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왕적 (往跡) [왕:적]
한자: 往(갈 왕:), 跡(발자취 적)
지나간 자취.
32. 위적 (偉跡) [위적]
한자: 偉(클 위), 跡(발자취 적)
뛰어나고 훌륭한 자취.
용례:
위적을 남기다.
33. 위적 (僞跡) [위적]
한자: 僞(거짓 위), 跡(발자취 적)
거짓으로 꾸며 놓은 일의 흔적.
34. 유적 (遺跡) [유적]
한자: 遺(남길 유), 跡(발자취 적)
남아 있는 자취. 건축물이나 싸움터 또는 역사적인 사건이 벌어졌던 곳이나 패총, 고분 따위를 이른다.
용례:
- 선사 시대의 유적.
- 유적 발굴.
- 유적이 발견되다.
- 이순신 장군의 유적을 샅샅이 더듬어 이곳에서의 행적만이라도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는 거지.≪윤후명, 별보다 멀리≫
35. 은적 (隱跡) [은적]
한자: 隱(숨을 은), 跡(발자취 적)
자취나 종적을 감춤.
36. 이적 (異跡) [이:적]
한자: 異(다를 이:), 跡(발자취 적)
「1」기이한 행적.
「2」상식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기이한 일.
용례:
- 「2」이적을 보이다.
- 「2」이적을 행하다.
- 「2」끝까지 신앙심을 잃지 않고 그 대상자를 원망하지 않으면서도 이적이라도 나타내어 주기를 안타까이 기다리는 그 심정.≪심훈, 상록수≫
37. 이적 (履跡) [이:적]
한자: 履(밟을 리:), 跡(발자취 적)
‘발자국’이라는 뜻으로, 사람이 다닌 자취를 이르는 말.
38. 인적 (人跡) [인적]
한자: 人(사람 인), 跡(발자취 적)
사람의 발자취. 또는 사람의 왕래.
용례:
- 인적이 뜸한 새벽.
- 인적이 끊기다.
- 노루와 사슴이 인적에 놀라 달아났다.
- 통금이 임박한 거리에는 인적이 드물었다.
- 인적 없는 밤길에 강도라도 만나면 어쩌려고 이 아이를 혼자 보낸단 말이오?
39. 잔적 (殘跡) [잔적]
한자: 殘(남을 잔), 跡(발자취 적)
남은 흔적.
40. 잠적 (潛跡) [잠적]
한자: 潛(잠길 잠), 跡(발자취 적)
종적을 아주 숨김.
용례:
- 공직자들에게는 잠적이나 도피보다 떳떳하게 나서서 사태를 감당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그 친구를 기억하는 모든 사람에게 경악감과 충격을 안겨 주었었고, 또 그 잠적에 대해 온갖 구구한 추측들을 나돌게도 했던 터였다.≪이동하, 도시의 늪≫
41. 장적 (掌跡) [장:적]
한자: 掌(손바닥 장:), 跡(발자취 적)
손바닥의 자국.
42. 전적 (戰跡) [전:적]
한자: 戰(싸움 전:), 跡(발자취 적)
전쟁을 한 흔적.
43. 절적 (絕跡) [절쩍]
한자: 絕(끊을 절), 跡(발자취 적)
발길을 끊고 왕래하지 아니함.
44. 조적 (鳥跡) [조적]
한자: 鳥(새 조), 跡(발자취 적)
「1」새의 발자국.
「2」한자의 필적을 이르는 말. 중국 황제 때 창힐(倉頡)이란 사람이 새의 발자국을 보고 글자를 만들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45. 족적 (足跡) [족쩍]
한자: 足(발 족), 跡(발자취 적)
「1」발로 밟고 지나갈 때 남는 흔적. 또는 그때 나는 소리.
「2」지나온 과거의 역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족적을 따라가다.
- 「1」족적을 남기다.
- 「2」우리 민족의 족적을 돌아보다.
- 「2」그는 현대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 「2」회사를 나와서 마침내 여기에 이르기까지의 그 모호한 족적, 그것은 확실히 여기에 원인이 있었던 것이다.≪이동하, 도시의 늪≫
46. 종적 (蹤跡) [종적]
한자: 蹤(자취 종), 跡(발자취 적)
「1」없어지거나 떠난 뒤에 남는 자취나 형상.
「2」고인(古人)의 행적.
용례:
- 「1」종적을 감추다.
- 「1」종적이 묘연하다.
- 「1」종적도 없이 사라지다.
- 「1」그 선비의 종적도 시신의 종적도 그 뒤에는 알 수가 없었다.≪김동인, 젊은 그들≫
- 「1」어찌 혼이 났던지 그놈은 그길로 도망을 간 것이 어디로 갔는지 종적을 모릅니다.≪김유정, 아기≫
- 「1」새삼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아이를 찾는 데에 필요한 온갖 지혜를 동원하여 신중하고 세밀하게 녀석의 종적을 뒤쫓아 나서기 시작했다.≪이청준, 벌레 이야기≫
- 「2」선현의 종적을 기리다.
