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재 (家財) [가재]
한자: 家(집 가), 財(재물 재)
한집안의 재물이나 재산. 살림 도구나 돈 따위를 이른다.
용례:
- 가재를 탕진하다.
- 징수에 불응하면 가재를 압수하고 닭 새끼 심지어 갈비뼈가 아른거리는 개까지 끌어가고….≪유현종, 들불≫
2. 가치재 (價値財) [가치재]
한자: 價(값 가), 値(값 치), 財(재물 재)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것으로 간주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 학교 급식, 의무 교육, 저임대 주택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3. 거재 (巨財) [거:재]
한자: 巨(클 거:), 財(재물 재)
썩 많은 재산.
4. 경제재 (經濟財) [경제재]
한자: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財(재물 재)
경제적 가치를 가지며 점유나 매매 같은 경제 행위의 대상이 되는 재화.
5. 고차재 (高次財) [고차재]
한자: 高(높을 고), 次(버금 차), 財(재물 재)
생산의 과정에 쓰는 재화. 넓은 뜻으로는 자본재와 같으나, 좁은 뜻으로는 원재료처럼 한 번 생산할 때 소비되는 것을 이른다.
6. 공공재 (公共財) [공공재]
한자: 公(공평할 공), 共(한가지 공:), 財(재물 재)
공중(公衆)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물건이나 시설. 도로, 항만, 교량, 공원 따위를 이른다.
용례:
에너지는 공공재라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될 때 올여름의 전기 부족도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7. 공재 (空財) [공재]
한자: 空(빌 공), 財(재물 재)
노력이나 밑천을 들이지 않고 거저 얻은 재물.
8. 관계재 (關係財) [관계재]
한자: 關(관계할 관), 係(맬 계:), 財(재물 재)
특허권·미장권(美匠權)·영업권과 같이 물적인 것은 아니지만 널리 양도·매매·담보의 대상이 되어 경제재에 준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재(財).
9. 관재 (管財) [관재]
한자: 管(대롱/주관할 관), 財(재물 재)
재산을 관리함.
10. 교환재 (交換財) [교환재]
한자: 交(사귈 교), 換(바꿀 환:), 財(재물 재)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유통재. 재화와 재화를 교환하는 매개가 되는 것으로, 생산계와 소비계에 들어가지 않는 재산이다.
11. 구재 (鳩財) [구재]
한자: 鳩(비둘기 구), 財(재물 재)
재물을 거두어 모음.
12. 국재 (國財) [국째]
한자: 國(나라 국), 財(재물 재)
나라의 재산.
13. 기재 (器財) [기재]
한자: 器(그릇 기), 財(재물 재)
기물(器物)이나 도구.
14. 내구재 (耐久財) [내:구재]
한자: 耐(견딜 내:), 久(오랠 구:), 財(재물 재)
오래도록 쓸 수 있는 재화.
15. 내용재 (耐用財) [내:용재]
한자: 耐(견딜 내:), 用(쓸 용:), 財(재물 재)
소모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재화. 건물, 기계, 의복 따위가 있다.
16. 단용재 (單用財) [다뇽재]
한자: 單(홑 단), 用(쓸 용:), 財(재물 재)
한 번의 사용으로 소모하는 재화. 생산용 원자재, 식량, 연료 따위가 있다.
17. 대용재 (代用財) [대:용재]
한자: 代(대신할 대:), 用(쓸 용:), 財(재물 재)
서로 대신 쓸 수 있는 관계에 있는 두 가지의 재화. 쌀과 밀가루, 만년필과 연필, 버터와 마가린 따위이다.
18. 대체재 (代替財) [대:체재]
한자: 代(대신할 대:), 替(바꿀 체), 財(재물 재)
서로 대신 쓸 수 있는 관계에 있는 두 가지의 재화. 쌀과 밀가루, 만년필과 연필, 버터와 마가린 따위이다.
19. 독립재 (獨立財) [동닙째]
한자: 獨(홀로 독), 立(설 립), 財(재물 재)
소비 측면에서 서로 관련이 없이 독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화. 예를 들면 차와 소금과 같은 관계에 있는 물건이다.
20. 모재 (母財) [모:재]
한자: 母(어미 모:), 財(재물 재)
원금이나 본전.
21. 모재 (募財) [모재]
한자: 募(모을/뽑을 모), 財(재물 재)
돈을 여러 사람에게서 거두어 모음.
22. 무형문화재 (無形文化財) [무형문화재]
한자: 無(없을 무), 形(모양 형), 文(글월 문), 化(될 화(:)), 財(재물 재)
‘무형유산’(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며 한 공동체에서 끊임없이 재창조된 전통 공연이나 전통 기술, 생활 관습 따위의 국가유산.)의 전 용어.
23. 무형재 (無形財) [무형재]
한자: 無(없을 무), 形(모양 형), 財(재물 재)
구체적인 형태가 없는 재산. 저작권, 특허권, 광업권, 상표권, 어업권 따위이다.
