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1. 정지 (整地) [정:지]
한자: 整(가지런할 정:), 地(따 지)
「1」땅을 반반하고 고르게 만듦. 또는 그런 일.
「2」곡식을 심기 전에 땅을 갈아 흙을 부드럽게 하여 곡식의 성장에 알맞도록 경지를 정리하는 일.
용례:
「1」운동장 정지 작업.
282. 정착지 (定着地) [정:착찌]
한자: 定(정할 정:), 着(붙을 착), 地(따 지)
일정한 곳에 자리를 잡아 머물러 사는 땅.
용례:
그녀는 부산 해변가에 천막을 치고 지내기보다는 고아원을 서울로 옮겨 영원한 정착지를 잡으려고 한 것이다.≪홍성원, 육이오≫
283. 조난지 (遭難地) [조난지]
한자: 遭(만날 조), 難(어려울 난(:)), 地(따 지)
항해나 등산 따위를 하는 도중에 재난이 일어난 곳.
용례:
조난지에서 구조를 기다리다.
284. 조차지 (租借地) [조차지]
한자: 租(조세 조), 借(빌/빌릴 차:), 地(따 지)
한 나라가 다른 나라로부터 빌려 통치하는 영토. 영토권은 빌려준 나라에 속하지만, 통치권은 빌린 나라에 속한다.
용례:
일본 놈들 참 약더구먼. 제 놈들 모여 사는 조차지는 나날이 개명 바람에 달라지고 있지만서도, 조선 사람 사는 데는 점차 더 볼품없이 찌그러져 간다니깐.≪문순태, 타오르는 강≫
285. 졸지 (猝地) [졸찌]
한자: 猝(갑자기 졸), 地(따 지)
갑작스러운 판국.
용례:
- 어디서 날아오는지 방향조차 분간 못 할 만큼 일제히 퍼붓는 집중 사격에 아군의 상당수가 졸지에 희생을 당했다.≪김인배, 방울뱀≫
- 정체 모를 사람이 너무나 졸지에 나타나 너무나 터무니없는 말을 하는 바람에 기가 질린 모양이다.≪유주현, 하오의 연가≫
- 이일은 급히 전령을 내려 화살을 쏘게 했으나, 하룻밤 사이에 졸지 군사가 된 농부들의 활 쏘는 솜씨가 오죽하랴.≪박종화, 임진왜란≫
286. 종착지 (終着地) [종착찌]
한자: 終(마칠 종), 着(붙을 착), 地(따 지)
마지막으로 도착하는 곳.
용례:
- 이 열차의 종착지가 어딥니까?
- 종착지가 가까워 옴에 따라 약간의 설렘 같은, 전혀 낯선 마을에 대한 호기심은 더해 갔다.≪최일남, 서울 사람들≫
287. 좌지 (坐地) [좌:지]
한자: 坐(앉을 좌:), 地(따 지)
「1」계급 따위가 높은 위치.
「2」나라를 다스리는 지위.
「3」자리 잡아 사는 땅의 위치.
「4」기관총이나 대포 따위를 설치한 자리.
용례:
「4」퇴각을 엄호하기 위해 나이 어린 소년병을 기관총 좌지에다 철삿줄로 묶어 놓고 떠난 적도 있고….≪이문열, 영웅시대≫
288. 주거지 (住居地) [주:거지]
한자: 住(살 주:), 居(살 거), 地(따 지)
사람이 사는 지역.
용례:
- 주거지가 불분명한 부랑아.
- 그는 주거지가 확실하지 않다.
289. 주둔지 (駐屯地) [주:둔지]
한자: 駐(머무를 주:), 屯(진칠 둔), 地(따 지)
군대가 주둔하고 있는 장소.
용례:
정문 초소에는 미군 보초가 하나 서 있었지만 그 임무는 부대 주둔지 안으로 들어가려는 한국인들을 제지하기 위한 것이지….≪김용성, 도둑 일기≫
290. 주산지 (主産地) [주산지]
한자: 主(임금/주인 주), 産(낳을 산:), 地(따 지)
어떤 물건이 주로 생산되는 지역.
용례:
- 마늘의 주산지.
- 사탕수수는 히말라야 산지에 주산지를 이루고 있다.
291. 주소지 (住所地) [주:소지]
한자: 住(살 주:), 所(바 소:), 地(따 지)
법률상 등록된 행정 구역이 있는 장소.
용례:
- 건물 주소지 전입 신고.
- 1층 현관 앞 알림판에 주소지 변경 신청서가 붙어 있었다.
292. 주택단지 (住宅團地) [주:택딴지]
한자: 住(살 주:), 宅(집 택), 團(둥글 단), 地(따 지)
계획적으로 건설한 큰 규모의 주택 지역. 좋은 거주 환경과 편의를 위하여 상점, 공원, 학교 따위의 공공시설을 적절히 배치한다.
용례:
대규모의 주택 단지를 조성하다.
