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금제품 (禁制品) [금:제품]
한자: 禁(금할 금:), 制(절제할 제:), 品(물건 품:)
법령에 의하여 소유나 거래가 금지되어 있는 물품. 아편, 위조지폐, 외설 서적이나 그림 따위이다.
용례:
국내에서 판매가 금지된 금제품을 밀수하려던 조직이 검찰에 대거 구속되었다.
47. 금품 (金品) [금품]
한자: 金(쇠 금), 品(물건 품:)
돈과 물품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금품 거래.
- 금품을 받다.
- 금품을 요구하다.
- 금품을 수수하다.
- 금품과 향응을 베풀다.
- 상인들을 협박하여 금품을 갈취하다.
- 문 의원이 내어준 금품을 바우가 가지고 갔을 때 월선네는 그것을 받지 않았다.≪박경리, 토지≫
48. 기념상품 (紀念商品) [기념상품]
한자: 紀(벼리 기), 念(생각 념:), 商(장사 상), 品(물건 품:)
무엇을 특별히 기념하여 생산·판매하는 상품.
용례:
올림픽을 앞두고 벌써부터 시중에는 올림픽 기념상품들이 속속 선보이고 있다.
49. 기념품 (紀念品) [기념품]
한자: 紀(벼리 기), 念(생각 념:), 品(물건 품:)
기념으로 주거나 사는 물품.
용례:
- 기념품 증정.
- 관광 기념품.
- 졸업 기념품.
- 이 폴란드제 권총이 워낙 앙증맞고 멋있어서 소대장은 기념품으로 자기가 갖기로 했었는데….≪안정효, 하얀 전쟁≫
- 가게의 뒤쪽에는 매춘부가 있었는데 조잡한 기념품이나 민속 옷가지를 파는 상점도 있었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50. 기성품 (旣成品) [기성품]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品(물건 품:)
이미 만들어져 있는 물품. 또는 미리 일정한 규격대로 만들어 놓고 파는 물품.
용례:
오늘의 도회인은 다른 사람들이 생산한 기성품만을 소비하는 까닭으로 심지어는 그들의 사무와 쾌락까지도….≪김진섭, 인생 예찬≫
51. 기초식품 (基礎食品) [기초식품]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食(밥/먹을 식), 品(물건 품:)
식생활에서 사람이 매일 섭취해야 하는 영양소를 각각 함유한 여섯 부류의 식품군. 영양소는 탄수화물·단백질·지방질·무기질·비타민 시·카로틴이다.
52. 기품 (氣品) [기품]
한자: 氣(기운 기), 品(물건 품:)
인격이나 작품 따위에서 드러나는 고상한 품격.
용례:
- 기품이 있는 귀부인.
- 기품이 높다.
- 기품이 서리다.
- 기품이 넘치다.
- 전에는 마치 새하얗게 소복한 여인처럼 감히 범접할 수 없는 기품 같은 것이 느껴지던 백목련이었다.≪윤흥길, 완장≫
53. 기호식품 (嗜好食品) [기호식품]
한자: 嗜(즐길 기), 好(좋을 호:), 食(밥/먹을 식), 品(물건 품:)
독특한 향기나 맛이 있어 취향에 따라 즐기고 좋아하는 식품. 술, 커피 따위가 있다.
용례:
커피, 탄산음료 등 기호식품에 대한 지출을 줄이고, 그 푼돈을 모으면 적지 않은 돈이 된다.
54. 기호품 (嗜好品) [기호품]
한자: 嗜(즐길 기), 好(좋을 호:), 品(물건 품:)
「1」독특한 향기나 맛이 있어 즐기고 좋아하는 물품. 술, 담배, 커피 따위가 있다.
「2」장난감, 보석, 골동품 따위와 같이 사람들이 취미로 즐기거나 좋아하는 물품.
용례:
- 「1」담배는 기호품의 하나이다.
- 「2」만화가 단순한 오락적 성격의 기호품 차원을 넘어서 경제적으로 막대한 가능성을 가진 산업임을 인식해야 한다.
55. 낙농품 (酪農品) [낭농품]
한자: 酪(쇠젖 락), 農(농사 농), 品(물건 품:)
우유로부터 생산되는 모든 식료품. 버터, 치즈, 연유, 분유 따위가 있다.
56. 납품 (納品) [납품]
한자: 納(들일 납), 品(물건 품:)
계약한 곳에 주문받은 물품을 가져다줌. 또는 그 물품.
용례:
- 납품 기일.
- 물건 납품이 제때 이루어지지 않는다.
57. 냉동식품 (冷凍食品) [냉:동식품]
한자: 冷(찰 랭:), 凍(얼 동:), 食(밥/먹을 식), 品(물건 품:)
오래 보관하기 위하여 얼린 식품.
용례:
요즘은 개봉 후에도 오랫동안 먹을 수 있는 냉동 만두, 냉동 생선 등의 냉동식품이 많이 팔린다.
