:

낯선 외국인들은 제물포가 개항된 지 십오 년이 넘지 않았는데도 선창 거리를 위시하여 개항지의 반반한 땅을 거지반 차지하고 만 것이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10. 개활지 (開豁地) [개활찌]

한자: 開(열 개), 豁(넓을 활), 地(따 지)

앞이 막히지 않고 탁 트여 시원하게 열려 있는 땅.

용례:

눈앞이 갑자기 확 트이더니 거대한 골짝 속에 넓은 개활지가 나타난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11. 객지 (客地) [객찌]

한자: 客(손 객), 地(따 지)

자기 집을 멀리 떠나 임시로 있는 곳.

용례:

  • 객지 생활.
  • 객지에서 얼마나 고생이 많으시오?
  • 객지로만 떠돌며 보낸 지난 세월의 덧없음이 불현듯 그의 가슴을 때렸다.≪윤흥길, 완장≫
  • 내가 토목 공사 감독으로만 이십 년 뼈가 굵고, 객지 바람에 살이 탄 사람이오.≪한수산, 유민≫

12. 거류지 (居留地) [거류지]

한자: 居(살 거), 留(머무를 류), 地(따 지)

조약이나 관례에 따라 한 나라가 그 영토의 일부를 한정하여 외국인의 거주와 영업을 허가한 지역.

용례:

두만강을 건너 온 러시아 병정은 성진에 들어와서 일본인 거류지를 깡그리 불 질러 버렸다.≪한설야, 탑≫

13. 거주지 (居住地) [거주지]

한자: 居(살 거), 住(살 주:), 地(따 지)

「1」거소(居所)와 주소를 아울러 이르는 말.
「2」현재 거주하고 있는 장소.

용례:

  • 「2」거주지 불명.
  • 「2」본적지와 거주지.
  • 「2」거주지를 옮기다.
  • 「2」유목민은 일정한 거주지가 없고 초원을 따라 유랑한다.
  • 「2」혼인 신고는 거주지 관할 구청에 신고해야 한다.

14. 거처지 (居處地) [거처지]

한자: 居(살 거), 處(곳 처:), 地(따 지)

현재 거처하고 있는 곳.

용례:

고려 시대의 구휼 제도의 경우, 급여는 생활필수품의 공급, 거처지 제공 등으로 이루어졌다.

15. 건조지 (乾燥地) [건조지]

한자: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地(따 지)

토질이 건조한 땅.

용례:

이 풀은 건조지든 습지든 가리지 않고 잘 자란다.

16. 격전지 (激戰地) [격쩐지]

한자: 激(격할 격), 戰(싸움 전:), 地(따 지)

격렬한 싸움이 벌어진 곳.

용례:

전쟁 후 무수한 격전지를 종군했지만 그는 몸에 긁힌 상처 하나 입지 않은 행운아다.≪홍성원, 육이오≫

17. 견지 (見地) [견:지]

한자: 見(볼 견:), 地(따 지)

어떤 사물을 판단하거나 관찰하는 입장.

용례:

  • 거시적인 견지.
  • 예술가의 견지로 보면 하찮은 돌멩이도 훌륭한 작품 소재가 된다.
  • 인도적 견지에서 이웃 나라에 식량을 지원했다.

18. 경사지 (傾斜地) [경사지]

한자: 傾(기울 경), 斜(비낄 사), 地(따 지)

비탈진 땅.

용례:

  • 경사지에 밭을 만들다.
  • 이곳은 돌이 많고 또 가파른 경사지여서 농사짓기 어렵다.
  • 둑 위에서부터 하천 쪽으로 기울어져 내려간 경사지 전체가 판잣집들로 뒤덮여 있었다.≪조해일, 왕십리≫

19. 경승지 (景勝地) [경승지]

한자: 景(볕 경(:)), 勝(이길 승), 地(따 지)

경치가 좋은 곳.

용례:

강원도에는 뛰어난 경승지가 많다.

20. 경유지 (經由地) [경유지]

한자: 經(지날/글 경), 由(말미암을 유), 地(따 지)

거쳐 지나는 곳.