47. 죄적 (罪跡) [죄:적]
한자: 罪(허물 죄:), 跡(발자취 적)
죄를 저지른 증거가 되는 흔적.
48. 증적 (證跡) [증적]
한자: 證(증거 증), 跡(발자취 적)
증거가 될 만한 흔적이나 자취.
용례:
형사가 사건 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모든 증적이 사라진 뒤였다.
49. 진적 (眞跡) [진적]
한자: 眞(참 진), 跡(발자취 적)
「1」손수 쓴 글씨.
「2」실제의 유적.
용례:
「1」추사 김정희의 진적.
50. 추적 (追跡) [추적]
한자: 追(쫓을/따를 추), 跡(발자취 적)
「1」도망하는 사람의 뒤를 밟아서 쫓음.
「2」사물의 자취를 더듬어 감.
용례:
- 「1」추적을 당하다.
- 「1」그들은 우리의 추적을 따돌리고 해외로 도피해 버렸다.
- 「1」범인은 경찰의 추적을 피해 도망갔다.
- 「1」이사를 골백번 다녀도 영자의 끈질긴 추적으로부터 놓여날 순 없으리라.≪박완서, 오만과 몽상≫
- 「2」예금 계좌 추적.
- 「2」전화 발신지 추적.
51. 필적 (筆跡) [필쩍]
한자: 筆(붓 필), 跡(발자취 적)
글씨의 모양이나 솜씨.
용례:
- 필적을 보니 그 사람이 쓴 것이 분명하다.
- 그녀는 그 나이에는 믿어지지 않을 만큼 필적이 뛰어났다.≪한무숙, 만남≫
52. 하적 (瑕跡) [하적]
한자: 瑕(허물 하), 跡(발자취 적)
흠이 난 자리.
53. 항적 (航跡) [항:적]
한자: 航(배 항:), 跡(발자취 적)
「1」항공기가 지나간 흔적을 연결한 선.
「2」선박이 지나간 자취.
용례:
「2」그는 망원경으로 지금까지 배가 항주해 온 항적을 자세히 더듬었다.≪천금성, 허무의 바다≫
54. 행적 (行跡) [행적]
한자: 行(다닐 행(:)), 跡(발자취 적)
「1」행위의 실적(實績)이나 자취.
「2」평생 동안 한 일이나 업적.
「3」나쁜 행실로 남긴 흔적.
용례:
- 「1」행적을 감추다.
- 「1」행적이 묘연하다.
- 「1」경찰은 사건 당시 용의자의 행적을 조사했다.
- 「1」정확히 3년 6개월의 행적이 이제는 더 추적조차 하기 어려운 어둠 속으로 자취를 감춰 버린 것이었다.≪이문열, 사람의 아들≫
- 「2」그는 음악계에 커다란 행적을 남겼다.
- 「2」두 대에 걸쳐 삼국 통일의 위업을 이룬 그 행적은 역사에 길이 남을 것이다.
- 「3」행적을 지우다.
- 「3」그 여자는 아들이 다니는 학교에 촌지를 돌리고 다닌 행적이 있었다.
55. 현적 (顯跡) [현:적]
한자: 顯(나타날 현:), 跡(발자취 적)
드러난 자취. 또는 선행(善行)의 자취.
56. 혈적 (血跡) [혈쩍]
한자: 血(피 혈), 跡(발자취 적)
피로 쓴 글씨.
57. 형적 (形跡) [형적]
한자: 形(모양 형), 跡(발자취 적)
사물의 형상과 자취를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남은 흔적.
용례:
- 형적을 감추다.
- 절에 도적 왔다 간 형적과 고개의 피 흔적은 모두 확실무의하다 하나 혹시 중들이 불상 장인의 재물을 뺏으려고 꾸민 일이 아닌가 의심이 들어서….≪홍명희, 임꺽정≫
58. 활주적 (滑走跡) [활쭈적]
한자: 滑(미끄러울 활), 走(달릴 주), 跡(발자취 적)
차량의 급정거에 의하여 노면에 형성되는 타이어의 미끄러진 흔적. 타이어 흔적의 길이로부터 차량이 제동하기 전의 주행 속도를 알 수 있으며, 교통사고의 원인도 규명할 수 있다.
59. 회적 (晦跡) [회:적]
한자: 晦(그믐 회), 跡(발자취 적)
종적을 감춤.
60. 흔적 (痕跡) [흔적]
한자: 痕(흔적 흔), 跡(발자취 적)
어떤 현상이나 실체가 없어졌거나 지나간 뒤에 남은 자국이나 자취.
용례:
- 흔적을 남기다.
- 흔적이 보이다.
- 흔적을 없애다.
- 흔적을 지우다.
- 흔적도 없이 사라지다.
- 산길에는 사람이 지나간 흔적이 없었다.
- 과수원은 공을 들여서 가꾼 흔적이 뚜렷했다.
- 그녀의 얼굴에는 눈물을 흘린 흔적이 남아 있었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跡 발자취 적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