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공식품 (加工食品) [가공식품]
한자: 加(더할 가), 工(장인 공), 食(밥/먹을 식), 品(물건 품:)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따위를 인공적으로 처리하여 만든 식품. 보존과 조리가 간편하다.
용례:
- 햄이나 치즈 등과 같은 가공식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 바쁜 현대 생활에서는 조리하기 편한 가공식품을 먹는 사람이 늘고 있다.
2. 가공품 (加工品) [가공품]
한자: 加(더할 가), 工(장인 공), 品(물건 품:)
원자재나 반제품을 인공적으로 처리하여 만들어 낸 물품.
용례:
석유 정제 과정에서 생산되는 원유의 가공품으로는 휘발유, 등유, 경유 따위가 있다.
3. 가전제품 (家電製品) [가전제:품]
한자: 家(집 가), 電(번개 전:), 製(지을 제:), 品(물건 품:)
가정에서 사용하는 세탁기, 냉장고, 텔레비전 따위의 전기 기기 제품.
용례:
가전제품 대리점.
4. 가정용품 (家庭用品) [가정뇽:품]
한자: 家(집 가), 庭(뜰 정), 用(쓸 용:), 品(물건 품:)
가정에서 쓰는 여러 가지 물품.
용례:
- 가정용품 박람회에서 새로 나온 믹서기를 구경했다.
- 혼자 오래 살다 보니 간단한 가정용품 정도는 스스로 수리할 수 있게 되었다.
5. 가품 (佳品) [가:품]
한자: 佳(아름다울 가:), 品(물건 품:)
질이 좋은 물품.
용례:
통영의 목반에 황칠을 한 것이 가품이라고 한다.
6. 가품 (家品) [가품]
한자: 家(집 가), 品(물건 품:)
「1」한집안에 대대로 이어 오는 풍습이나 범절.
「2」한집안 사람이 공통으로 갖는 품성.
용례:
- 「1」더구나 규수를 고르는 데는 가품이 있는 양반집 혼인을 해야 할 필요가 있으니까.≪이기영, 신개지≫
- 「2」예절 바른 가품.
- 「2」가품 좋고 인정 있는 사람인지, 집 안에서 찬 기운 나고 사람에게서 독기가 똑똑 떨어지는 집이나 아닌지.≪이인직, 혈의 누≫
7. 강화식품 (強化食品) [강화식품]
한자: 強(강할 강(:)), 化(될 화(:)), 食(밥/먹을 식), 品(물건 품:)
영양가를 높일 목적으로 비타민, 무기질 같은 영양소를 첨가한 식품.
8. 개량품 (改良品) [개:량품]
한자: 改(고칠 개(:)), 良(어질 량), 品(물건 품:)
성능이나 품질 따위를 좋게 고쳐 만든 물품.
용례:
그 약은 원래 동물에게 먹이던 것을 사람 몸에 응용하여 개량품으로 출시한 것이다.
9. 개발품 (開發品) [개발품]
한자: 開(열 개), 發(필 발), 品(물건 품:)
새롭게 생각해 내거나 만들어 낸 물품.
용례:
- 기존 제품을 이번 개발품으로 교체하겠다.
- 수십 년의 연구 끝에 혁명적인 개발품이 나왔다.
10. 건강식품 (健康食品) [건:강식품]
한자: 健(굳셀 건:), 康(편안 강), 食(밥/먹을 식), 品(물건 품:)
건강의 유지와 증진을 위하여 먹는 식품. 자연식품, 의약품과 유사한 효과를 내는 식품, 전통적으로 몸에 좋다고 하는 식품 따위가 있다.
용례:
- 예부터 양파, 마늘, 현미 등은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왔다.
- 건강식품 위주로 먹고 매일 운동을 했더니 확실히 몸이 좋아졌다.
11. 건식품 (乾食品) [건식품]
한자: 乾(하늘/마를 건), 食(밥/먹을 식), 品(물건 품:)
말린 식료품.
용례:
건식품은 보관이 쉽고 백화점에서 교환도 잘 해 준다.
