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극락전 (極樂殿) [긍낙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樂(즐길 락), 殿(전각 전:)
아미타불을 본존(本尊)으로 모신 법당.
용례:
극락전이 따로 있어 누구라 작다 얕보기엔 근거 없을 암자였는데….≪이문구, 장한몽≫
52. 극락조 (極樂鳥) [긍낙쪼]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樂(즐길 락), 鳥(새 조)
참새목 풍조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부리와 꽁지가 길며, 수컷은 몸의 빛깔이 화려하고 여러 가지 동작으로 구애의 춤을 춘다. 40여 종이 뉴기니에 분포한다.
53. 극량 (極量) [긍냥]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量(헤아릴 량)
「1」규정한 최대의 분량.
「2」‘최대 용량’의 전 용어.
용례:
「2」이것은 보통 때 약으로 먹자면 사흘 치 분량이니 극량에 가깝다. 그래 좀 과한 줄을 알고서 두 개는 덜어 놓고 열 개만 해서 왼편 손 손바닥에 쥐었다.≪채만식, 탁류≫
54. 극려 (極麗) [긍녀]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麗(고울 려)
‘극려하다’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답다.)의 어근.
55. 극력 (極力) [긍녁]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力(힘 력)
있는 힘을 아끼지 않고 다함. 또는 그 힘.
용례:
- 극력 주장.
- 극력 지지.
- 극력으로 반대하다.
- 극력으로 도와주다.
56. 극력하다 (極力하다) [긍녀카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力(힘 력)
있는 힘을 아끼지 않고 다하다.
용례:
나라를 위해 극력하다.
57. 극렬 (極烈) [긍녈]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烈(매울 렬)
매우 열렬하거나 맹렬함.
용례:
- 극렬 가담자.
- 극렬 시위.
- 극렬로 치닫다.
58. 극렬분자 (極烈分子) [긍녈분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烈(매울 렬), 分(나눌 분(:)), 子(아들 자)
사상이나 행동 따위가 매우 과격한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용례:
아무리 극렬분자가 주동 세력에 끼어 있다 해도 적당히 세부 원칙을 개선할 기미만 보여 주면 시들게 되어 있거든….≪황석영, 객지≫
59. 극렬하다 (極烈하다) [긍녈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烈(매울 렬)
매우 열렬하거나 맹렬하다.
용례:
- 극렬하게 반대하다.
- 극렬하게 비난하다.
- 극렬한 시위를 벌이다.
- 그것은 연령에 따라 코 양쪽에 자연히 나타나는 피부의 현상이 아니고 극렬한 고통으로 받은 상처같이 보였다.≪한무숙, 만남≫
-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을 위한 선거 실시가 공포되고, 그 준비가 본격화되자 좌익계 반대 폭동이 전국적으로 극렬하게 일어났다.≪조정래, 태백산맥≫
60. 극렬화 (極烈化) [긍녈화]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烈(매울 렬), 化(될 화(:))
지나칠 정도로 매우 맹렬하게 됨.
용례:
시위가 극렬화로 치닫다.
61. 극렬히 (極烈히) [긍녈히]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烈(매울 렬)
매우 열렬하거나 맹렬하게.
용례:
- 극렬히 반대하다.
- 의열단은 임시 정부를 눈에 든 가시와 같이 싫어하는 패라, 임시 정부의 해소를 극렬히 주장하였고….≪김구, 백범일지≫
62. 극로 (極老) [긍노]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老(늙을 로:)
‘극로하다’
(몹시 나이가 많다.)의 어근.
63. 극론 (極論) [긍논]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論(논할 론)
「1」지나치게 심한 말이나 논의.
「2」철저하게 논함.
「3」일이나 현상의 여러 가지 측면이나 요소를 살피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만 크게 치우친 이론.
용례:
「1」그는 긴 줄에서 새치기를 하는 사람은 엄벌에 처해야 한다는 극론까지 내놓았다.
64. 극론하다 (極論하다) [긍논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論(논할 론)
철저하게 논하다.
용례:
항소까지 하여 그 불가함을 극론하였었다.≪김동인, 대수양≫
65. 극류 (極流) [긍뉴]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流(흐를 류)
남북의 양 극지방에서 적도 쪽으로 흐르는 한류.
66. 극률 (極律) [긍뉼]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律(법칙 률)
사형과 같은 극한 형벌에 해당하는 죄를 정한 법률.
용례:
- 극률에 처하다.