293. 주택지 (住宅地) [주:택찌]
한자: 住(살 주:), 宅(집 택), 地(따 지)
「1」주택을 짓기에 알맞은 지역.
「2」주택이 많이 들어선 지역.
용례:
- 「1」주택지를 확보하다.
- 「1」이곳은 조용하고 깨끗하여 주택지로 적합하다.
- 「2」새로 들어선 주택지는 집값이 비싸다.
294. 중심지 (中心地) [중심지]
한자: 中(가운데 중), 心(마음 심), 地(따 지)
어떤 일이나 활동의 중심이 되는 곳.
용례:
- 교통의 중심지.
- 샛골은 인근의 십여 호 내지 십 호 미만의 작은 마을들의 중심지가 되었고 그 중심의 정점엔 이 생원이란 향반이 도사리고 있었다.≪박완서, 미망≫
295. 중앙지 (中央地) [중앙지]
한자: 中(가운데 중), 央(가운데 앙), 地(따 지)
어떤 지역의 중앙이 되는 지역.
용례:
양순이가 가수로 데뷔했다 하더라도 아직 중앙지 극장까지는 진출하지 못했을 터인즉….≪최일남, 거룩한 응달≫
296. 즉지 (卽地) [즉찌]
한자: 卽(곧 즉), 地(따 지)
어떤 일이 진행되는 바로 그곳.
용례:
홍, 박 양인을 잡아다가 태 10도씩 치고 법률대로 42냥씩 수속하여 즉지에 하동에 부쳐….≪독립신문≫
297. 직영지 (直營地) [지경지]
한자: 直(곧을 직), 營(경영할 영), 地(따 지)
주인이나 주체가 직접 관리하고 경영하는 땅.
용례:
농노는 영주의 직영지에서 부역을 했다.
298. 진원지 (震源地) [지:눤지]
한자: 震(우레 진:), 源(근원 원), 地(따 지)
「1」지진의 진원(震源) 바로 위에 있는 지점.
「2」최초로 지진파가 발생한 지역. 지진의 원인인 암석 파괴가 시작된 곳으로, 위도와 경도 지표에서부터의 깊이로 표시한다.
「3」사건이나 소동
따위를 일으킨 근원이 되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3」혁명의 진원지.
- 「3」진주는 민란의 진원지였다.
- 「3」소문의 진원지가 어디인지 궁금하다.
- 「3」어느 곳에서 시작되는 소리인지 알 길이 없었다. 소리의 방향을 찾는 것도, 그 진원지를 찾는 일도 불가능할 것 같았다.≪정연희, 소리가 짓는 둥지≫
299. 진지 (陣地) [진지]
한자: 陣(진칠 진), 地(따 지)
언제든지 적과 싸울 수 있도록 설비 또는 장비를 갖추고 부대를 배치하여 둔 곳.
용례:
- 진지를 구축하다.
- 진지를 점령하다.
- 적은 강이 얼어붙으면 거리낌 없이 강을 건너 아군 진지에 기습 공격을 가해 온다.≪홍성원, 육이오≫
- 싸움이 폭풍처럼 한바탕 휩쓸고 간 진지는 주검들만이 남아 있었다.≪문순태, 피아골≫
300. 진황지 (陳荒地) [진황지]
한자: 陳(베풀 진:/묵을 진), 荒(거칠 황), 地(따 지)
버려두어서 거칠어진 땅.
용례:
- 진황지를 일구다.
- 진황지를 개간하여 논과 밭을 만들었다.
301. 집결지 (集結地) [집껼지]
한자: 集(모을 집), 結(맺을 결), 地(따 지)
모이는 곳.
용례:
- 군인들이 집결지에 모였다.
- 중대장은 이 포로들을 족치면 무기 은닉처나 잔류 베트콩의 집결지를 알아내어 전과를 무더기로 올릴 수 있으리라고 생각했다.≪안정효, 하얀 전쟁≫
302. 집산지 (集散地) [집싼지]
한자: 集(모을 집), 散(흩을 산:), 地(따 지)
「1」생산물이 여러 곳에서 모여들었다가 다시 다른 곳으로 흩어져 나가는 곳.
「2」사람이 모여들기도 하고 흩어져 나가기도 하는 곳.
용례:
- 「1」쌀의 집산지.
- 「1」농산물 집산지.
- 「2」서울은 인구의 집산지이다.
303. 집합지 (集合地) [지팝찌]
한자: 集(모을 집), 合(합할 합), 地(따 지)
집합하는 곳.
용례:
- 농산물의 집합지.
- 예정된 집합지에 모이다.
304. 차고지 (車庫地) [차고지]
한자: 車(수레 차), 庫(곳집 고), 地(따 지)
자동차, 기차, 전차 따위의 차량을 세워 두거나 보관해 두는 장소.
용례:
- 어제 버스에서 졸다가 차고지까지 다녀왔다.