12. 건재품 (建材品) [건:재품]
한자: 建(세울 건:), 材(재목 재), 品(물건 품:)
건축 재료로 쓰는 물품.
용례:
이 아파트는 최고급 건재품만으로 시공하였습니다.
13. 건조식품 (乾燥食品) [건조식품]
한자: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食(밥/먹을 식), 品(물건 품:)
효과적인 저장과 수송을 위하여 바짝 말린 식품.
14. 건조품 (乾燥品) [건조품]
한자: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品(물건 품:)
식품이나 물건 따위를 오래 갈무리하기 위하여 말린 것.
용례:
건어물 시장에는 마른오징어나 명태와 같은 건조품들이 즐비하게 널려 있었다.
15. 견본품 (見本品) [견:본품]
한자: 見(볼 견:), 本(근본 본), 品(물건 품:)
본보기로 쓰는 상품.
용례:
사진만으로는 알 수 없으니 견본품을 보여 주시오.
16. 결정품 (結晶品) [결쩡품]
한자: 結(맺을 결), 晶(맑을 정), 品(물건 품:)
애써 이룬 성과. 또는 그런 물품.
용례:
심혈을 쏟아부은 노력의 결정품.
17. 경품 (景品) [경:품]
한자: 景(볕 경(:)), 品(물건 품:)
「1」특정한 기간 동안 많은 상품을 팔고 손님의 호감을 얻기 위해, 일정한 액수 이상의 상품을 사는 손님에게 곁들여 주는 물품.
「2」어떤 모임에서 제비를 뽑아 선물로 주는 물품.
용례:
- 「1」경품 증정.
- 「1」경품을 걸다.
- 「1」수건을 경품으로 나누어 주다.
- 「1」이번 행사 기간 동안 5만 원 이상 구입하시는 고객에게는 주방 세제를 경품으로 드립니다.
- 「2」경품 추첨.
- 「2」당첨자에게 승용차를 경품으로 준다.
18. 계절상품 (季節商品) [계:절상품]
한자: 季(계절 계:), 節(마디 절), 商(장사 상), 品(물건 품:)
일 년 중 특정한 계절에만 팔리는 물품.
19. 고가품 (高價品) [고까품]
한자: 高(높을 고), 價(값 가), 品(물건 품:)
값이 비싼 물품.
용례:
이 도자기 제품들은 몇천 원짜리부터 수십만 원의 고가품에 이르기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20. 고급품 (高級品) [고급품]
한자: 高(높을 고), 級(등급 급), 品(물건 품:)
품질이 좋거나 값이 비싼 물품.
용례:
- 같은 값이지만 이 옷이 훨씬 고급품이다.
- 누가 가짜랬소. 이탈리아제는 맞는데 대중적인 거지. 다시는 못 만져 볼 고급품은 아니더라고요.≪박완서, 저문 날의 삽화≫
21. 고미술품 (古美術品) [고:미술품]
한자: 古(예 고:), 美(아름다울 미(:)), 術(재주 술), 品(물건 품:)
고대의 미술품. 서화, 조각, 금속 제품, 도자기 따위의 작품을 통틀어 이른다.
용례:
전시된 고미술품이나 골동품들을 감상하다 보면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옛날로 거슬러 올라간 듯한 느낌을 받는다.
22. 고안품 (考案品) [고안품]
한자: 考(생각할 고(:)), 案(책상 안:), 品(물건 품:)
연구하여 만들어 낸 새로운 물품.
용례:
이것은 그의 고안품 가운데에서도 가장 걸작이다.
23. 골동품 (骨董品) [골똥품]
한자: 骨(뼈 골), 董(바를[正] 동:), 品(물건 품:)
「1」오래되었거나 희귀한 옛 물품.
「2」시대감각을 잃은 무딘 사람이나 그런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골동품 가게.
- 「1」골동품을 감정하다.
- 「1」골동품을 수집하다.
- 「2」골동품 대접을 받다.
