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사제 (四祭) [사:제]
한자: 四(넉 사:), 祭(제사 제:)
중국 고대에, 천자나 제후가 봄·여름·가을·겨울에 행하던 종묘의 제사.
92. 사제 (師祭) [사제]
한자: 師(스승 사), 祭(제사 제:)
군사의 행운을 비는 제사.
93. 사제 (賜祭) [사:제]
한자: 賜(줄 사:), 祭(제사 제:)
임금이 죽은 신하에게 제사를 지내 주던 일. 단문(袒免) 이상의 종친, 시마(緦麻) 이상의 이성 왕친(異姓王親), 종이품 이상의 문무관, 공신(功臣) 및 공사(公事)로 외방(外方)에서 죽은 자와 전사자 등에게 지내 주었다.
94. 삭망제 (朔望祭) [상망제]
한자: 朔(초하루 삭), 望(바랄 망:), 祭(제사 제:)
종묘나 문묘 따위에서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에 간략하게 지내는 제사.
95. 삭제 (朔祭) [삭쩨]
한자: 朔(초하루 삭), 祭(제사 제:)
왕실에서 음력 초하룻날마다 조상에게 지내던 제사.
96. 산신제 (山神祭) [산신제]
한자: 山(메 산), 神(귀신 신), 祭(제사 제:)
「1」산신령에게 드리는 제사.
「2」‘동신제’(마을 사람들이 마을을 지켜 주는 신인 동신(洞神)에게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를 달리 이르는 말.
97. 산제 (山祭) [산제]
한자: 山(메 산), 祭(제사 제:)
산신령에게 드리는 제사.(산천제)
용례:
이 태조는 지리산 신령을 무시할 수 없었던지 지리산에 석단을 쌓고 매년 국가에서 산제를 지내게 했답니다.≪문순태, 피아골≫
98. 삼우제 (三虞祭) [사무제]
한자: 三(석 삼), 虞(염려할/나라이름 우), 祭(제사 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흔히 가족들이 성묘를 한다.
용례:
삼우제도 지났고 상가에 왔었던 손님들도 다 떠났다.≪박경리, 토지≫
99. 삼일제 (三日祭) [사밀쩨]
한자: 三(석 삼), 日(날 일), 祭(제사 제:)
죽은 사람의 장례식이 있은 후 사흘 만에 지내는 제사.
100. 상번제 (常燔祭) [상번제]
한자: 常(떳떳할 상), 燔(구울 번), 祭(제사 제:)
끊임없이 지내는 희생 제사. 동물을 제단 위에 놓고 불로 태워 연기가 하늘에 올라가 하나님께 바쳐짐을 상징하는 제사이다.
101. 상제 (上祭) [상:제]
한자: 上(윗 상:), 祭(제사 제:)
부처나 보살에게 바치는 제물을 제단 위에 올려놓고 불공을 하는 일.
102. 상제 (喪祭) [상제]
한자: 喪(잃을 상(:)), 祭(제사 제:)
상례와 제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상제를 지내다.
103. 서낭제 (서낭祭) [서낭제]
한자: 祭(제사 제:)
서낭신에게 지내는 제사.
104. 석전제 (釋奠祭) [석쩐제]
한자: 釋(풀 석), 奠(정할/제사 전:), 祭(제사 제:)
음력 2월과 8월의 상정일(上丁日)에 문묘(文廟)에서 공자에게 지내는 제사.
105. 석존제 (釋尊祭) [석쫀제]
한자: 釋(풀 석), 尊(높을 존), 祭(제사 제:)
석가모니의 탄생을 축하하는 의식. 음력 4월 8일에 행한다.
106. 선농제 (先農祭) [선농제]
한자: 先(먼저 선), 農(농사 농), 祭(제사 제:)
고려·조선 시대에, 서울 동대문 밖에 있는 제단에서 신농씨(神農氏)와 후직씨(后稷氏)에게 풍년 들기를 빌던 제사. 매년 경칩 후 첫 해일(亥日)에 행하였다.
107. 선잠제 (先蠶祭) [선잠제]
한자: 先(먼저 선), 蠶(누에 잠), 祭(제사 제:)
고려·조선 시대에, 서릉씨에게 지내던 제사. 해마다 음력 4월 첫 사일(巳日)에 행하였다.
108. 설제 (設祭) [설쩨]
한자: 設(베풀 설), 祭(제사 제:)
제사를 베풂.
109. 성공제 (誠貢祭) [성공제]
한자: 誠(정성 성), 貢(바칠 공:), 祭(제사 제:)
일부 지방에서, 주로 음력 사월 초파일에 조용한 산속에서 바위를 신으로 삼아 아들을 낳게 해 달라고 치성을 드리는 일.
110. 성복제 (成服祭) [성복쩨]
한자: 成(이룰 성), 服(옷 복), 祭(제사 제:)
초상이 나서 처음으로 상복을 입을 때에 차리는 제사.
용례:
- 성복제를 지내다.
- 성복제에 참례한 논개는 하얗게 눈이 부신 소복을 입었다.≪박종화, 임진왜란≫
111. 성제 (星祭) [성제]
한자: 星(별 성), 祭(제사 제:)
연성(年星)이나 본명성(本命星)에 공양하며 지내는 제사. 연성에 본명성이 침범하면 그 사람에게 재앙이 내린다고 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지낸다.
112. 성제 (聖祭) [성:제]
한자: 聖(성인 성:), 祭(제사 제:)
「1」종교적인 축제.