- 최근 화물 차량들이 지정된 차고지가 아닌 도로에 주차되어 있어 주민들에게 큰 불편을 주고 있다.
305. 착륙지 (着陸地) [창뉵찌]
한자: 着(붙을 착), 陸(뭍 륙), 地(따 지)
비행기 따위가 내리는 곳.
306. 착지 (着地) [착찌]
한자: 着(붙을 착), 地(따 지)
「1」공중에서 땅으로 내림. 또는 그런 곳.
「2」어떤 곳에 이르러 닿는 곳.
「3」기계 체조 따위에서, 연기를 마치고 땅바닥에 내려섬. 또는 그런 동작.
용례:
- 「1」낙하산 부대 장병들은 알맞은 착지 장소를 찾고 있다.
- 「1」발끝에 아무것도 걸리지 않았다. 위험하다. 종대는 착지를 찾으며 순간 생각했다.≪최인호, 지구인≫
- 「3」착지가 좋다.
- 「3」착지가 불안하다.
- 「3」그 선수는 착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307. 채초지 (採草地) [채:초지]
한자: 採(캘 채:), 草(풀 초), 地(따 지)
집짐승의 먹이나 깃, 거름 따위로 쓸 풀을 베어 내는 땅.
용례:
형은 방과 후에 채초지에 가서 소가 먹을 풀을 베어 왔다.
308. 처녀지 (處女地) [처:녀지]
한자: 處(곳 처:), 女(계집 녀), 地(따 지)
「1」사람이 살거나 개간한 일이 없는 땅.
「2」학문, 과학, 기술 따위에서 연구·개발되지 않았거나 밝혀지지 않은 채로 남아 있는 분야.
용례:
- 「1」그는 눈앞에 광활하게 펼쳐져 있는 처녀지 그대로의 풀밭을 바라보고 있었다.
- 「2」선생께서 이번 발표하신 논문은 학계의 처녀지에 처음 손을 대신 것이라지요?≪유진오, 화상보≫
309. 처지 (處地) [처:지]
한자: 處(곳 처:), 地(따 지)
처하여 있는 사정이나 형편.
용례:
- 처지가 딱하다.
- 어려운 처지에 놓이다.
- 나로서는 그럴 처지가 못 된다.
- 그와 나는 처지가 같아 쉽게 친해졌다.
- 오빠의 속을 알기로서니 오빠의 처지나 제 처지로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사정이 아니에요.≪심훈, 영원의 미소≫
- 식구를 데려올 처지는 아직 아니었으므로 서신 한 장을 들려 평사리에 사람을 보냈던 것이다.≪박경리, 토지≫
310. 척지 (尺地) [척찌]
한자: 尺(자 척), 地(따 지)
「1」얼마 안 되는 좁은 땅.
「2」아주 가까운 곳.
용례:
「2」그는 처자식을 척지에 두고도 보지 못하고 떠났다.
311. 천지 (天地) [천지]
한자: 天(하늘 천), 地(따 지)
「1」하늘과 땅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세상’, ‘우주’, ‘세계’의 뜻으로 이르는 말.
「3」대단히 많음.
용례:
- 「1」눈이 온 천지를 뒤덮었다.
- 「1」안개 때문에 천지를 제대로 분간하기가 어렵다.
- 「2」이렇게 고마운 일이 천지에 어디 또 있겠는가.
- 「3」그의 방은 쓰레기 천지이다.
- 「3」모두 대도시로 떠나 마을은 온통 빈집 천지이다.
312. 초지 (初地) [초지]
한자: 初(처음 초), 地(따 지)
「1」산의 비탈이 끝나는 아랫부분.
「2」십지(十地)의 첫 단계. 보살이 일대(一大) 아승지겁(阿僧祗劫)의 수행을 하여 미혹을 끊고 이치의 한 부분을 증득(證得)한 경지로, 이 경지에 이른 사람은
이대(二大) 아승지겁을 지난 뒤에 성불한다.
313. 초지 (草地) [초지]
한자: 草(풀 초), 地(따 지)
풀이 나 있는 땅. 가축을 방목하거나 목초를 재배하는 데 이용한다.
용례:
- 초지를 조성하다.
- 산을 초지로 일구다.
314. 촌지 (寸地) [촌:지]
한자: 寸(마디 촌:), 地(따 지)
얼마 되지 않는 좁은 논밭.
용례:
그대는 귀국 왕을 대신하여 우리 강토를 촌지라도 빼앗지 않겠다고 약속할 수 있소?≪유현종, 들불≫
315. 촬영지 (撮影地) [촤령지]
한자: 撮(모을/사진찍을 촬), 影(그림자 영:), 地(따 지)
영화나 사진 따위를 찍는 장소.
용례:
- 촬영지를 물색하다.
- 이 바닷가는 영화 촬영지로 유명하다.
- 그 잡지에 실린 사진 속 촬영지는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이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6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7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9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