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극 (極) [극]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더할 나위 없는’ 또는 ‘정도가 심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용례:
- 극존칭.
- 극초단파.
- 극고생.
- 극소수.
2. 극 (極) [극]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Ⅰ]「1」어떤 정도가 더할 수 없을 만큼 막다른 지경.
[Ⅰ]「2」전지에서 전류가 드나드는 양쪽 끝. 양극과 음극이 있다.
[Ⅰ]「3」자석에서 자력이 가장 센 양쪽의 끝. 남극과 북극이
있다.
[Ⅰ]「4」구(球)에 그린 대원(大圓)이나 소원(小圓)의 중심을 지나고, 이 원이 만드는 평면에 수직인 구의 지름의 양 끝.
[Ⅰ]「5」지축(地軸)의 양쪽 끝. 곧, 북극과 남극을
이른다.
[Ⅰ]「6」지구의 자전축이 천구(天球)와 만나는 점. 북극과 남극이 있다
[Ⅱ]「1」재(載)의 만 배가 되는 수.
[Ⅱ]「2」예전에, 재의 억 배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
[Ⅲ]재(載)의 만 배가 되는 수의.
용례:
- [Ⅰ]「1」횡포가 극에 달하다.
- [Ⅰ]「1」백성의 고혈을 빠는 탐관오리들의 광란은 극에 이르러 백성의 참상은 형용할 길이 없거니와….≪송기숙, 녹두 장군≫
3. 극가하다 (極嘉하다) [극까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嘉(아름다울 가)
말이나 행동, 성질 따위가 매우 아름답다.
용례:
범절이 그리 극가한 며느리가 내 집에 망운이 들어 그랬던지 그 지경으로 죽었는데….≪김교제, 치악산≫
4. 극가하다 (極可하다) [극까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可(옳을 가:)
아주 좋다.
용례:
윤씨 부인은 사성 벼슬로 있던 윤기의 누님이오 나계문의 부인이라 어려서 재주가 있어 문필이 극가하여 남자보다 지식이 있다 하더니….≪대한매일신보≫
5. 극간 (極諫) [극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諫(간할 간:)
임금이나 웃어른에게 잘못된 일이나 행동을 고치도록 온 힘을 다하여 말함.
용례:
옛날의 천하와 국가를 다스리는 사람은…반드시 직언과 극간을 구하는 것을 가지고 선무로 삼았던 것입니다.≪번역 문종실록≫
6. 극간 (極奸) [극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奸(간사할 간)
‘극간하다’
(매우 간사하다.)의 어근.
7. 극간 (極艱) [극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艱(어려울 간)
‘극간하다’
(「1」몹시 가난하다.
「2」처지나 상태가 몹시 힘들고 어렵다.)의 어근.
8. 극간하다 (極諫하다) [극깐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諫(간할 간:)
임금이나 웃어른에게 잘못된 일이나 행동을 고치도록 온 힘을 다하여 말하다.
용례:
- 신하 된 도리로 임금에게 잘못을 극간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습니까?
- 음황(淫荒), 취락(聚落)하여 음주 방탕을 그치지 않으매 좌평(佐平) 성충(誠忠)이 이를 삼가기를 극간하였으나, 왕은 오히려 노하여 그를 옥에 가두므로….≪이청준, 춤추는 사제≫
- 선비들은 부패한 관료들을 조정에서 몰아내라고 왕에게 극간하다가 목숨을 잃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9. 극감 (極減) [극깜]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減(덜 감:)
더 줄일 수 없을 정도로 몹시 줄임.
10. 극고생 (極苦生) [극꼬생]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苦(쓸[味覺] 고), 生(날 생)
극심하게 고생함. 또는 그런 고생.(극고)
11. 극곤 (極困) [극꼰]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困(곤할 곤:)
‘극곤하다’
(매우 곤궁하다.)의 어근.
12. 극공 (極恭) [극꽁]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恭(공손할 공)
‘극공하다’
(아주 공손하다.)의 어근.
13. 극공명 (極功名) [극꽁명]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功(공[勳] 공), 名(이름 명)
「1」지극히 높은 벼슬.
「2」분수에 넘치는 벼슬.
14. 극관 (極官) [극꽌]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官(벼슬 관)
지극히 높은 벼슬.
15. 극관 (極冠) [극꽌]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冠(갓 관)
화성의 두 극 부근의 얼음과 눈으로 덮여 있는 흰 부분.
16. 극관계 (極關係) [극꽌계]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關(관계할 관), 係(맬 계:)
점이 직선에 대한 극점으로 대응되고, 반대로 직선이 점에 대한 극선으로 대응되는 관계.
17. 극광 (極光) [극꽝]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光(빛 광)
주로 극지방에서 초고층 대기 중에 나타나는 발광(發光) 현상. 태양으로부터의 대전 입자(帶電粒子)가 극지 상공의 대기를 이온화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 빨강·파랑·노랑·연두·분홍 따위의 색채를 보인다.