- 「2」자기의 학식이나 취미를 과시하는 수단·방법으로 삼으려는, 그 생각하는 방식이 오히려 골동품이라 할 것이다.≪이희승, 소경의 잠꼬대≫
24. 공납품 (貢納品) [공:납품]
한자: 貢(바칠 공:), 納(들일 납), 品(물건 품:)
예전에, 나라나 종주국에 바치던 물품.
용례:
무거워진 노비공에 깔려 빈사 상태에 이른 사천들의 공납품을 반절로 줄여….≪최명희, 혼불≫
25. 공산품 (工産品) [공산품]
한자: 工(장인 공), 産(낳을 산:), 品(물건 품:)
원료를 인력이나 기계력으로 가공하여 만들어 내는 물품.
용례:
원유가의 상승으로 공산품 가격도 급상승하였다.
26. 공업약품 (工業藥品) [공업냑품]
한자: 工(장인 공), 業(업 업), 藥(약 약), 品(물건 품:)
공업용으로 쓰는 약품. 황산, 염산, 수산화 나트륨 따위가 있다.
27. 공업품 (工業品) [공업품]
한자: 工(장인 공), 業(업 업), 品(물건 품:)
공업 부문에서 생산한 물품.
용례:
유일의 생활 수단인 농산물을 싸게 팔아 일본의 공업품을 비싸게 사서 살았다.≪안회남, 농민의 비애≫
28. 공예품 (工藝品) [공예품]
한자: 工(장인 공), 藝(재주 예:), 品(물건 품:)
실용적이면서 예술적 가치가 있게 만든 물품.
용례:
젓국 또는 나물, 오리, 닭, 야채, 깨나 콩, 옥수수 등속의 잡곡들이며 대나무와 왕골의 공예품 따위였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29. 공작품 (工作品) [공작품]
한자: 工(장인 공), 作(지을 작), 品(물건 품:)
재료를 기계적으로 가공하고 조립하여 만든 물건.
용례:
네 개의 다리가 붙은 개, 공같이 똥그랗고 꼭지 같은 코가 달린 돼지, 바퀴가 없는 자동차, 가지각색의 공작품을 거두어 두고 병호는 복도로 나갔다.≪한무숙, 어둠에 갇힌 불꽃들≫
30. 과세물품 (課稅物品) [과세물품]
한자: 課(공부할/과정 과(:)), 稅(세금 세:), 物(물건 물), 品(물건 품:)
세금을 부과하는 물품.
31. 과품 (果品) [과:품]
한자: 果(실과 과:), 品(물건 품:)
여러 가지 과실.
용례:
늙은 상궁이 무수리, 각심, 교군꾼 여러 사람을 거느리고 미곡, 과품, 포목, 여러 바리 복물을 영거하고 단골 무녀에게 내려와 앉아서 모든 준비를 정성껏 차리었다.≪홍명희, 임꺽정≫
32. 관제품 (官製品) [관제품]
한자: 官(벼슬 관), 製(지을 제:), 品(물건 품:)
국공립 기업체에서 생산한 물품.
용례:
우리나라의 담배, 인삼 따위는 관제품이다.
33. 구급약품 (救急藥品) [구:금냑품]
한자: 救(구원할 구:), 急(급할 급), 藥(약 약), 品(물건 품:)
응급 치료에 필요한 의약품.
용례:
- 구급약품 상자.
- 구급약품이 떨어지다.
- 소화제는 곤란하겠지만 외상을 치료하는 구급약품이나 항생제는 현재 여기서는 전망이 좋은 상품이오.≪황석영, 무기의 그늘≫
34. 구매품 (購買品) [구매품]
한자: 購(살 구), 買(살 매:), 品(물건 품:)
사들이는 물건 따위.
용례:
출정자 출방, 열 시 순찰, 담당 교대, 구매품 분배….≪이호철, 문≫
35. 구제품 (救濟品) [구:제품]
한자: 救(구원할 구:), 濟(건널 제:), 品(물건 품:)
불행이나 재해 따위로 어려운 처지에 빠진 사람을 돕기 위하여 보내는 물품.