「2」가톨릭에서, 예수의 최후의 만찬을 기념하여 행하는 제사 의식. 가톨릭교회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의식으로, ‘말씀의 전례’와 ‘성찬의 전례’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113. 성주제 (성주祭) [성주제]
한자: 祭(제사 제:)
각 가정에서 음력 10월의 오일(午日)이나 길일(吉日)을 택하여 성주에게 지내는 제사.
114. 성탄제 (聖誕祭) [성:탄제]
한자: 聖(성인 성:), 誕(낳을/거짓 탄:), 祭(제사 제:)
예수가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날. 12월 25일이다.
115. 세모제 (歲暮祭) [세:모제]
한자: 歲(해 세:), 暮(저물 모:), 祭(제사 제:)
「1」한 해가 끝날 무렵인 섣달그믐날 밤에 지내는 제사.
116. 소제 (素祭) [소:제]
한자: 素(본디/흴[白] 소(:)), 祭(제사 제:)
「1」변변하지 못한 제사라는 뜻으로, 제사를 낮추어 이르는 말.
「2」곡식을 제물로 드리는 제사.
117. 소제 (燒祭) [소제]
한자: 燒(사를 소(:)), 祭(제사 제:)
탈놀이 따위의 마지막 절차로서, 부정을 타지 아니하고 풍년과 마을의 무사를 비는 뜻으로 탈을 태우는 일.
118. 속건제 (贖愆祭) [속껀제]
한자: 贖(속죄할 속), 愆(허물 건), 祭(제사 제:)
허물을 씻기 위한 제사.
119. 속제 (贖祭) [속쩨]
한자: 贖(속죄할 속), 祭(제사 제:)
유대교에서 죄를 용서 받기 위하여 하느님에게 양 따위를 드리는 제사.
120. 속죄제 (贖罪祭) [속쬐제]
한자: 贖(속죄할 속), 罪(허물 죄:), 祭(제사 제:)
하나님에게 지은 죄를 속죄하려고 드리는 제사.
121. 수신제 (水神祭) [수신제]
한자: 水(물 수), 神(귀신 신), 祭(제사 제:)
음력 정월 대보름날 수신에게 드리는 제사. 강이나 둑 근처 마을의 사람들이 물로 인한 재앙을 당하지 않도록 해 달라고 지내는 제사이다.
122. 수확제 (收穫祭) [수확쩨]
한자: 收(거둘 수), 穫(거둘 확), 祭(제사 제:)
농작물의 수확을 축하하는 제전.
123. 승제 (僧祭) [승제]
한자: 僧(중 승), 祭(제사 제:)
신라 때에, 조상의 제사를 지내기 전에 먼저 승려를 불러서 지내던 의식.
124. 승천제 (昇天祭) [승천제]
한자: 昇(오를 승), 天(하늘 천), 祭(제사 제:)
예수의 승천을 기념하는 행사. 부활절 뒤 40일이 되는 날에 행한다.
125. 시산제 (始山祭) [시:산제]
한자: 始(비로소 시:), 山(메 산), 祭(제사 제:)
산악인들이 매년 연초에 지내는 산신제.
126. 시제 (時祭) [시제]
한자: 時(때 시), 祭(제사 제:)
「1」음력 2월, 5월, 8월, 11월에 가묘에 지내는 제사.
「2」음력 10월에 5대 이상의 조상 무덤에 지내는 제사.
용례:
- 「1」시제를 모시다.
- 「1」시제를 지내다.
- 「1」우리는 이번에 시제를 드리러 고향에 간다.
127. 시향제 (時享祭) [시향제]
한자: 時(때 시), 享(누릴 향:), 祭(제사 제:)
음력 10월에 5대 이상의 조상 무덤에 지내는 제사.
128. 안택제 (安宅祭) [안택쩨]
한자: 安(편안 안), 宅(집 택), 祭(제사 제:)
무당이 집안의 터주를 위로하기 위하여 하는 굿.
129. 야제 (野祭) [야:제]
한자: 野(들[坪] 야:), 祭(제사 제:)
한식(寒食)에 길가나 들에서 잡신(雜神)을 위하여 드리는 제사.
130. 여제 (厲祭) [여:제]
한자: 厲(엄할/숫돌 려:), 祭(제사 제:)
나라에 역질이 돌 때에 여귀에게 지내던 제사. 봄철에는 청명에, 가을철에는 7월 보름에, 겨울철에는 10월 초하루에 지냈다.
131. 연등제 (燃燈祭) [연등제]
한자: 燃(탈 연), 燈(등 등), 祭(제사 제:)
음력 설날에서 정월 대보름날 사이에 제주에서 행하는 풍속의 하나. 신들을 즐겁게 할 목적으로 장대 끝에 채색 비단으로 말 머리 모양을 만들고 밤에 등불을 달고 돌아다닌다.
용례:
연등제를 지내다.
132. 연시제 (年始祭) [연시제]
한자: 年(해 년), 始(비로소 시:), 祭(제사 제:)
설날 아침에 아버지와 할아버지 2대를 함께 지내는 제사.
133. 연제 (練祭) [연:제]
한자: 練(익힐 련:), 祭(제사 제:)
아버지가 살아 있을 때 먼저 돌아간 어머니의 소상(小祥)을 한 달 앞당겨 열한 달 만에 지내는 제사.
134. 연종제 (年終祭) [연종제]
한자: 年(해 년), 終(마칠 종), 祭(제사 제:)
연말에 악귀를 쫓기 위하여 벌이던 궁중의 행사. 섣달그믐날 전날부터 총을 쏘며, 각종 탈을 쓰고 자바라와 북을 치면서 대궐 안을 두루 돌아다녔다.
135. 영제 (靈祭) [영제]
한자: 靈(신령 령), 祭(제사 제:)
법사(法事)나 추선 공양 따위의 제사.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5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