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 극제품 (極製品) [극쩨품]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製(지을 제:), 品(물건 품:)
품질이 매우 좋은 물건.
152. 극조 (極潮) [극쪼]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潮(밀물/조수 조)
지구 회전축의 운동으로 생기는, 약 6mm의 진폭을 가지는 조류(潮流). 운동 주기는 428일이다.
153. 극존 (極尊) [극쫀]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尊(높을 존)
「1」‘임금’(군주 국가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우두머리.)을 높여 이르는 말.
「2」지위가 매우 높음.
용례:
「1」저 말은 감히 극존인 상감을 능멸하고자 함이 아닌가.
154. 극존대 (極尊待) [극쫀대]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尊(높을 존), 待(기다릴 대:)
극진히 높이어 대접함.
용례:
나이도 훨씬 손아래들인데 벼슬하는 조카들이라 모두 극존대를 하고 있다.
155. 극존칭 (極尊稱) [극쫀칭]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尊(높을 존), 稱(일컬을 칭)
인칭 대명사에서, 가장 높여 이르는 말. ‘당신’, ‘이분’, ‘저분’ 따위가 있다.
156. 극좌 (極左) [극쫘]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左(왼 좌:)
극단적으로 사회주의적이거나 공산주의적인 성향. 또는 그 성향을 가진 사람이나 세력.(극좌익)
용례:
마침내 극좌 쪽에서는 극우 세력을 필두로 해서 보수 대연합을 싹 쓸어 없애야 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단 말이다.≪한승원, 겨울 폐사≫
157. 극좌적 (極左的) [극쫘적]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左(왼 좌:), 的(과녁 적)
[Ⅰ]극단적으로 사회주의적이거나 공산주의적인 성향을 띤 것.
[Ⅱ]극단적으로 사회주의적이거나 공산주의적인 성향을 띤.
용례:
- [Ⅰ]극좌적인 혁명과 통일의 논리.
- [Ⅱ]군중 운동이 극좌적 경향을 띠다.
158. 극좌파 (極左派) [극쫘파]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左(왼 좌:), 派(갈래 파)
극단적인 사회주의나 공산주의의 성향을 띤 세력.
용례:
요즘 세계 곳곳에서 테러를 벌이고 있는 적군파나 극좌파와 비슷한 발상법을 갖고 있었다고나 할까.≪김원일, 노을≫
159. 극좌표 (極座標) [극쫘표]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座(자리 좌:), 標(표할 표)
평면 위의 점의 위치를, 정점(定點)으로부터의 거리와 x축과 이루는 각으로 나타내는 좌표.
160. 극중하다 (極重하다) [극쭝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重(무거울 중:)
「1」극히 무겁다.
「2」병세나 형벌 따위가 몹시 무겁다.
용례:
- 「1」죄인의 몸에 극중한 칼을 씌우다.
- 「2」극중한 형벌을 감수하다.
161. 극중히 (極重히) [극쭝히]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重(무거울 중:)
「1」극히 무겁게.
「2」병세나 형벌 따위가 몹시 무겁게.
용례:
「2」엄한 형벌을 극중히 받다.
162. 극지 (極止) [극찌]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止(그칠 지)
끝에 이르러 멈춤.
163. 극지 (極地) [극찌]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地(따 지)
「1」맨 끝에 있는 땅.
「2」남극과 북극을 중심으로 한 그 주변 지역. 경계선은 일반적으로 교목 한계로 정하며, 북반구에서는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0℃인 등온선과 대략 일치한다.
용례:
- 「1」고구려 망하고는 발해에 소속됐다가 여진 땅이 된 곳인데, 극지라.≪최명희, 혼불≫
- 「2」그렇게 넓은 땅이라도 소유권이 없는 땅은 단 한 평도 없을 것이다. 사람 못 살 극지로나 가기 전에…….≪이태준, 화관≫
164. 극지방 (極地方) [극찌방]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地(따 지), 方(모[棱] 방)
남극과 북극을 중심으로 한 그 주변 지역. 경계선은 일반적으로 교목 한계로 정하며, 북반구에서는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0℃인 등온선과 대략 일치한다.
165. 극지법 (極地法) [극찌뻡]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地(따 지), 法(법 법)
등산에서, 우선 본거지를 설정하고 차차로 전진 기지를 설치하며 목적지에 도달하는 방법. 남극이나 북극을 탐험할 때 쓴 데서 유래한다.
166. 극진하다 (極盡하다) [극찐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盡(다할 진:)
어떤 대상에 대하여 정성을 다하는 태도가 있다.
용례:
- 극진한 간호.
- 극진한 정성.
- 효성이 극진하다.
- 손님을 극진하게 대접하다.
