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極 다할/극진할 극 - 3

101. 극성기 (極盛期) [극썽기]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盛(성할 성:), 期(기약할 기)

몹시 왕성한 시기.

용례:

  • 문화의 극성기.
  • 문벌 귀족 체제의 극성기.
  • 극성기를 맞다.

102. 극성떨다 (極盛떨다) [극썽떨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盛(성할 성:)

몹시 드세거나 지나치게 적극적으로 행동하다.

용례:

공부하겠다고 그렇게 극성떨더니 기어코 대학에 들어갔다.

103. 극성뗑이 (極盛뗑이) [극썽뗑이]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盛(성할 성:)

성질이나 행동이 몹시 드세거나 지나치게 적극적인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용례:

저 극성뗑이 어린 걸 데리고 어디 가서 남의집살이를 하겠다고.≪염상섭, 부부≫

104. 극성맞다 (極盛맞다) [극썽맏따]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盛(성할 성:)

성질이나 행동이 몹시 드세거나 왕성하고, 지나치게 적극적인 데가 있다.

용례:

  • 극성맞은 학부모들.
  • 그렇게 여러 날 극성맞게 불던 바람이 어제부터 누그러졌다.
  • 난리를 겪고도 용케 살아남은 동네 개들이 일제히 들고일어나 극성맞은 그 포효로 마을을 휩싼 어둠의 장막을 갈기갈기 찢어발기고 있었다.≪윤흥길, 장마≫

105. 극성스레 (極盛스레) [극썽스레]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盛(성할 성:)

성질이나 행동이 몹시 드세거나 지나치게 적극적인 데가 있게.

용례:

  • 극성스레 굴다.
  • 아이들은 한 번 떨어졌다가도, 혹시나 제가 빠질까 하고 다시 극성스레 달라붙는다.≪심훈, 상록수≫

106. 극성쟁이 (極盛쟁이) [극썽쟁이]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盛(성할 성:)

성질이나 행동이 몹시 드세거나 지나치게 적극적인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용례:

우리는 집주인인 극성쟁이 노파의 등쌀에 못 이겨 집을 떠나야 했다.

107. 극성하다 (極盛하다) [극썽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盛(성할 성:)

「1」몹시 왕성하다.
「2」성질이나 행동이 몹시 드세거나 지나치게 적극적이다.

용례:

  • 「1」국력이 극성한 시기.
  • 「1」해운업이 극성하다.
  • 「2」극성해 가는 당쟁 틈서리에 쇠약하고 좀먹어 가는 것은 나라와 백성뿐이었다.≪박종화, 전야≫

108. 극성히 (極盛히) [극썽히]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盛(성할 성:)

「1」몹시 왕성하게.
「2」성질이나 행동이 몹시 드세거나 지나치게 적극적으로.

용례:

  • 「1」국력이 극성히 뻗어 나가다.
  • 「2」우리 아이는 너무 극성히 굴어서 새 옷을 사 주어도 며칠 못 간다.

109. 극세말 (極細末) [극쎄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細(가늘 세:), 末(끝 말)

매우 곱고 보드랍게 만든 가루.

110. 극세사 (極細絲) [극쎄사]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細(가늘 세:), 絲(실 사)

올이 매우 가느다란 실.

용례:

  • 극세사 이불.
  • 이 옷은 극세사를 가공한 고밀도 원단을 사용하여 보온성이 뛰어나다.

111. 극세포 (極細胞) [극쎄포]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細(가늘 세:), 胞(세포 포(:))

「1」환형동물과 연체동물의 발생 과정에서 나타나는 큰 세포.
「2」곤충의 초기 발생 과정에서 생식 세포를 만드는 큰 세포.

112. 극세하다 (極細하다) [극쎄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細(가늘 세:)

몹시 잘거나 가늘다.

용례:

잘게 빻아 극세한 분말로 만들다.

113. 극소 (極所) [극쏘]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所(바 소:)

끝닿은 곳.

114. 극소 (極少) [극쏘]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少(적을 소:)

아주 적음.

용례:

극소 분량.

115. 극소 (極小) [극쏘]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小(작을 소:)

「1」아주 작음.
「2」어떤 양이 일정한 법칙에 따라 줄어들다가 더 줄어들 수 없는 점까지 이르렀을 때를 이르는 말.

116. 극소량 (極少量) [극쏘량]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少(적을 소:), 量(헤아릴 량)

아주 적은 분량.