- 몇 군데서 그의 죄를 성토하며 극률에 걸라는 상소가 올라갔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67. 극릉 (極綾) [긍능]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綾(비단 릉)
추(錐) 모양의 결정에서 위아래 방향에 어긋나게 축에 교차되는 모서리.
68. 극목 (極目) [긍목]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目(눈 목)
시력이 미치는 데까지 봄.
69. 극묘하다 (極妙하다) [긍묘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妙(묘할 묘:)
지극히 묘하다.
용례:
솜씨가 극묘한 경지에 이르다.
70. 극미 (極美) [긍미]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美(아름다울 미(:))
‘극미하다’
(더할 수 없이 아름답다.)의 어근.
71. 극미량 (極微量) [긍미량]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微(작을 미), 量(헤아릴 량)
더할 수 없이 적고 보잘것없는 분량.
용례:
극미량의 발암 물질.
72. 극미하다 (極微하다) [긍미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微(작을 미)
더할 수 없이 작거나 적다.
용례:
극미한 아메바 같은 생명 하나도 무기물에서 만들어 내기 불능함을….≪유치환, 나는 고독하지 않다≫
73. 극반경 (極半徑) [극빤경]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半(반(半) 반:), 徑(지름길/길 경)
지구의 중심에서 북극 또는 남극을 이은 선. 길이는 약 6,357km이다.
74. 극반동 (極反動) [극빤동]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反(돌이킬/돌아올 반:), 動(움직일 동:)
가장 심한 반동. 또는 극도의 반동.
75. 극변 (極邊) [극뼌]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邊(가[側] 변)
중심이 되는 곳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변경.
용례:
당하(堂下)에서 멀리 떨어진 극변인 데다가 백성들이 출륙 금지된 곳이니, 토색질을 하자고만 들면 앉은뱅이 턱 차기로 쉬웠던 것이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76. 극북 (極北) [극뿍]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北(북녘 북)
북쪽의 맨 끝.
용례:
상춘의 고향에 대한 향수가 일시 사람을 극북으로, 히말라야의 산정으로 몰아세우는 것인지도 모른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77. 극비 (極祕) [극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祕(숨길 비:)
절대 알려져서는 안 되는 중요한 일.(극비밀)
용례:
- 극비 문서.
- 극비에 부치다.
- 제군들의 이동 상황은 극비여서 당분간은 우리 중대의 다른 소대들까지도 3소대가 어디로 무엇을 하러 갔는지 모를 것이다.≪안정효, 하얀 전쟁≫
78. 극비리 (極祕裡) [극삐리]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祕(숨길 비:), 裡(속 리:)
다른 사람들에게는 전혀 알려지지 않은 가운데.(극비밀리)
용례:
- 극비리에 이루어지다.
- 극비리에 사업을 추진하다.
- 그의 첩보를 세밀히 검토한 군부에선 즉각 출병론이 대두했고, 드디어는 극비리에 병력 동원 준비까지 이미 완료되어 있었다.≪유주현, 대한 제국≫
79. 극비칭 (極卑稱) [극삐칭]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卑(낮을 비:), 稱(일컬을 칭)
인칭 대명사에서, 가장 낮추어 이르는 말. ‘너’, ‘저’, ‘소인’ 따위가 있다.
80. 극빈 (極貧) [극삔]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貧(가난할 빈)
몹시 가난함.
용례:
- 극빈 생활.
- 어떡하든 나라도 열심히 공부하여 벼슬길에 나가고 싶었지. 그래야만 극빈에서 벗어나고 문중이 옛 영화를 되찾을 수 있지 않겠나.≪유현종, 들불≫
81. 극빈자 (極貧者) [극삔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貧(가난할 빈), 者(놈 자)
몹시 가난한 사람.
용례:
- 극빈자 대우를 받다.
- 흑과부가 입주금 마련도 어려운 극빈자 속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우리의 인심 좋은 이웃들에게 안겨 준 배신감은 엄청난 것이었다.≪박완서, 흑과부≫
82. 극빈층 (極貧層) [극삔층]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貧(가난할 빈), 層(층[層階] 층)
몹시 가난한 계층.
용례:
정부에서는 극빈층을 위한 기초 생활 보장 제도를 마련하였다.
83. 극빈하다 (極貧하다) [극삔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貧(가난할 빈)
몹시 가난하다.
용례:
- 극빈한 삶.
- 극빈한 가정.
- 생활이 극빈하다.
- 가세가 극빈한 탓에 구걸을 나서야 했다.
84. 극빙 (極氷) [극삥]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氷(얼음 빙)
만들어진 지 일 년 이상이 되고 두께가 3미터를 넘는 바다 얼음.