용례:
랜턴 주변에 은회색 물보라가 극광처럼 은은했고….≪안정효, 하얀 전쟁≫
18. 극광극 (極光極) [극꽝극]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光(빛 광), 極(다할/극진할 극)
극광 등빈도선의 중심에 있는 지구상(地球上)의 점.
19. 극광대 (極光帶) [극꽝대]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光(빛 광), 帶(띠 대(:))
오로라가 가장 자주 나타나는 지구 자기극 둘레의 둥근 모양 지대.
20. 극괴 (極怪) [극꾀]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怪(괴이할 괴(:))
‘극괴하다’
(몹시 괴이하다.)의 어근.
21. 극구 (極口) [극꾸]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口(입 구(:))
온갖 말을 다하여.
용례:
- 극구 사양하다.
- 극구 만류하다.
- 극구 부인하다.
- 극구 변명하다.
- 나는 아니라고 극구 부정하고, 또 사과하고 위로하느라고 한동안 쩔쩔매는 시늉까지 해야 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 자식을 칭찬하는 말에 흡족한 형수는 아주머니의 음식 솜씨가 좋다고 극구 찬양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22. 극궁 (極窮) [극꿍]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窮(다할/궁할 궁)
몹시 궁함.
용례:
피난 생활이란 극궁에 달해서 비참한 지경일 것이나, 그런 사람은 명신이니 말할 것도 없고 다방이나 요릿집으로 몰려….≪염상섭, 지평선≫
23. 극권 (極圈) [극꿘]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圈(우리[牢] 권)
지구의 남북으로 각각 66도 33분 되는 위선으로부터 양극까지의 지역. 각각 남극권, 북극권이라 한다.
24. 극궤도 (極軌道) [극꿰도]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軌(바퀴자국 궤:), 道(길 도:)
인공위성이 남극과 북극의 상공을 통과하여 지구를 세로로 회전하는 궤도.
25. 극귀하다 (極貴하다) [극뀌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貴(귀할 귀:)
몹시 귀하다.
용례:
그처럼 종이는 이제 극귀한 가운데 있으니, 나는 특히 종이를 불러서 ‘말하는 그리운 종이’라고 하는 바이다.≪김진섭, 인생 예찬≫
26. 극기 (極忌) [극끼]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忌(꺼릴 기)
「1」몹시 꺼림.
「2」몹시 미워함.
27. 극기단 (極氣團) [극끼단]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氣(기운 기), 團(둥글 단)
극지방에서 발생하는 한랭 기단. 대륙성 북극 기단, 해양성 북극 기단 따위가 있다.
28. 극기후 (極氣候) [극끼후]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氣(기운 기), 候(기후 후:)
극에 가까운 고위도 지방의 기후. 기온이 매우 낮고 눈이 많이 내리며, 수목이 거의 자라지 못한다.
29. 극난 (極難) [긍난]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難(어려울 난(:))
몹시 어려움.
용례:
원체 그날이 길일이어서 장안에 결혼식이 쏟아질 것이니 식장 얻기가 극난이리라는 것이다.≪염상섭, 화관≫
30. 극난사 (極難事) [긍난사]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難(어려울 난(:)), 事(일 사:)
매우 어렵고 힘든 일.
31. 극난하다 (極難하다) [긍난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難(어려울 난(:))
몹시 어렵다.
용례:
아무리 풍랑에 잘 견딘다는 일본 삼판선이라도 그런 불순한 날씨에 험한 제주 바다를 건너기는 극난한 일이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32. 극남 (極南) [긍남]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南(남녘 남)
남쪽의 맨 끝.
33. 극다 (極多) [극따]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多(많을 다)
아주 많음.
34. 극단 (極端) [극딴]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端(끝 단)
「1」맨 끝.
「2」길이나 일의 진행이 끝까지 미쳐 더 나아갈 데가 없는 지경.
「3」중용을 잃고 한쪽으로 크게 치우침.
용례:
- 「2」사태가 극단으로 치닫다.
- 「2」절망의 극단에 이르러 비로소 그는 희망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
- 「3」극단의 개인주의.
- 「3」극단의 강경파.
- 「3」극단에 치우치다.
- 「3」극단으로 기울다.
- 「3」생각이 극단으로 흐르다.
- 「3」극단으로 몰고 가다.
- 「3」스탈린은 공포 정치의 극단을 보여 주었다.
35. 극단론 (極端論) [극딴논]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端(끝 단), 論(논할 론)
일이나 현상의 여러 가지 측면이나 요소를 살피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만 크게 치우친 이론.
용례:
- 극단론에 빠지다.
- 극단론을 펴다.
36. 극단적 (極端的) [극딴적]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端(끝 단), 的(과녁 적)
[Ⅰ]「1」길이나 일의 진행이 끝까지 미쳐 더 나아갈 데가 없는 것.
[Ⅰ]「2」중용을 잃고 한쪽으로 크게 치우치는 것.