- 정인에게 쏟아지던 시어머니의 극진한 사랑은 그 뒤 아이들이 태어나면서 그들에게 옮겨졌다.≪이문열, 영웅시대≫
- 숙부네는 그때까지도 아이가 없어서 우리 남매에 대한 애정이 극진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167. 극진히 (極盡히) [극찐히]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盡(다할 진:)
어떤 대상에 대하여 정성을 다하는 태도가 있게.
용례:
- 극진히 보살펴 주다.
- 극진히 대접하다.
- 극진히 사랑하다.
- 그는 부모님을 극진히 모셨다.
168. 극찬 (極讚) [극찬]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讚(기릴 찬:)
매우 칭찬함. 또는 그런 칭찬.
용례:
- 극찬을 받다.
- 극찬을 아끼지 않다.
169. 극찬하다 (極讚하다) [극찬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讚(기릴 찬:)
매우 칭찬하다.
용례:
- 심사 위원들은 하나같이 그의 작품을 이태백과 비길 만하다고 극찬했다.
- 일부 언론과 축구 전문가들도 그를 최고의 선수라고 극찬했다.
170. 극채색 (極彩色) [극채색]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彩(채색 채:), 色(빛 색)
「1」아주 정밀하고 짙은 여러 가지 고운 빛깔.
「2」화려한 복장이나 장식.
용례:
- 「1」단청 빛깔 같은 극채색의 현란한 영상이 소용돌이치고 있었다.≪김성동, 만다라≫
- 「1」계단의 양쪽엔 겨울인데도 노랑·파랑·빨강으로 극채색 꽃들이 만발하고 있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171. 극처 (極處) [극처]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處(곳 처:)
궁극에 다다른 곳. 또는 맨 끝.
용례:
그보다 더 극처 궁지, 짐작할 길 바이 없는 악지 사지로 이렇게 떠밀리어 떠나가는 불쌍한 새끼….≪최명희, 혼불≫
172. 극천 (極天) [극천]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天(하늘 천)
「1」하늘의 가장 높은 곳.
「2」하늘에 닿음.
173. 극체 (極體) [극체]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體(몸 체)
동물의 난모세포가 감수 분열을 하여 난자가 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작은 세포. 한 개의 제1난모세포에서 모두 3개가 생기는데 퇴화한다.
174. 극초대형 (極超大型) [극초대형]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超(뛰어넘을 초), 大(큰 대(:)), 型(모형 형)
크기가 보통의 것들보다 훨씬 큰 것들 가운데서도 가장 큰 축에 드는 것.
용례:
극초대형 천체 망원경.
175. 극초소형 (極超小型) [극초소형]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超(뛰어넘을 초), 小(작을 소:), 型(모형 형)
크기가 보통의 것들보다 훨씬 작은 것들 가운데서도 가장 작은 축에 드는 것.
용례:
극초소형 컴퓨터.
176. 극치 (極侈) [극치]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侈(사치할 치)
씀씀이나 치레 따위가 더할 나위 없이 분에 넘침. 또는 그 씀씀이나 치레.
177. 극치 (極致) [극치]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致(이를 치:)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정취나 경지.
용례:
- 아름다움의 극치.
- 극치를 보이다.
- 반눈을 감은 북방천왕의 눈은 슬픔의 극치를 머금고 있어 더 서러웠습니다.≪최명희, 혼불≫
178. 극친하다 (極親하다) [극친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親(친할 친)
아주 친하다.
용례:
- 나와 극친한 사이.
- 그분은 선생님과 극친한 친구 사이이시다.
- 그는 형과 극친하니까 조그만 일로 서로 다투는 일은 없을 것이다.
- 그들은 극친하여 서로 터놓고 지낸다.
179. 극친히 (極親히) [극친히]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親(친할 친)
아주 친하게.
용례:
어머니께 지극히 효성스러운 듯 오라버니께 극친히 공손한 듯 아주 얌전을 빼지마는….≪최찬식, 안의 성≫
180. 극탕 (極蕩) [극탕]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蕩(방탕할 탕:)
‘극탕하다’
(몹시 넓다.)의 어근.
181. 극태사 (極太絲) [극태사]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太(클 태), 絲(실 사)
올이 아주 굵은 털실.
182. 극택하다 (極擇하다) [극태카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擇(가릴 택)
매우 정밀하게 잘 골라 뽑다.
용례:
너의 어머니 말은 사위 취재를 그만두자고 하니 이거 봐라 사위를 극택합네 조선 팔도에 수소문한 것은 어떻게 하니.≪홍명희, 임꺽정≫
183. 극통 (極痛) [극통]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痛(아플 통:)
「1」몹시 심한 아픔.
「2」뼈에 사무치게 맺힌 고통.