용례:
- 국제 구호 기관에서 보내온 구제품.
- 수재민에게 구제품을 전달하다.
36. 구품 (九品) [구품]
한자: 九(아홉 구), 品(물건 품:)
「1」극락에 다시 태어날 때의 아홉 등급.
「2」조선 시대에, 삼정승에 다음가는 아홉 고관직. 의정부의 좌우참찬(左右參贊), 육조 판서(六曹判書),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이른다.
「3」고려·조선 시대에 둔, 아홉 가지 문무관 품계. 또는 문무관 품계의 아홉째. 정구품과 종구품이 있었다.
용례:
「3」또 관인은 붉은 관복에 품위별로 각각 다른 색대를 띠게 하였는데, 칠품은 조(皁), 구품은 적(赤), 십품은 청(靑), 십일·십이품은 황(黃), 십삼·십사·십오·십육품은 모두 백색 띠를 띠었다.≪최명희, 혼불≫
37. 구호품 (救護品) [구:호품]
한자: 救(구원할 구:), 護(도울 호:), 品(물건 품:)
재해나 재난 따위로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도와주기 위하여 보내는 물건.
용례:
- 구호품 상자.
- 구호품을 보내다.
- 이재민 구호품이 공수되다.
- 이 약장에는 의사 아니고도 쓸 수 있는 약품, 응급 구호품이 들어 있었다.≪이광수, 흙≫
38. 국산품 (國産品) [국싼품]
한자: 國(나라 국), 産(낳을 산:), 品(물건 품:)
자기 나라에서 생산한 물품.
용례:
국산품 애용.
39. 군수품 (軍需品) [군수품]
한자: 軍(군사 군), 需(쓰일/쓸 수), 品(물건 품:)
군대 유지와 전쟁 수행에 필요한 물품.
용례:
- 군수품을 조달하다.
- 일제는 1930년대에 병참 기지 정책을 내세워 한반도를 군수품 보급 기지로 삼았었다.
40. 군용품 (軍用品) [구뇽품]
한자: 軍(군사 군), 用(쓸 용:), 品(물건 품:)
군사상으로 또는 군대에서 쓰는 물품.
용례:
아무런 허가 없이 군용품을 부대 밖으로 가져가면 처벌을 받게 된다.
41. 귀중품 (貴重品) [귀:중품]
한자: 貴(귀할 귀:), 重(무거울 중:), 品(물건 품:)
귀중한 물건.
용례:
- 카운터에 귀중품을 맡기다.
- 어머니는 값나가는 귀중품들은 항상 장롱 깊숙한 곳에 감춰 두곤 하셨다.
42. 규격품 (規格品) [규격품]
한자: 規(법 규), 格(격식 격), 品(물건 품:)
품질, 모양, 크기, 성능 따위를 통일된 규격에 맞추어 만든 물품.
43. 극상품 (極上品) [극쌍품]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上(윗 상:), 品(물건 품:)
가장 좋은 품질. 또는 그런 물건.
용례:
술도 집에서 증류한 독한 소주에다 인삼을 담아 해를 묵힌 극상품으로 내갔다.≪박완서, 미망≫
44. 극작품 (劇作品) [극짝품]
한자: 劇(심할 극), 作(지을 작), 品(물건 품:)
「1」연극이나 영화의 대본.
「2」극적 묘사로 이루어진 문학 작품. 시·소설과 함께 문학의 3대 장르를 이루며, 작가의 말이나 생각이 직접적으로 표현되지 않고 등장인물들의 대사에 의하여 작품이
엮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용례:
「1」‘오셀로’는 질투라는 인간의 본성을 다룬 극작품이다.
45. 금제품 (金製品) [금제품]
한자: 金(쇠 금), 製(지을 제:), 品(물건 품:)
금으로 만든 물품.
용례:
- 금제품을 밀수하다.
- 박물관에는 신라 시대의 금제품 이백여 점이 전시되어 있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6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