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7

241. 위지 (危地) [위지]

한자: 危(위태할 위), 地(따 지)

「1」위험한 곳.
「2」위험한 지위.

용례:

  • 「1」위지에 놓이다.
  • 「1」그는 전투 중 홀로 위지에 들어가서 큰 공을 세웠다.

242. 유배지 (流配地) [유배지]

한자: 流(흐를 류), 配(나눌/짝 배:), 地(따 지)

귀양살이하는 곳.

용례:

  • 20년이라는 장구한 세월을 유배지에서 보냈다.
  • 신문도 없고 전기도 안 들어오는 이곳은 유배지나 다름없는 곳이다.

243. 유원지 (遊園地) [유원지]

한자: 遊(놀 유), 園(동산 원), 地(따 지)

돌아다니며 구경하거나 놀기 위하여 여러 가지 설비를 갖춘 곳.

용례:

  • 휴일에 가족들과 유원지에 가서 재미있게 놀았다.
  • 시민들이 유원지의 놀이 시설을 이용해 여가를 즐기고 있다.

244. 유적지 (遺跡地) [유적찌]

한자: 遺(남길 유), 跡(발자취 적), 地(따 지)

유적이 있는 곳.

용례:

  • 유적지 견학.
  • 유적지 관리.
  • 유적지 답사.
  • 백제의 유적지는 거의가 나라의 패망사와 관련이 있는 것들뿐이었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245. 유통단지 (流通團地) [유통단지]

한자: 流(흐를 류), 通(통할 통), 團(둥글 단), 地(따 지)

상품의 유통을 원활하고 체계적으로 하기 위하여 관련 시설들을 집단적으로 만들어 놓은 곳.

용례:

농산물 유통 단지.

246. 유형지 (流刑地) [유형지]

한자: 流(흐를 류), 刑(형벌 형), 地(따 지)

죄인이 유형살이를 하는 곳.

용례:

그는 황량한 유형지에서 쓸쓸히 죽음을 맞았다.

247. 유휴지 (遊休地) [유휴지]

한자: 遊(놀 유), 休(쉴 휴), 地(따 지)

쓰지 아니하고 묵히는 땅.

용례:

  • 유휴지를 개발하다.
  • 옛날 버릇대로 유휴지의 이곳저곳에 제각기 일구어 놓은 채소밭이 있었다.≪황석영, 돼지꿈≫

248. 유흥지 (遊興地) [유흥지]

한자: 遊(놀 유), 興(일[盛] 흥(:)), 地(따 지)

흥겹게 놀 수 있는 시설이 있는 곳.

용례:

주말이 되면 서울 근교의 유흥지는 사람들로 붐빈다.

249. 육성지 (育成地) [육썽지]

한자: 育(기를 육), 成(이룰 성), 地(따 지)

길러 내는 땅. 또는 그런 곳.

용례:

제주도는 귤의 적당한 육성지이다.

250. 육지 (陸地) [육찌]

한자: 陸(뭍 륙), 地(따 지)

「1」강이나 바다와 같이 물이 있는 곳을 제외한 지구의 겉면.
「2」섬에 상대하여, 대륙과 연결되어 있는 땅을 이르는 말.

용례:

  • 「1」바다와 육지.
  • 「2」명량 해협은 진도와 해남, 이 두 육지 사이에 있는 매우 좁은 해협이다.
  • 「2」육지 사람들은 아무도 당신들이 이 섬을 다시 나오기를 원하지 않고 있습니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251. 음지 (陰地) [음지]

한자: 陰(그늘 음), 地(따 지)

「1」볕이 잘 들지 아니하는 그늘진 곳.
「2」혜택을 입지 못하는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저만치 양지쪽엔 온갖 꽃들이 생생하게 피어 있고 우물이 있던 음지만이 아직은 부추도 안 돋아나고 텅 비어 있었다.≪박완서, 미망≫
  • 「1」경련처럼 이는 그리움, 바람 부는 음지에서 환국이는 오들오들 떨듯 아버지를 그리워했다.≪박경리, 토지≫
  • 「2」사람 팔자가 음지만 있으란 법은 없는 것이다.
  • 「2」그는 지난 10여 년간 드러나지 않게 수많은 사건을 해결하면서 음지에서 불철주야 노력해 온 성실한 형사이다.

252. 이주지 (移住地) [이주지]

한자: 移(옮길 이), 住(살 주:), 地(따 지)

다른 곳으로 옮겨 가서 사는 곳.

253. 일등지 (一等地) [일뜽지]

한자: 一(한 일), 等(무리 등:), 地(따 지)

「1」가장 살기 좋은 땅.
「2」값이 가장 비싼 땅.

용례:

「1」세 자리는 모두 향도 좋고 전망도 좋고 소나무도 큰 것들이 서너 그루씩 서서 주택지로는 일등지였다.≪이태준, 화관≫

254. 임지 (任地) [임:지]

한자: 任(맡길 임(:)), 地(따 지)

임무를 받아 근무하는 곳.