용례:

  • 중간 경유지.
  • 이 여객기는 방콕을 경유지로 이용하고 있다.
  • 목적지와 경유지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운항되는 항법 장치가 개발되었다.

21. 경작지 (耕作地) [경작찌]

한자: 耕(밭갈[犁田] 경), 作(지을 작), 地(따 지)

경작하는 토지.

용례:

논과 밭 그리고 과수원까지 합치면 그의 경작지는 천 평이 넘는다.

22. 경지 (耕地) [경지]

한자: 耕(밭갈[犁田] 경), 地(따 지)

경작하는 토지.

용례:

  • 경지가 넓다.
  • 경지를 정리하다.
  • 물 공급이 용이한 이곳은 경지로 적당하다.

23. 경지 (境地) [경지]

한자: 境(지경 경), 地(따 지)

「1」일정한 경계 안의 땅.
「2」학문, 예술, 인품 따위에서 일정한 특성과 체계를 갖춘 독자적인 범주나 부분.
「3」몸이나 마음, 기술 따위가 어떤 단계에 도달해 있는 상태.

용례:

  • 「2」새로운 경지를 개척하다.
  • 「2」그는 수필 문학의 새로운 경지를 연 작가이다.
  • 「3」무아의 경지.
  • 「3」달관의 경지.
  • 「3」입신의 경지에 들다.
  • 「3」성인(聖人)의 경지에 도달하다.
  • 「3」그의 솜씨는 단순한 장인의 경지를 넘어섰다.
  • 「3」그의 음악은 이미 예술적인 경지에 이르렀다.

24. 고랭지 (高冷地) [고랭지]

한자: 高(높을 고), 冷(찰 랭:), 地(따 지)

저위도에 위치하고 표고가 600미터 이상으로 높고 한랭한 곳.

25. 고수부지 (高水敷地) [고수부지]

한자: 高(높을 고), 水(물 수), 敷(펼 부(:)), 地(따 지)

큰물이 날 때만 물에 잠기는 하천 언저리의 터.

용례:

한강 고수부지에 체육공원을 만들다.

26. 고적지 (古跡地) [고:적찌]

한자: 古(예 고:), 跡(발자취 적), 地(따 지)

옛 문화를 보여 주는 건물이나 터.

용례:

  • 그들은 경주에 들러서 많은 고적지를 돌아보았다.
  • 이번 방학 숙제는 전국의 명승지나 고적지를 견학하고 이에 대한 감상문을 써 오는 일이다.

27. 고지 (故地) [고:지]

한자: 故(연고 고(:)), 地(따 지)

이전에 살던 곳.

용례:

우물이 있었던 그 고지가 생각난다.

28. 고지 (高地) [고지]

한자: 高(높을 고), 地(따 지)

「1」지대가 높은 땅.
「2」이루어야 할 목표. 또는 그 수준에 이른 단계.
「3」전략적으로 유리한 높은 곳의 진지.

용례:

  • 「1」이 식물은 고지에서도 잘 자란다.
  • 「1」그 마을은 고지에 자리 잡아 다른 곳보다 기온이 낮다.
  • 「2」이번의 승리로 우리 팀이 우승할 수 있는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게 되었다.
  • 「2」그는 오늘의 승리로 10승 투수의 고지에 올랐다.
  • 「3」적의 고지를 탈환하다.
  • 「3」포화가 빗발치던 이 고지에 지금은 산바람 소리와 계곡 물소리만이 도란도란 적막을 깰 뿐이다.≪홍성원, 육이오≫

29. 공공용지 (公共用地) [공공뇽:지]

한자: 公(공평할 공), 共(한가지 공:), 用(쓸 용:), 地(따 지)

공공건물이나 공공시설이 차지하는 터. 공공건물의 건축 면적과 정원, 녹지, 도로 면적 따위로 이루어진다.

30. 공급지 (供給地) [공:급찌]

한자: 供(이바지할 공:), 給(줄 급), 地(따 지)

공급하여 주는 곳.

용례:

  • 식량 공급지.
  • 그 지역은 침엽수림이 울창하여 세계적인 임산 자원의 공급지로 알려져 있다.

