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5

176. 의류품 (衣類品) [의류품]

한자: 衣(옷 의), 類(무리 류(:)), 品(물건 품:)

의류에 속하는 물품.

용례:

누전으로 발생한 화재가 의류품 가게로 번지면서 불길은 걷잡을 수 없게 되었다.

177. 의약외품 (醫藥外品) [의약외:품]

한자: 醫(의원 의), 藥(약 약), 外(바깥 외:), 品(물건 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약품. 구취(口臭)·체취(體臭)·탈모의 방지, 양모(養毛)와 염모(染毛), 파리·모기 등의 구제 따위에 쓰는 것으로, 보건 복지부 장관의 제조 허가와 등록 허가를 받아야 한다.

178. 의약품 (醫藥品) [의약품]

한자: 醫(의원 의), 藥(약 약), 品(물건 품:)

병을 치료하는 데 쓰는 약품.

용례:

우리는…촌락별로 보건소를 짓고 의약품을 공급할 것입니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179. 이용품 (利用品) [이:용품]

한자: 利(이할 리:), 用(쓸 용:), 品(물건 품:)

이용하는 물품.

용례:

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현대인에게 자판기는 필수 이용품이다.

180. 이품 (二品) [이:품]

한자: 二(두 이:), 品(물건 품:)

고려·조선 시대에 둔, 문무관 품계의 둘째. 정이품과 종이품이 있었다.

용례:

상석을 놓고 장군석을 세우며, 이품 이상의 고관 무덤에만 세울 수 있는 신도비까지 제일 좋은 석물로 갖추어….≪최명희, 혼불≫

181. 인품 (人品) [인품]

한자: 人(사람 인), 品(물건 품:)

사람이 사람으로서 가지는 품격이나 됨됨이.

용례:

  • 고귀한 인품.
  • 인품이 훌륭하다.
  • 인품을 손상하다.
  • 인품과 학문이 모두 뛰어나다.

182. 일급품 (一級品) [일급품]

한자: 一(한 일), 級(등급 급), 品(물건 품:)

제일 급에 속하는 물품.

용례:

이번에 납품한 물건들은 모두 일급품이다.

183. 일등품 (一等品) [일뜽품]

한자: 一(한 일), 等(무리 등:), 品(물건 품:)

품질이 가장 좋은 물건.

용례:

  • 일등품으로 인정받다.
  • 우리나라의 반도체는 세계 시장에서 일등품으로 대우받고 있다.

184. 일용품 (日用品) [이룡품]

한자: 日(날 일), 用(쓸 용:), 品(물건 품:)

날마다 쓰는 물건.

용례:

  • 일용품 가게.
  • 일용품 전시장.
  • 일용품을 사다.
  • 장날에는 모두들 움막을 비우고 장성에 내려가서 재주껏 돈을 벌어, 살아갈 일용품들을 사 오는 것이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제 장사를 마친 장사꾼이 뒤늦게 집에 들고 들어갈 일용품을 사느라고 짐을 꾸리는 다른 장사꾼을 잡고 흥정을 벌이기도 했다.≪김원일, 불의 제전≫

185. 일품 (一品) [일품]

한자: 一(한 일), 品(물건 품:)

「1」품질이나 상태가 제일감. 또는 그런 물품.
「2」솜씨가 제일감. 또는 그 솜씨.
「3」즐길 수 있는 최고의 것.
「4」고려·조선 시대에 둔, 문무관 품계의 첫째. 정일품과 종일품의 구별이 있었다.

용례:

  • 「1」일품으로 평가되다.
  • 「1」인삼 가운데 고려 인삼은 일품에 속한다.
  • 「2」태껸은 맨손으로 돼지 창자를 꺼낼 만큼 일품이었고 검법도 본국검은 물론 제독검, 왜검에 이르기까지 두루 통해 있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 「2」또박또박 조리 있게 끊어 넘기는 품이 가히 일품이라 사람들은 숨소리를 죽이고 매료되어 듣는다.≪김춘복, 쌈짓골≫
  • 「3」맛이 일품이다.
  • 「3」겨울엔 눈을 밟으며 거리를 걷는 멋이 일품이다.

186. 일품 (逸品) [일품]

한자: 逸(편안할 일), 品(물건 품:)

아주 뛰어난 물건.

용례:

  • 고려자기 같은 일품을 본 적이 없다고 다들 입을 모았다.
  • 의장(意匠)과 수법이 간연(間然)할 바가 없는 일품이었다.≪최남선, 심춘순례≫

187. 일회용품 (一回用品) [일회용:품]

한자: 一(한 일), 回(돌아올 회), 用(쓸 용:), 品(물건 품:)

한 번만 쓰고 버리도록 되어 있는 물건.

용례:

  • 일회용품의 사용을 규제하다.
  • 지나친 일회용품의 사용은 환경을 망친다.