용례:

청산가리는 맹독성 화학 물질이므로 극소량이라도 치사량이 될 수 있다.

117. 극소수 (極少數) [극쏘수]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少(적을 소:), 數(셈 수:)

아주 적은 수효.

용례:

  • 극소수의 견해.
  • 극소수의 인원.
  • 극소수에 지나지 않다.
  • 그들은 이번 전투에 가담하지 않았다. 가담한 것은 극소수에 불과한 천여 명 정도였다.≪유현종, 들불≫

118. 극소점 (極小點) [극쏘쩜]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小(작을 소:), 點(점 점(:))

어느 함수의 극솟값을 나타내는 점.

119. 극소하다 (極少하다) [극쏘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少(적을 소:)

아주 적다.

용례:

이런 예는 극소한 일이지 누구나 다 해낼 수는 없는 일이었다.≪최정희, 풍류 잡히는 마을≫

120. 극소형 (極小型) [극쏘형]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小(작을 소:), 型(모형 형)

같은 종류의 사물 가운데 아주 작은 규격이나 규모.

용례:

  • 극소형 칩.
  • 극소형 카메라.
  • 극소형 펜.

121. 극소화 (極少化) [극쏘화]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少(적을 소:), 化(될 화(:))

아주 적어짐. 또는 아주 적게 함.

용례:

비용의 극소화.

122. 극소화 (極小化) [극쏘화]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小(작을 소:), 化(될 화(:))

아주 작아짐. 또는 아주 작게 함.

용례:

전자 제품 산업에서는 더 작게 만들려는 극소화 경쟁이 치열하다.

123. 극심하다 (極甚하다) [극씸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甚(심할 심:)

매우 심하다.

용례:

  • 극심한 추위.
  • 극심한 인력난.
  • 피해 정도가 극심하다.
  • 가뭄 피해가 극심하다.
  • 날씨 변화가 극심하다.
  • 교통 체증이 극심하다.
  • 서른 가까운 나이에 초산이라 그 산고가 길고도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을 만큼 극심해서 자식을 바란 것을 다 후회할 지경이었다.≪박완서, 미망≫

124. 극심히 (極甚히) [극씸히]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甚(심할 심:)

매우 심하게.

용례: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세계적으로 부가 극심히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125. 극악 (極惡) [그각]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惡(악할 악)

「1」마음씨나 행동이 더할 나위 없이 악함.
「2」가장 나쁨.

용례:

  • 「1」한 계집의 극악이 이토록 하늘에 닿아 있었던 것은 일찍이 경험하지 못했었다.≪김주영, 객주≫
  • 「2」극악의 상황.

126. 극악봉 (極惡峯) [그각뽕]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惡(악할 악), 峯(봉우리 봉)

매우 험악한 산봉우리.

127. 극악인 (極惡人) [그가긴]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惡(악할 악), 人(사람 인)

더할 나위 없이 악한 사람.

용례:

누가 저런 극악인 뒤를 돌봐 주겠습니까.≪한무숙, 만남≫

128. 극악하다 (極惡하다) [그가카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惡(악할 악)

「1」마음씨나 행동이 더할 나위 없이 악하다.
「2」가장 나쁘다.

용례:

  • 「1」극악한 죄수.
  • 「1」범죄의 수법이 극악하다.
  • 「1」그 극악한 큰 죄는 천지간에 용납할 수 없는 바이다.≪박종화, 임진왜란≫

129. 극야 (極夜) [그갸]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夜(밤 야:)

겨울철 고위도 지방이나 극점 지방에서 추분부터 춘분 사이에 오랫동안 해가 뜨지 않고 밤만 계속되는 상태.

130. 극양 (極洋) [그걍]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洋(큰바다 양)

남극이나 북극에 가까운 바다.

131. 극언 (極言) [그건]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言(말씀 언)

「1」극단적으로 말함. 또는 그런 말.
「2」있는 힘을 다해서 간하여 말함. 또는 그런 말.

용례:

  • 「1」극언을 퍼붓다.
  • 「1」감정이 격해진 양친은 명희와 불륜의 관계가 있기에 명희 편에 서는 것 아니냐 극언까지 하며 찬하를 몰아세우기도 했다.≪박경리, 토지≫
  • 「1」섣불리 굴면 저 인부들이 살고 있는 무허가 주택들을 철거해 버림으로써 보복하겠다고 극언도 서슴잖고 내놓던 것이다.≪이문구, 장한몽≫
  • 「2」극언을 올리다.