31. 공동묘지 (共同墓地) [공:동묘:지]

한자: 共(한가지 공:), 同(한가지 동), 墓(무덤 묘:), 地(따 지)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쓸 수 있게 일정한 곳에 마련하여 둔 묘지.

용례:

  • 공동묘지에 묻히다.
  • 일찍부터 동회며 병원을 뛰어다닌 명수가 공동묘지의 매장 허가서를 받아 왔을 땐 한낮이 지나 있었다.≪한수산, 부초≫

32. 공사지 (工事地) [공사지]

한자: 工(장인 공), 事(일 사:), 地(따 지)

공사를 하는 땅.

용례:

인부를 공사 기간 중에 채용했다가 해고할 때에는 그가 공사지를 향해 출발했던 지점까지의 여비를 판상해 주는 것이 상례였다.≪황석영, 객지≫

33. 공업단지 (工業團地) [공업딴지]

한자: 工(장인 공), 業(업 업), 團(둥글 단), 地(따 지)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가 미리 공장용 부지를 조성하고, 배후 시설이나 진입 도로 등을 정비하여 많은 공장을 유치한 단지.

용례:

수도권을 벗어난 곳에 공업 단지를 조성하다.

34. 공원묘지 (公園墓地) [공원묘:지]

한자: 公(공평할 공), 園(동산 원), 墓(무덤 묘:), 地(따 지)

공원의 기능을 갖춘 공동묘지. 개인이나 종교 단체 따위에서 경영·관리한다.

용례:

아저씨는 돌아가신 후에 공원묘지에 묻히셨다.

35. 공유지 (公有地) [공유지]

한자: 公(공평할 공), 有(있을 유:), 地(따 지)

국가나 공공 단체가 소유하는 땅.

용례:

해외 정복 사업에서 획득한 토지는 그중 약 30% 정도를 공유지로 하고 나머지는 참전한 시민들이 분배받아 사유지로 갖게 되었다.

36. 공유지 (共有地) [공:유지]

한자: 共(한가지 공:), 有(있을 유:), 地(따 지)

두 사람 이상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땅.

용례:

한 가문의 공유지도 신고자가 없으면 이 역시 총독부의 소유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37. 공장단지 (工場團地) [공장단지]

한자: 工(장인 공), 場(마당 장), 團(둥글 단), 地(따 지)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가 미리 공장용 부지를 조성하고, 배후 시설이나 진입 도로 등을 정비하여 많은 공장을 유치한 단지.

용례:

한용이 구포 근방의 땅을 헐값으로 사 둔 일이 있었는데 그게 대단위 공장 단지에 포함되는 바람에 지금은 시가 삼천만 원을 호가하는 값어치가 된다는 것….≪백도기, 청동의 뱀≫

38. 공지 (空地) [공지]

한자: 空(빌 공), 地(따 지)

「1」집이나 밭 따위가 없는 비어 있는 땅.
「2」도시에서 시민의 보건이나 안녕을 위하여 일부러 남겨 놓은 일정한 터.

용례:

  • 「1」농업이 위축되면서 많은 경작지가 공지로 변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농촌 현실이다.
  • 「1」이백 평 남짓한 공지에는 옷차림이 남루한 사내아이 몇이 구슬치기를 하고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 「1」그 채마밭은 꽤 넓은 공지여서 아버지 때부터 그곳을 개간하여 울타리를 치고 채소를 갈아 먹고 있었다.≪김인배, 방울뱀≫

39. 공지 (空地) [공지]

한자: 空(빌 공), 地(따 지)

하늘과 땅 또는 공중과 지상을 통틀어 이르는 말.

40. 공한지 (空閑地) [공한지]

한자: 空(빌 공), 閑(한가할 한), 地(따 지)

「1」농사를 지을 수 있는데도 아무것도 심지 않고 놀리는 땅.
「2」집을 짓지 않은 빈터.

용례:

  • 「1」공한지가 많다.
  • 「1」공한지를 줄이다.
  • 「1」수목 사이의 공한지에 동계 작물을 심는 간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 「2」공한지에 주택을 여러 채 지었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6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7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8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9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