188. 입상품 (入賞品) [입쌍품]

한자: 入(들 입), 賞(상줄 상), 品(물건 품:)

상을 받은 작품.

용례:

국립 미술관에서는 이번 국전의 입상품들을 전시할 예정이다.

189. 입선품 (入選品) [입썬품]

한자: 入(들 입), 選(가릴 선:), 品(물건 품:)

응모한 여러 물품 가운데서 심사에 합격하여 뽑힌 물품.

용례:

이번 우수 발명품 선발 대회의 입선품들이 전시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190. 입품 (入品) [입품]

한자: 入(들 입), 品(물건 품:)

물품이 들어옴. 또는 그 물품.

용례:

  • 입품 목록.
  • 입품 날짜가 정해지면 알려 주시오.

191. 자건품 (煮乾品) [자:건품]

한자: 煮(삶을 자(:)), 乾(하늘/마를 건), 品(물건 품:)

바다에서 나는 어패류를 소금물이나 바닷물에 삶아서 말린 제품.

용례:

부패되기 쉬운 어패류는 자건품으로 가공한다.

192. 자양품 (滋養品) [자양품]

한자: 滋(불을[益] 자), 養(기를 양:), 品(물건 품:)

자양분이 많은 식품.

용례:

거리에 나가서 영선이 먹을 자양품으로 약용 포도주, 우유, 계란 같은 것도 사오고 하느라고 정신없이 지냈다.≪전영택, 생명의 봄≫

193. 자연식품 (自然食品) [자연식품]

한자: 自(스스로 자), 然(그럴 연), 食(밥/먹을 식), 品(물건 품:)

방부제나 인공 색소 따위를 넣지 아니한 자연 그대로의 식품.

용례:

  • 무공해 자연식품.
  •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 가면서 자연식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194. 작품 (作品) [작품]

한자: 作(지을 작), 品(물건 품:)

「1」만든 물품.
「2」예술 창작 활동으로 얻어지는 제작물.
「3」꾸며서 만든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2」문학 작품.
  • 「2」미술 작품.
  • 「2」작품 활동.
  • 「2」작품을 발표하다.
  • 「2」작품을 분석하다.
  • 「2」작품을 쓰다.
  • 「2」그 소설은 문학사에 길이 남을 훌륭한 작품이다.
  • 「2」그의 초기 작품의 주제는 자유였다.
  • 「2」어떤 예술 작품은 당대보다는 후대에 가서 평가를 받기도 한다.
  • 「3」이번 사건은 하나에서 열까지 그가 혼자 계획하고 실행한 그의 단독 작품이었다.

195. 잔품 (殘品) [잔품]

한자: 殘(남을 잔), 品(물건 품:)

남은 물품.

용례:

잔품 정리.

196. 장식품 (裝飾品) [장식품]

한자: 裝(꾸밀 장), 飾(꾸밀 식), 品(물건 품:)

장식에 쓰는 물품.

용례:

희수는 사장실 바닥에 깔린 철색 카펫과 진열대에 놓인 도자기들과 수석들과 여러 가지 장식품들과 벽에 걸린 두 폭의 동양화를 보았다.≪한승원, 해일≫

197. 재고품 (在庫品) [재:고품]

한자: 在(있을 재:), 庫(곳집 고), 品(물건 품:)

「1」창고에 있는 물건.
「2」새로 만든 것이 아니고 전에 만들어 아직 상점에 내놓지 아니하였거나, 팔다가 남아서 창고에 쌓아 놓은 물건.

용례:

  • 「2」팔리지 않은 재고품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 「2」지하 매장에서는 재고품을 싸게 파는 행사가 열리고 있다.

198. 재생품 (再生品) [재:생품]

한자: 再(두 재:), 生(날 생), 品(물건 품:)

한 번 사용하였던 물건을 이용하여 다시 만든 물품.

용례:

당신은 여태껏 그 장사를 했으면서, 그래, 재생품과 신품의 구별도 못 해요.≪박완서, 조그만 체험기≫

199. 재활용품 (再活用品) [재:화룡품]

한자: 再(두 재:), 活(살 활), 用(쓸 용:), 品(물건 품:)

용도를 바꾸거나 가공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폐품. 또는 그 폐품을 사용하여 만든 물품.

용례:

  • 재활용품 수집을 활성화하다.
  • 재활용품을 일반 쓰레기와 분리하여 수거하다.
  • 이 공책은 폐휴지를 모아 만든 재활용품이다.

200. 전기용품 (電氣用品) [전:기용:품]

한자: 電(번개 전:), 氣(기운 기), 用(쓸 용:), 品(물건 품:)

「1」일상생활이나 사무용품 가운데 전기를 이용하여 쓰는 여러 물품.
「2」전기 사업법에 의한 전기 공작물의 구성 부분이 되거나, 전기 공작물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기계·기구 및 재료로 법령에서 정한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

201. 전달품 (傳達品) [전달품]

한자: 傳(전할 전), 達(통달할 달), 品(물건 품:)

다른 사람이나 기관에 전하는 물품.