용례:
북극해에는 극빙이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는 까닭에 쇄빙선이 아니고서는 접근이 불가능하다.
85. 극사 (極死) [극싸]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死(죽을 사:)
사형에 처해짐. 또는 사형에 처함.
86. 극사하다 (極似하다) [극싸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似(닮을 사:)
몹시 닮아서 비슷하다.
용례:
- 동생의 외모가 형과 극사하여 구별하기 어렵다.
- 두 사람은 극사한 외모로 한눈에 형제임을 알아볼 수 있다.
87. 극상 (極相) [극쌍]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相(서로 상)
천이에 의해 식물의 군집 조성이 변화하다가 그 지점에서의 생태적 조건에서 장기간 안정을 지속하는 상태에 있는 군집.
88. 극상 (極上) [극쌍]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上(윗 상:)
품질 따위가 가장 좋음. 또는 그런 물건.
용례:
- 극상의 품질.
- 극상의 물품.
89. 극상등 (極上等) [극쌍등]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上(윗 상:), 等(무리 등:)
가장 높은 등급.
용례:
지금 손님에게는 뜨뜻한 장국을 차려 오라는 분부다. 극상등 손님 대접을 하라는 말이다.≪염상섭, 삼대≫
90. 극상림 (極相林) [극쌍님]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相(서로 상), 林(수풀 림)
그 지역의 기후 조건에서 극상에 이르렀다고 간주되는 숲. 너도밤나무 숲, 구실잣밤나무 숲 따위이다.
91. 극상품 (極上品) [극쌍품]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上(윗 상:), 品(물건 품:)
가장 좋은 품질. 또는 그런 물건.(극품)
용례:
술도 집에서 증류한 독한 소주에다 인삼을 담아 해를 묵힌 극상품으로 내갔다.≪박완서, 미망≫
92. 극상하다 (極上하다) [극쌍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上(윗 상:)
수나 양, 정도 따위가 가장 크다.
용례:
무슨 병이기에 삼 원씩이나 들까? 그저 극상해야 한 일 원어치 약 먹었으면 낫겠지?≪강경애, 인간 문제≫
93. 극서 (極暑) [극써]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暑(더울 서:)
몹시 심하여서 견디기 어려운 더위.
용례:
우리는 극서에도 땀을 흘려 가며 열심히 일했다.
94. 극서 (極西) [극써]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西(서녘 서)
서쪽의 맨 끝.
용례:
극서의 땅에서 긴 밤을 지내고 있으니 자연 극동에 있는 조국이 생각난다는 얘길까.≪이병주, 행복어 사전≫
95. 극선 (極選) [극썬]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選(가릴 선:)
매우 정밀하게 잘 골라 뽑음.
96. 극선 (極線) [극썬]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線(줄 선)
어느 한 점에서 원 또는 원뿔 곡선에 두 접선을 그었을 때에, 그 접점을 이은 선.
97. 극선 (極善) [극썬]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善(착할 선:)
「1」마음씨나 행동이 더할 수 없이 착하고 고움.
「2」가장 좋음.
98. 극성 (極盛) [극썽]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盛(성할 성:)
「1」몹시 왕성함.
「2」성질이나 행동이 몹시 드세거나 지나치게 적극적임.
용례:
- 「1」극성에 이르다.
- 「1」극성을 누리던 나라도 내리막길로 접어들기 마련이다.
- 「2」극성에 시달리다.
- 「2」모기가 극성을 피우다.
- 「2」불법 영업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 「2」산림에 각종 해충이 극성을 부려 방제책을 마련했다.
- 「2」아이가 얼마 전부터 장난감을 사 달라고 극성이다.
99. 극성 (極星) [극썽]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星(별 성)
천구(天球)의 극에 가장 가까운 별. 북극에는 작은곰자리의 알파성(α星)이 북극성의 역할을 하고 있으나, 남극에는 이에 짝하는 별이 없다.
100. 극성 (極性) [극썽]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性(성품 성:)
「1」전극의 양극과 음극, 자석의 남극과 북극이 가지고 있는 서로 다른 성질.
「2」생체 내의 세포나 조직이 어떤 축을 따라 형태적·생리적으로 서로 다른 성질을 나타내는 일. 식물에서 뿌리는
밑으로, 줄기는 위로 자라는 것이나, 지렁이의 몸이 잘렸을 때에 머리가 있던 쪽에서는 머리가, 꼬리가 있던 쪽에서는 꼬리가 자라는 것 따위가 있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極 다할/극진할 극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極 다할/극진할 극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極 다할/극진할 극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