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가 (漁家) [어가]
한자: 漁(고기잡을 어), 家(집 가)
어부의 집.
용례:
임진란 당시 왜군이 동래성을 공략한 때만 하더라도 부산이란 겨우 갈대밭 새로 치운 어가가 한둘 보일 정도의 이름도 없는 갯마을이었다고 한다.
2. 어가 (漁歌) [어가]
한자: 漁(고기잡을 어), 歌(노래 가)
어부들이 고기잡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3. 어구 (漁具) [어구]
한자: 漁(고기잡을 어), 具(갖출 구(:))
고기잡이에 쓰는 여러 가지 도구.
용례:
어구를 손질하거나 화투 놀이를 하고 있던 많은 어부들이 갑판으로 나와서 호기심 어린 눈길로 그들을 바라보았다.
4. 어기 (漁期) [어기]
한자: 漁(고기잡을 어), 期(기약할 기)
고기를 잡는 시기. 또는 어떤 특정한 구역에서 어떤 종류의 고기가 많이 잡히는 시기.
용례:
부근에는 한국과 일본의 독항선들이 어기를 노려 산재해서 와글대고 있었고….
5. 어로 (漁撈) [어로]
한자: 漁(고기잡을 어), 撈(건질 로)
고기나 수산물 따위를 잡거나 거두어들이는 일.
용례:
- 어로 활동.
- 어로 장비.
- 어로와 수렵으로 살아가다.
6. 어망 (漁網) [어망]
한자: 漁(고기잡을 어), 網(그물 망)
물고기를 잡는 데 쓰는 그물.
용례:
- 어망을 치다.
- 어망에 큰 고기가 걸렸다.
- 아버지는 고기잡이를 나가기 전에 어망을 손질했다.
7. 어민 (漁民) [어민]
한자: 漁(고기잡을 어), 民(백성 민)
물고기 잡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용례:
- 이번 태풍으로 어민들의 피해가 상당했다.
- 두 동네에 인접해 있는 바다를 어느 특정인이 소유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으레 그 지방 어민 다수의 것이 되어야 한다고 그들은 주장했다.
- 포구에 지켜 섰다가 어민들이 잡아 오는 물고기ㆍ미역ㆍ전복을 반 넘게 빼앗았다.
8. 어법 (漁法) [어뻡]
한자: 漁(고기잡을 어), 法(법 법)
물고기를 잡는 방법. 어망법이나 조어법 따위가 있다.
용례:
- 그물 어구에 의한 어법과 낚시 어구에 의한 어법.
- 어법이 좋아야 고기를 많이 잡을 수 있다.
9. 어부 (漁夫) [어부]
한자: 漁(고기잡을 어), 夫(지아비 부)
물고기 잡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용례:
- 강에서 어부가 그물을 던진다.
- 어부들은 어망을 손질하며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 저만큼서 고깃배가 지나가며 어부가 손을 흔들었다.
10. 어부사 (漁父詞) [어부사]
한자: 漁(고기잡을 어), 父(아비 부), 詞(말/글 사)
「1」조선 명종 때에, 이현보가 지은 연시조. 늙은 어부의 즐거움을 읊은 것으로 고려의 <어부가>를 개작하여 단가(短歌) 5수, 장가(長歌) 9수로 만든 것이다.
「2」조선 시대 십이 가사의 하나. 이현보의 <어부사>를 다섯 가지의 가락으로 되풀이하여 부르는 것으로 6박 1장단이다.
11. 어부사시사 (漁父四時詞) [어부사:시사]
한자: 漁(고기잡을 어), 父(아비 부), 四(넉 사:), 時(때 시), 詞(말/글 사)
조선 효종 2년(1651)에 윤선도가 지은 연시조. 강촌에서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어부의 생활을 노래하였다. 춘ㆍ하ㆍ추ㆍ동 각 10수씩 모두 40수로 되어 있으며, ≪고산유고≫에 실려 있다.
12. 어선 (漁船) [어선]
한자: 漁(고기잡을 어), 船(배 선)
고기잡이를 하는 배.
용례:
- 날이 밝자 어선들은 만선의 부푼 꿈을 안고 출항했다.
- 큰 어선은 먼바다까지 나가 고기를 잡는다.
- 근해에서 어선들이 조업을 하고 있다.
- 이곳에서 조업하는 모든 어선은 본국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
13. 어선단 (漁船團) [어선단]
한자: 漁(고기잡을 어), 船(배 선), 團(둥글 단)
고기잡이를 하는 배의 무리.
용례:
북동쪽에서 조업하던 어선단도 보이지 않았고 남동쪽의 선단도 보이지 않았다.
14. 어세 (漁稅) [어세]
한자: 漁(고기잡을 어), 稅(세금 세:)
지방세의 하나. 어업 및 어업권에 대하여 부과한다.
용례:
그 알량한 어살에서 어세를 한 철에 세 번이나 첩징을 하는 바람에 어세 받으러 온 서원 놈을 팬다는 게 그만….
15. 어업 (漁業) [어업]
한자: 漁(고기잡을 어), 業(업 업)
영리를 목적으로 물고기, 조개, 김, 미역 따위를 잡거나 기르는 산업. 또는 그런 직업.
용례:
- 어업에 종사하다.
- 선진국들은 점진적으로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16. 어옹 (漁翁) [어옹]
한자: 漁(고기잡을 어), 翁(늙은이 옹)
고기를 잡는 노인.