용례:

수재민들에게 각지에서 전달품이 답지하고 있다.

202. 전리품 (戰利品) [절:리품]

한자: 戰(싸움 전:), 利(이할 리:), 品(물건 품:)

전쟁 때에 적에게서 빼앗은 물품.

용례:

저들이 북적과 그를 돕는 호로들을 모두 물리친 후 그 전리품으로 이 땅을 차지하려 들면 어쩌시겠습니까?≪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203. 전매품 (專賣品) [전매품]

한자: 專(오로지 전), 賣(팔 매(:)), 品(물건 품:)

국가나 특정 회사가 어떠한 물건을 독점하여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만들어서 파는 물품.

용례:

소금은 청국 정부의 전매품이었다. 사사롭게 매매를 할 수 없었다.≪안수길, 북간도≫

204. 전시품 (展示品) [전:시품]

한자: 展(펼 전:), 示(보일 시:), 品(물건 품:)

전시할 수 있도록 벌여 놓은 물품.

용례:

박물관에는 고려·조선 시대의 회화와 도자기를 비롯해 불교 회화, 서예 등 여러 전시품이 있다.

205. 정품 (正品) [정:품]

한자: 正(바를 정(:)), 品(물건 품:)

진짜이거나 온전한 물품.

용례:

  • 정품으로 골라서 공급하다.
  • 이것은 청국 어느 친구가 시생의 난초 그림 열두 폭과 바꾸었습니다. 어떠합니까. 품이 정품입니까?≪박종화, 전야≫

206. 제작품 (製作品) [제:작품]

한자: 製(지을 제:), 作(지을 작), 品(물건 품:)

제작된 물건이나 예술 작품.

용례:

부여 고을 안에는 경주의 다보탑이 백제인의 제작품이라는 가설을 사실로 확신하고 있는 사람이 허다했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207. 제조품 (製造品) [제:조품]

한자: 製(지을 제:), 造(지을 조:), 品(물건 품:)

만들어 낸 물품.

용례:

새로운 공법으로 만든 제조품.

208. 제품 (製品) [제:품]

한자: 製(지을 제:), 品(물건 품:)

원료를 써서 물건을 만듦. 또는 그렇게 만들어 낸 물품.

용례:

  • 유리 제품.
  • 가죽 제품.
  • 그 상점에는 싸고 좋은 제품이 많다.
  • 우리 회사에서는 다양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만든다.

209. 조각품 (彫刻品) [조각품]

한자: 彫(새길 조), 刻(새길 각), 品(물건 품:)

조각한 물품.

용례:

  • 그 건물의 외벽은 각양각색의 조각품이 부조되어 있었다.
  • 십자가에 못 박힌 고통에 찬 예수의 전신상으로, 찰흙으로 빚어 회칠을 한 조각품인데 크기가 석 자 남짓한 소품이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210. 조립품 (組立品) [조립품]

한자: 組(짤 조), 立(설 립), 品(물건 품:)

「1」여러 부품을 하나의 구조물로 짜맞추어 만든 물품.
「2」조립하는 데에 사용하는 부품.

211. 조제품 (粗製品) [조제품]

한자: 粗(거칠 조), 製(지을 제:), 品(물건 품:)

되는대로 마구 만들어 질이 낮은 물건.

용례:

세계를 하느님은 불과 엿새 동안에 만들었다고 하지 않소. 그런 조제품이 돼 놓으니 불편할밖에.≪이병주, 행복어 사전≫

212. 졸품 (拙品) [졸품]

한자: 拙(졸할 졸), 品(물건 품:)

「1」솜씨가 서투르고 보잘것없는 작품이나 물품.
「2」자기의 작품이나 물품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용례:

「1」똑같은 대리석이지만 조각가의 천분과 노력에 의해서 걸작이 나오고 또 졸품이 생긴다.≪안병욱, 사색인의 향연≫

213. 주문품 (注文品) [주:문품]

한자: 注(부을 주:), 文(글월 문), 品(물건 품:)

주문을 받은 물품. 또는 주문하여 맞춘 물건.

용례:

매입한 상품 중에서 불량품이나 파손품 또는 주문품과 다른 상품이 섞여 들어간 경우에는 즉각 교환이 가능합니다.

214. 죽공예품 (竹工藝品) [죽꽁예품]

한자: 竹(대 죽), 工(장인 공), 藝(재주 예:), 品(물건 품:)

대나무로 만든 공예품.

215. 죽세공품 (竹細工品) [죽쎄공품]

한자: 竹(대 죽), 細(가늘 세:), 工(장인 공), 品(물건 품:)

대를 재료로 하여 정교하게 만든 물건.

용례:

  • 목칠 공예 분야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이 죽세공품이다.
  • 대나무를 재료로 하여 만든 부채는 죽세공품 중에서 인기가 많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6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