용례:

  • 임지에 부임을 하다.
  • 그는 군인이어서 여러 임지를 돌아다녔다.
  • 남편은 오늘 저녁 중동의 임지로 떠나는 직원의 송별연이 있다고 말했다.≪오정희, 어둠의 집≫

255. 임지 (林地) [임지]

한자: 林(수풀 림), 地(따 지)

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는 땅. 또는 임업(林業)의 대상이 되는 땅.

용례:

새로 조성된 임지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256. 임지 (臨地) [임지]

한자: 臨(임할 림), 地(따 지)

그곳에 실제로 감.

용례:

  • 임지 강연.
  • 임지 조사.

257. 입지 (立地) [입찌]

한자: 立(설 립), 地(따 지)

「1」식물이 생육하는 일정한 장소의 환경.
「2」인간이 경제 활동을 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장소.

용례:

  • 「2」유리한 입지 조건.
  • 「2」열악한 입지 조건.
  • 「2」입지를 강화하다.

258. 자생지 (自生地) [자생지]

한자: 自(스스로 자), 生(날 생), 地(따 지)

식물이 저절로 나서 자라는 땅.

용례:

무분별한 개발로 여러 식물의 자생지가 훼손되고 있다.

259. 작전지 (作戰地) [작쩐지]

한자: 作(지을 작), 戰(싸움 전:), 地(따 지)

작전 및 이에 부수되는 행정에 필요한 전쟁 지역의 한 부분.

용례:

그는 지금 자기 작전지인 C 고지 상황만을 곰곰이 생각하는 중이었다.≪홍성원, 육이오≫

260. 잡종지 (雜種地) [잡쫑지]

한자: 雜(섞일 잡), 種(씨 종(:)), 地(따 지)

여러 가지 종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토지.

용례:

농지를 잡종지로 변경하다.

261. 장지 (葬地) [장:지]

한자: 葬(장사지낼 장:), 地(따 지)

장사하여 시체를 묻는 땅.

용례:

  • 장지로 향하다.
  • 장지는 어디로 정했는가?
  • 장지까지 따라갔던 사람들을 위해 마당에 쳐 놓은 차일 밑에는 음식이 준비돼 있었다.≪박경리, 토지≫
  • 변 씨 댁은 오만 원 중에서 절반을 떼어 장례비 조로 박 영감에게 맡겨 장지라도 구입하도록 일렀다.≪황석영, 한 씨 연대기≫

262. 재배지 (栽培地) [재:배지]

한자: 栽(심을 재:), 培(북돋울 배:), 地(따 지)

농작물을 심어 가꾸는 땅.

용례:

이 지역은 인삼 재배지로 유명하다.

263. 재해지 (災害地) [재해지]

한자: 災(재앙 재), 害(해할 해:), 地(따 지)

재해를 입은 곳.

용례:

국무총리가 이번에 홍수가 난 재해지를 방문하고 복구 대책을 지시하였다.

264. 저지 (低地) [저:지]

한자: 低(낮을 저:), 地(따 지)

지대가 낮은 땅.

용례:

  • 홍수 피해가 우려되는 저지의 주민을 대피시켰다.
  • 땅이 차츰 낮아지다가 조개껍데기처럼 둥글게 팬 저지가 나타났는데, 헤치고 내려갈 수 없을 정도로 관목 덩굴들이 뒤엉켜 있었다.≪황석영, 탑≫

265. 적지 (赤地) [적찌]

한자: 赤(붉을 적), 地(따 지)

「1」흉년이 들어 거둘 만한 농작물이 하나도 없게 된 땅.
「2」빛깔이 붉은 흙.

용례:

「1」가뭄이 들어 온 들판이 적지로 변해 버렸다.

266. 적지 (敵地) [적찌]

한자: 敵(대적할 적), 地(따 지)

적이 점령하거나 차지하고 있는 땅.

용례:

  • 적지에 침투하다.
  • 군대를 적지에 파견하다.
  • 몇몇 난민들은 배 안에서 죽을 바에야 차라리 적지라도 좋으니 고향에서 죽겠노라고 회항을 강요해 왔다.≪홍성원, 육이오≫

267. 적지 (適地) [적찌]

한자: 適(맞을 적), 地(따 지)

무엇을 하기에 조건이 알맞은 땅.

용례:

  • 공장 부지에 알맞은 적지를 고르다.
  • 이곳은 황토 땅이라 고구마 심기에 적지이다.
  • 지금은 거기밖에 마음 놓고 발붙일 데가 없었고, 시국을 관망하기에도 적지였다.≪박완서, 미망≫

268. 적지 (積地) [적찌]

한자: 積(쌓을 적), 地(따 지)

배에 짐을 싣는 곳.