132. 극언하다 (極言하다) [그건하다]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言(말씀 언)

「1」극단적으로 말하다.
「2」있는 힘을 다해서 간하여 말하다.

용례:

  • 「1」그는 그녀를 다시는 만나지 않겠다고 극언했다.
  • 「1」상술에 편승한 결혼식은, 만일 결혼이란 것이 신성한 것이라면 그 신성을 모독하는 짓이라고 극언할 수도 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133. 극엄 (極嚴) [그검]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嚴(엄할 엄)

‘극엄하다’
(「1」매우 엄하다.
「2」극히 엄숙하다.)의 어근.

134. 극역 (極逆) [그격]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逆(거스릴 역)

임금과 나라에 큰 죄가 되는 것 가운데서 가장 흉악한 것.

135. 극열 (極熱) [그결]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熱(더울 열)

「1」매우 심한 열.
「2」몹시 뜨거움. 또는 그런 열기.

136. 극염 (極炎) [그겸]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炎(불꽃 염)

몹시 심한 더위.

137. 극예 (極銳) [그계]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銳(날카로울 예:)

‘극예하다’
(몹시 날카롭다.)의 어근.

138. 극우 (極右) [그구]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右(오를/오른(쪽) 우:)

극단적으로 보수주의적이거나 국수주의적인 성향. 또는 그 성향을 가진 사람이나 세력.(극우익)

용례:

행동하지 않는 양심과 순수는 파시스트적인 극우를 방관하고 도와주는 것이라고 그는 생각했다.≪한승원, 겨울 폐사≫

139. 극우적 (極右的) [그구적]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右(오를/오른(쪽) 우:), 的(과녁 적)

[Ⅰ]극단적으로 보수주의적이거나 국수주의적인 성향을 띤 것.
[Ⅱ]극단적으로 보수주의적이거나 국수주의적인 성향을 띤.

용례:

  • [Ⅰ]극우적이고 폭력적인 정치.
  • [Ⅱ]극우적 냉전 논리.

140. 극우파 (極右派) [그구파]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右(오를/오른(쪽) 우:), 派(갈래 파)

극단적인 보수주의나 국수주의의 성향을 띤 세력.

용례:

이렇게 과격해진 극우파와 극좌파의 세력 속에서 선량한 백성들은 시달림을 당하고 있지.≪한승원, 겨울 폐사≫

141. 극원 (極遠) [그권]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遠(멀 원:)

‘극원하다’
(몹시 멀다.)의 어근.

142. 극월 (極月) [그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月(달 월)

음력으로 한 해의 맨 끝 달.

143. 극위 (極位) [그귀]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位(자리 위)

가장 높은 지위.

144. 극응력 (極應力) [그긍녁]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應(응할 응:), 力(힘 력)

물체가 파괴되지 않고 견디어 낼 수 있는 극한의 힘.

145. 극의 (極意) [그기]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意(뜻 의:)

「1」지극한 뜻.
「2」마음을 한곳에만 씀.

용례:

「1」노부모를 모시고 있으면 원행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효의 극의를 가르친 말이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146. 극저 (極低) [극쩌]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低(낮을 저:)

더할 수 없이 낮음.

용례:

  • 극저 결함.
  • 극저 기온.
  • 극저 배당.
  • 영하 2도 이하의 극저 온도에서는 초전도 현상 같은 상온에서 볼 수 없는 현상이 일어난다.

147. 극저온 (極低溫) [극쩌온]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低(낮을 저:), 溫(따뜻할 온)

절대 영도에 가까운 매우 낮은 온도.

148. 극전 (極傳) [극쩐]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傳(전할 전)

한집안에 대대로 전하여 내려오는, 가장 중요한 물건이나 비결.

149. 극점 (極點) [극쩜]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點(점 점(:))

「1」극도에 이른 점.
「2」위도 90도의 지점. 남극점과 북극점이 있다.

용례:

「1」거기까지가 그의 한계이자 보통 사람으로서의 인내의 극점이었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150. 극정 (極頂) [극쩡]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頂(정수리 정)

산의 맨 꼭대기.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極 다할/극진할 극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極 다할/극진할 극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極 다할/극진할 극 - 4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