용례:
한쪽에는 거문고가 기대어져 있으며 어옹이 강심에 배를 띄우고 앉아 있는 산수화 한 폭이 걸려 있었다.
17. 어장 (漁場) [어장]
한자: 漁(고기잡을 어), 場(마당 장)
「1」고기잡이를 하는 곳.
「2」풍부한 수산 자원이 있고 어업을 할 수 있는 수역(水域). 대륙붕 뱅크가 널리 분포하고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곳이다.
용례:
- 「1」무식하지만 자산이 있고 큰 규모의 어장도 소유한 여 선주는 이 지방의 유지였다.
- 「2」고기잡이 어선들이 연안 어장에 출어했다.
- 「2」풍족하던 어장이 오염으로 황폐해졌다.
- 「2」한류와 난류가 교류하는 동해 어장에서는 명태, 오징어, 꽁치 따위가 잡힌다.
18. 어장주 (漁場主) [어장주]
한자: 漁(고기잡을 어), 場(마당 장), 主(임금/주인 주)
어장의 소유권을 가진 사람.
용례:
부친이 마산서는 손꼽히는 어장주였다. 발동선만도 여섯 척이었고….
19. 어정 (漁艇) [어정]
한자: 漁(고기잡을 어), 艇(배 정)
「1」고기잡이하는 작은 배.
「2」대형 어선에 싣고 다니다가 어장에 내려놓고 고기잡이에 쓰는 작은 배.
용례:
「2」문제는 기상의 악화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탑재 모선식 어정과의 주낙 밀착 때문으로였다.
20. 어촌 (漁村) [어촌]
한자: 漁(고기잡을 어), 村(마을 촌:)
어민(漁民)들이 모여 사는 바닷가 마을.
용례:
- 내가 자란 곳은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바닷가 외딴 어촌이다.
- 어촌에서 태어나서 어촌에서 잔뼈가 굵은 탓으로 그는 바다를 떠나서는 살 수가 없었다.
21. 어촌계 (漁村契) [어촌계]
한자: 漁(고기잡을 어), 村(마을 촌:), 契(맺을 계:)
어업 조합원의 생산력을 높이고 생활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을 추진할 목적으로 수산업 협동조합법에 따라 설립한 단체. 지구별 어업 협동조합의 조합원인 계원으로 구성되고 대표는 계장이다.
용례:
어촌계에 가입하고 김발 붙여 보는 것은 다음 해로 미루는 수밖에 없었다.
22. 어한기 (漁閑期) [어한기]
한자: 漁(고기잡을 어), 閑(한가할 한), 期(기약할 기)
물고기가 잘 잡히지 않는 시기.
용례:
- 어한기에는 그물을 잘 손질해 놓아야 한다.
- 어한기가 되면 어촌은 한산하다.
23. 어항 (漁港) [어항]
한자: 漁(고기잡을 어), 港(항구 항:)
어선이 정박하고, 출어 준비와 어획물의 양륙을 하는 항구. 어획물의 양륙ㆍ판매ㆍ수송에 관한 설비나 어획물을 가공ㆍ저장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기도 한다.
용례:
어항인 통영은 어느 지방보다 풍신제가 성행하는 곳이다.
24. 어화 (漁火) [어화]
한자: 漁(고기잡을 어), 火(불 화(:))
고기잡이하는 배에 켜는 등불이나 횃불.
용례:
어두운 밤에도 멀리 갈치밭에 수십 척 떠 있는 주낙배의 어화 불빛이 아물아물 고왔다.
25. 어황 (漁況) [어황]
한자: 漁(고기잡을 어), 況(상황 황:)
어떤 어장(漁場)에서의 고기잡이의 상황. 물고기의 종류, 크기, 어획량 따위의 변동 상태를 이른다.
용례:
- 어황이 좋다.
- 어황이 나쁘다.
- 사실 1,000마리라고 하지만, 그것도 좋은 어황 때, 적어도 보름을 넘어 작업해야 하는 어획량이다.
26. 어획 (漁獲) [어획]
한자: 漁(고기잡을 어), 獲(얻을 획)
수산물을 잡거나 채취함. 또는 그 수산물.
용례:
- 어획 방법.
- 좋은 어획 실적을 거두다.
- 고래의 멸종을 막기 위해 고래의 어획을 제한하고 있다.
- 노력에 비해 어획이 보잘것없던 것도 어구가 부족한 까닭이었다.
27. 어획고 (漁獲高) [어획꼬]
한자: 漁(고기잡을 어), 獲(얻을 획), 高(높을 고)
수산물을 잡거나 채취한 수량. 또는 그 가격의 총량.
용례:
- 400톤의 어획고를 올리다.
- 그곳의 연간 어획고는 대략 300억 원이다.
28. 어획량 (漁獲量) [어횡냥]
한자: 漁(고기잡을 어), 獲(얻을 획), 量(헤아릴 량)
수산물을 잡거나 채취한 수량.
용례:
한때는 연간 어획량이 70만 톤에 달했다.
29. 어획물 (漁獲物) [어횡물]
한자: 漁(고기잡을 어), 獲(얻을 획), 物(물건 물)
잡거나 채취한 수산물.
용례:
어획물 유통이 원활치 못할 경우의 섬사람들은 자연 생명 유지에 발버둥을 치지 않으면 안 됐으니….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