용례:

부두 적지에다 화물을 부려 놓았으니 적당한 날을 잡아 배에 싣기만 하면 됩니다.

269. 전적지 (戰跡地) [전:적찌]

한자: 戰(싸움 전:), 跡(발자취 적), 地(따 지)

전쟁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

용례:

  • 전적지 답사.
  • 임진왜란 때의 전적지가 있는 한려 수도.

270. 전지 (田地) [전지]

한자: 田(밭 전), 地(따 지)

논과 밭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그들은 꾸준한 노력으로 중국인의 전지 위에 있는 산기슭의 불모지를 괭이와 호미질을 하여 손으로 심고 손으로 거두며….≪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271. 전지 (戰地) [전:지]

한자: 戰(싸움 전:), 地(따 지)

싸움을 치르는 장소.

용례:

끊임없이 전지로 옮겨 다녀야 하는 군인들은 개인 소유의 일용품을 몸에 많이 지닐 수가 없다.≪홍성원, 육이오≫

272. 전지 (轉地) [전:지]

한자: 轉(구를 전:), 地(따 지)

어떤 일로 얼마 동안 다른 곳으로 옮겨 감.

용례:

병만 고치기로 힘을 씁시다. 산수 좋은 데로 전지라도 하시고. 네, 선생님.≪현진건, 적도≫

273. 전진기지 (前進基地) [전진기지]

한자: 前(앞 전), 進(나아갈 진:), 基(터 기), 地(따 지)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작전 지역 안이나 그 가까이에 설치한 근거지.

용례:

평양만은 지켜야 한다! 평양을 잃으면 한국 전토를 잃는다. 평양은 전진 기지인 동시에 최후의 보루다.≪유주현, 대한 제국≫

274. 전초기지 (前哨基地) [전초기지]

한자: 前(앞 전), 哨(망볼 초), 基(터 기), 地(따 지)

「1」전방 초소에 해당하는 전투 기지.
「2」침략군이 남의 나라를 공격하기에 유리한 최전방 지역에 설치한 군사 기지.

용례:

  • 「1」지리산을 본부로 삼아 부챗살처럼 무등산·조계산·백운산을 중간 거점으로 잡고, 전초 기지는 그 산줄기들을 따라 산재해 있는 작은 산들을 이용하되 상황의 변동에 따라 거점을 이동하도록 계획서를 작성했다.≪조정래, 태백산맥≫
  • 「2」왜국은 강화 조약 이후 이곳을 중서남부의 침략 전초 기지로 삼아 왜인 장사꾼들을 부지런히 심어 왔다.≪유현종, 들불≫

275. 전초진지 (前哨陣地) [전초기지]

한자: 前(앞 전), 哨(망볼 초), 陣(진칠 진), 地(따 지)

적과 마주친 맨 앞에 설치하여 보초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진지.

용례:

  • 전초 진지를 사수하다.
  • 전초 진지를 지키다.

276. 절승지 (絕勝地) [절씅지]

한자: 絕(끊을 절), 勝(이길 승), 地(따 지)

경치가 비할 데 없이 빼어나게 좋은 곳.

용례:

이 강을 따라가노라면 삼면이 병풍바위로 둘러싸인 절승지가 있다.

277. 절지 (絕地) [절찌]

한자: 絕(끊을 절), 地(따 지)

「1」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외진 땅.
「2」땅이 끊어져 낭떠러지가 된 곳.

용례:

「2」바위나 돌은 누군가가 움직여 주지 않으면 언제나 그 자리에 그대로 있는 법이다. 그러나 일단 바위나 돌이 절지에 놓이면, 아니 위지에 놓이면 급히 움직인다.≪유현종, 들불≫

278. 점령지 (占領地) [점녕지]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領(거느릴 령), 地(따 지)

점령한 지역.

용례:

  • 점령지에서 군대를 철수하다.
  • 1860년 9월, 함정 70척과 3천5백 명의 병력을 추가로 상륙시킨 프랑스는 계속 점령지를 넓혀 나갔다.≪이상문, 황색인≫

279. 정박지 (碇泊地) [정박찌]

한자: 碇(닻 정), 泊(머무를/배댈 박), 地(따 지)

배가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해안 지역.

용례:

  • 함정은 새벽에 정박지를 출발하였다.
  • 태풍 경보가 발효되자 어선들이 정박지로 대피했다.

280. 정지 (情地) [정지]

한자: 情(뜻 정), 地(따 지)

「1」딱한 사정에 있는 처지.
「2」정다운 처지.
「3」몸 둘 곳이나 마음 붙일 곳.

용례:

  • 「1」그의 정지가 불쌍하여 돈까지 주어 보냈다.
  • 「1」더구나 그 정지를 들어 보니 어떻게 가엾고 딱하였던지!≪현진건, 무영탑≫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6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8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9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