24. 문화재 (文化財) [문화재]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財(재물 재)
「1」문화 활동에 의하여 창조된 가치가 뛰어난 사물.
「2」‘국가유산’(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문화적 소산으로서 보존·계승할 만한 가치가 큰 유산. 문화유산, 무형유산, 자연유산 따위가
있다.)의 전 용어.
용례:
「1」왜병들을 시켜 궁중의 보물, 또는 값진 문화재들을 끌어내어 모조리 제물포로 보내도록 했다.≪유현종, 들불≫
25. 물재 (物財) [물째]
한자: 物(물건 물), 財(재물 재)
물건과 돈을 아울러 이르는 말.
26. 민속문화재 (民俗文化財) [민송문화재]
한자: 民(백성 민), 俗(풍속 속), 文(글월 문), 化(될 화(:)), 財(재물 재)
‘민속 문화유산’의 전 용어.
27. 민재 (民財) [민재]
한자: 民(백성 민), 財(재물 재)
국민의 재산.
용례:
글을 읽어 벼슬하고 벼슬하면 으레 민재를 늑탈하여 민란의 까탈이 되는 것이 유생이 아닌가.≪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28. 보완재 (補完財) [보:완재]
한자: 補(기울 보:), 完(완전할 완), 財(재물 재)
서로 보완 관계에 있는 재화(財貨).
29. 보재 (寶財) [보:재]
한자: 寶(보배 보:), 財(재물 재)
썩 드물고 귀한 가치가 있는 보배로운 물건.
30. 분재 (分財) [분재]
한자: 分(나눌 분(:)), 財(재물 재)
가족이나 친척에게 재산을 나누어 줌.
용례:
- 욕심이 과한 그 형은 분재 이야기만 나오면 눈이 뒤집혀서 펄쩍 뛰었다.≪김유정, 생의 반려≫
- 바깥사돈인 김경호의 재력은 개성 바닥에서도 널리 알려진 거니 생전에라도 자식에게 그 정도의 분재는 할 만했다.≪박완서, 미망≫
31. 비용재 (費用財) [비:용재]
한자: 費(쓸 비:), 用(쓸 용:), 財(재물 재)
생산 활동에 따라 소비되고 비용화하는 것. 설비, 원료, 노동 따위가 이에 속한다.
32. 비재 (費財) [비:재]
한자: 費(쓸 비:), 財(재물 재)
재물이나 돈을 헛되이 써서 없애 버림.
33. 빈재 (貧財) [빈재]
한자: 貧(가난할 빈), 財(재물 재)
얼마 되지 아니하는 재산.
34. 사재 (私財) [사재]
한자: 私(사사(私事) 사), 財(재물 재)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
용례:
- 사재를 털어 불우 이웃을 돕다.
- 하 감역이 이 집을 짓는 데는 물론 자기의 사재를 많이 들였겠지만 인부는 작인의 부역을 대기 때문에 품삯이 많이 들진 않았다.≪이기영, 신개지≫
35. 사재 (社財) [사재]
한자: 社(모일 사), 財(재물 재)
회사의 재산.
36. 산업재 (産業財) [사:넙째]
한자: 産(낳을 산:), 業(업 업), 財(재물 재)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직간접적으로 필요한 재화. 원자재, 부품, 설비, 기구, 소모품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37. 산재 (散財) [산:재]
한자: 散(흩을 산:), 財(재물 재)
재산을 이리저리 써서 없애 버림.
용례:
아버지는 낙선과 산재의 창피를 가리고 거기서 빠져나가려고 한 것이야.≪선우휘, 화재≫
38. 상급재 (上級財) [상:급째]
한자: 上(윗 상:), 級(등급 급), 財(재물 재)
소비자의 소득이 많을수록 그 수요가 많아지는 재화.
39. 생산재 (生産財) [생산재]
한자: 生(날 생), 産(낳을 산:), 財(재물 재)
생산의 과정에 쓰는 재화. 넓은 뜻으로는 자본재와 같으나, 좁은 뜻으로는 원재료처럼 한 번 생산할 때 소비되는 것을 이른다.
40. 생재 (生財) [생재]
한자: 生(날 생), 財(재물 재)
「1」재물을 늘림.
「2」돈을 버는 데에 필요한 물건.
41. 세재 (世財) [세:재]
한자: 世(인간 세:), 財(재물 재)
속세의 재산.
42. 소비재 (消費財) [소비재]
한자: 消(사라질 소), 費(쓸 비:), 財(재물 재)
개인의 욕망을 직접적으로 충족하기 위하여 소비되는 재화. 식료품, 의류, 가구, 주택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용례:
소비재 물품의 생산.
43. 손재 (損財) [손:재]
한자: 損(덜 손:), 財(재물 재)
재물을 잃어버림. 또는 그 재물.
44. 수익재 (收益財) [수익째]
한자: 收(거둘 수), 益(더할 익), 財(재물 재)
수익을 목적으로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재산.
45. 시재 (施財) [시:재]
한자: 施(베풀 시:), 財(재물 재)
시물(施物)로서 재산을 바침.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財 재물 재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