용례:
「2」유종은 사랑문을 겹겹이 잠그고 혼자서 방 안엘 왔다 갔다 하며 머리끝까지 치밀린 격분과 극통을 걷잡지 못하고 있었다.≪현진건, 무영탑≫
184. 극통하다 (極痛하다) [극통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痛(아플 통:)
뼈에 사무치게 고통스럽다.
용례:
박 형이 그 지경에 이른 것은 극통한 일이지만 현재로서는 어찌할 도리가 없는 노릇이다.
185. 극하 (極下) [그카]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下(아래 하:)
품질이 몹시 나쁨. 또는 그런 물건.
186. 극하다 (極하다) [그카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더할 수 없는 정도에 이르다. 또는 그렇게 하다.
용례:
- 감격이 극하여 말문이 막히다.
- 슬픔이 극하면 눈물도 아니 나오는 법이다.
- 자비도 극하면 남는 건 미(美)로구나.≪장용학, 역성 서설≫
- 투구 바위 둘레에 파 놓은 참호 속은 비참을 극하고 있었다.≪이병주, 지리산≫
- 중국 반만년 역사에서 회갑을 넘긴 제왕이 몇이나 되는가? 거개는 호사를 극하다가 술과 여자를 즐기다가 천명을 스스로 줄였다.≪유주현, 대한 제국≫
187. 극한 (極限) [그칸]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限(한할 한:)
「1」궁극의 한계. 사물이 진행하여 도달할 수 있는 최후의 단계나 지점을 이른다.
「2」어떤 양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어떤 일정한 값에 한없이 가까워지는 일.
용례:
- 「1」극한 대립.
- 「1」슬픔이 극한에 이르다.
- 「1」극한의 상황까지 몰고 가다.
- 「1」남상이의 시선을 의식하면 할수록 그만 그 극한의 가난만은 벗어나 보이는 몸짓이 필요할 때라고 그는 생각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188. 극한 (極寒) [그칸]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寒(찰 한)
몹시 심하여서 견디기 어려운 추위.
용례:
긴 겨울 극한을 견디어 내고 마침내 새싹들이 돋기 시작한다.
189. 극한점 (極限點) [그칸쩜]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限(한할 한:), 點(점 점(:))
「1」무한히 많은 다른 점의 극한이 되는 점.
「2」더 이상 어떤 것을 참을 수 없는 최고의 상태를 이르는 말.
용례:
- 「2」그의 말에서 극한점에 다다른 사람이 발산하는 애끓는 마음 같은 것이 느껴졌다.
- 「2」그런데 인간의 예지와 분규가 한 극한점에 다다라 있다고 볼 수 있는 오늘의 원자 시대에….≪유치환, 나는 고독하지 않다≫
190. 극한투쟁 (極限鬪爭) [그칸투쟁]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限(한할 한:), 鬪(싸움 투), 爭(다툴 쟁)
어떤 목적을 이루고자 싸울 수 있는 데까지 있는 힘을 다하여 싸우는 일.
용례:
극한투쟁을 벌이다.
191. 극항 (極亢) [그캉]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亢(높을 항)
극도에 이르러서 여지가 없음.
용례:
가다가 되돌아오고, 망하다 흥하는 것은 하늘의 이치요, 어지러움이 극항에 오르면 다시 질서를 유지하는 것은 인도(人道)의 필연한 법칙이라.≪박종화, 임진왜란≫
192. 극해 (極害) [그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害(해할 해:)
몹시 심한 해독.
193. 극해 (極海) [그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海(바다 해:)
북극이나 남극의 바다.
용례:
까딱 잘못하면 선체는 큰 구멍이 뚫려서 침몰하고 우리들은 이 극해에 던져질 것이다.
194. 극핵 (極核) [그캑]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核(씨 핵)
속씨식물의 배낭 중앙 세포에 있는 핵. 정핵(精核)과 융합한 후 분열하여 배젖을 만든다.
195. 극험하다 (極險하다) [그컴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險(험할 험:)
몹시 험하다.
용례:
극험한 산봉우리.
196. 극형 (極刑) [그켱]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刑(형벌 형)
가장 무거운 형벌이라는 뜻으로, ‘사형’(死刑)을 이르는 말.
용례:
- 극형을 받다.
- 극형에 처하다.
- 다행히 둘 다 극형을 면하고 제주 목 종신 유배로 낙착되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97. 극흉 (極凶) [그큥]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凶(흉할 흉)
아주 심한 흉년.
198. 극흉하다 (極凶하다) [그큥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凶(흉할 흉)
몹시 흉악하다.
용례:
극흉한 죄인.
199. 극히 (極히) [그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더할 수 없는 정도로.
용례:
- 극히 어려운 일.
- 극히 당연한 일.
- 극히 우수한 학생.
- 지구가 혜성과 충돌할 확률은 극히 낮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極 다할/극진할 극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極 다할/극진할 극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極 다할/극진할 극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