[Ⅱ]「1」길이나 일의 진행이 끝까지 미쳐 더 나아갈 데가
없는.
[Ⅱ]「2」중용을 잃고 한쪽으로 크게 치우치는.
용례:
- [Ⅰ]「1」일이 극단적으로 치닫고 있다.
- [Ⅰ]「2」극단적인 태도.
- [Ⅰ]「2」극단적으로 생각하다.
- [Ⅱ]「1」극단적 상황.
- [Ⅱ]「2」극단적 행동.
- [Ⅱ]「2」극단적 방법.
- [Ⅱ]「2」극단적 표현.
37. 극대 (極帶) [극때]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帶(띠 대(:))
독일의 기상학자 쾨펜이 정한 기후대의 분류에서, 매달의 평균 온도가 1년간을 통하여 10℃ 이하인 지대.
38. 극대 (極大) [극때]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大(큰 대(:))
「1」더할 수 없이 큼.
「2」어떤 양이 일정한 법칙에 따라 늘어나다가 더 늘어날 수 없는 점까지 이르렀을 때를 이르는 말.
용례:
「1」현재 인류의 극대 관심사로 되어 있는 환경 문제.
39. 극대량 (極大量) [극때량]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大(큰 대(:)), 量(헤아릴 량)
아주 많은 분량.
40. 극대치 (極大値) [극때치]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大(큰 대(:)), 値(값 치)
「1」어떤 함수가 극대일 때의 함숫값.
「2」더할 수 없이 큰 정도.
용례:
- 「2」그는 새내기답지 않은 노련한 경기 운영으로 팀 조직력을 극대치로 끌어올렸다.
- 「2」나는 그에게 상상의 극대치를 맛보는 고통을 줄 것이다.
41. 극대하다 (極大하다) [극때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大(큰 대(:))
더할 수 없이 크다.
용례:
극대한 관심.
42. 극대한 (極大限) [극때한]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大(큰 대(:)), 限(한할 한:)
극도로 큰 한도.
용례:
- 극대한의 효과.
- 극대한으로 표현하다.
43. 극대형 (極大型) [극때형]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大(큰 대(:)), 型(모형 형)
같은 종류의 사물 가운데 아주 큰 규격이나 규모.
44. 극대화 (極大化) [극때화]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大(큰 대(:)), 化(될 화(:))
아주 커짐. 또는 아주 크게 함.
용례:
- 효율성의 극대화.
- 두뇌 기능의 극대화.
- 이윤의 극대화.
- 기업은 선전을 통하여 매출의 극대화를 꾀한다.
45. 극도 (極度) [극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度(법도 도(:))
더할 수 없는 정도.
용례:
- 극도로 긴장하다.
- 극도로 흥분하다.
- 건강이 극도로 나빠지다.
- 철의 극도에 달했던 초조와 불안도 고비를 넘기 시작하였다.≪김동리, 흥남 철수≫
- 극도의 두려움에 그 역시 짐승의 소리 같은 괴성을 지르며 아내가 덮고 있는 이불을 젖혔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46. 극동 (極東) [극똥]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東(동녘 동)
「1」동쪽의 맨 끝.
「2」유럽의 관점에서 동아시아를 이르는 말.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따위가 여기에 속한다.
용례:
- 「1」책상 넓이만 한 작은 지도 위인데도 그 거리는 극서와 극동으로 멀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 「2」한국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한, 일본 대만 등 극동은 물론이고 멀리 태평양 전역까지 무서운 위협에 부닥친다는 걸 말하고 싶었소.≪홍성원, 육이오≫
47. 극락 (極樂) [긍낙]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樂(즐길 락)
「1」더없이 안락해서 아무 걱정이 없는 경우와 처지. 또는 그런 장소.
「2」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용례:
- 「1」참말로 내가, 내 일생을, 그때 그 집에 있었을 때가 극락이었어요.≪최명희, 혼불≫
- 「2」죽어서 극락에 가다.
- 「2」불교에서는 생전에 선행을 많이 쌓아야 극락에 갈 수 있다고 한다.
48. 극락길 (極樂길) [긍낙낄]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樂(즐길 락)
「1」극락으로 가는 길.
「2」극락으로 가는 도리와 방법.
용례:
「2」땅 밑에서 썩을 황천객한테 지장경 외느니보다 살아 있는 사람 위해 칼을 드는 편이 극락길에 가까울 거요.≪박경리, 토지≫
49. 극락발원 (極樂發願) [긍낙빠뤈]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樂(즐길 락), 發(필 발), 願(원할 원:)
극락에 가기를 바라는 서원(誓願).
용례:
[긍낙빠뤈]
50. 극락왕생 (極樂往生) [긍나광:생]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樂(즐길 락), 往(갈 왕:), 生(날 생)
죽어서 극락에 다시 태어남.
용례:
- 고인의 극락왕생을 축원하다.
- 세 분의 극락왕생을 진심으로 빕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極 다할/극진할 극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極 다할/극진할 극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極 다할/극진할 극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