58. 노획품 (鹵獲品) [노획품]
한자: 鹵(개펄 로), 獲(얻을 획), 品(물건 품:)
싸워서 빼앗은 적의 물품.
용례:
화살을 쏘고 화전을 놓기에 열중하여 바다에 떠나가는 왜적의 물건에 손을 대지 않았건만, 그래도 왜적의 노획품은 상당히 많았다.≪박종화, 임진왜란≫
59. 농산품 (農産品) [농산품]
한자: 農(농사 농), 産(낳을 산:), 品(물건 품:)
농업으로 생산한 물품.
용례:
- 각 지역의 농산품을 한자리에서 판매하는 직거래 장터가 열렸다.
- 올해는 태풍과 장마의 영향으로 농산품의 생산량이 예년에 비해 많이 줄었다.
60. 늘품 (늘品) [늘품]
한자: 品(물건 품:)
앞으로 좋게 발전할 품질이나 품성.
용례:
- 늘품이 있어 보이다.
- 가까운 어느 숲속에 와서 장끼 한 마리가 늘품 없는 꽉 막힌 목청으로 까투리를 부르고 있었다.≪윤흥길, 완장≫
61. 답례품 (答禮品) [담녜품]
한자: 答(대답 답), 禮(예도 례:), 品(물건 품:)
감사의 표시로 주는 물건.
용례:
그는 결혼식장에서 우산을 답례품으로 받았다.
62. 대용품 (代用品) [대:용품]
한자: 代(대신할 대:), 用(쓸 용:), 品(물건 품:)
어떤 물품을 대신하여 쓰는 물품.
용례:
- 인조 진주는 천연 진주의 대용품으로 쓰인다.
- 손잡이가 다듬어진 한 쌍의 길쭉한 널빤지는 깊은 물에서 뗏목을 운전하기 위한 노의 대용품일 것이었다.≪윤흥길, 완장≫
63. 도난품 (盜難品) [도난품]
한자: 盜(도둑 도(:)), 難(어려울 난(:)), 品(물건 품:)
도둑을 맞은 물건.
용례:
종하를 더욱 놀라게 한 것은 이들 도난품에 대해서 녀석은 일일이 훔친 날짜와 소유주의 이름을 기록해 놓았다는 사실이었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64. 동품 (同品) [동품]
한자: 同(한가지 동), 品(물건 품:)
「1」같은 물품.
「2」그 물품.
용례:
- 「1」내 것은 이것과 동품이다.
- 「2」제품을 사용하시다가 동품에 결함이 생기면 아래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65. 동품 (同品) [동품]
한자: 同(한가지 동), 品(물건 품:)
「1」같은 품계.
「2」그 품계.
용례:
- 「1」저 사람은 단번에 나와 동품의 지위로 뛰어올랐다.
- 「2」동품에서 한 단계 승진했다.
66. 등외품 (等外品) [등:외품]
한자: 等(무리 등:), 外(바깥 외:), 品(물건 품:)
정해진 등급 안에 들지 못한 물품.
용례:
쌀보리의 등외품을 정부가 최저 가격으로 사들였다.
67. 면세품 (免稅品) [면:세품]
한자: 免(면할 면:), 稅(세금 세:), 品(물건 품:)
세금이나 관세가 면제된 상품.
용례:
- 면세품 구입 한도.
- 기내 면세품.
- 인터넷으로 주문해 둔 면세품을 출국 전에 공항에서 수령했다.
68. 면제품 (綿製品) [면제품]
한자: 綿(솜 면), 製(지을 제:), 品(물건 품:)
목화솜을 재료로 하여 만든 물품.
용례:
속옷으로는 땀을 잘 흡수하는 면제품을 많이 쓴다.
69. 명품 (名品) [명품]
한자: 名(이름 명), 品(물건 품:)
뛰어나거나 이름난 물건. 또는 그런 작품.
용례:
- 명품을 감상하다.
- 이번 가을에는 박물관에서 고려청자 가운데 명품을 엄선하여 전시한다.
70. 모사품 (模寫品) [모사품]
한자: 模(본뜰 모), 寫(베낄 사), 品(물건 품:)
「1」원작의 그림을 그대로 옮기어 그린 미술 작품.
「2」본떠서 그린 그림.
용례:
「1」화장대 위 벽에는 밀레의 만종 모사품이 액자에 끼워져 있었는데….≪김성동, 만다라≫
71. 모조품 (模造品) [모조품]
한자: 模(본뜰 모), 造(지을 조:), 品(물건 품:)
다른 물건을 본떠서 만든 물건.
용례:
- 경주에 가서 다보탑의 모조품을 샀다.
- 그 박물관은 도난 따위의 이유로 모조품을 전시했다.
- 준태에게는 음식들이 모두 냄새도 맛도 없는 진열장 속의 모조품처럼 낯설게만 느껴졌다.≪조해일, 왕십리≫
72. 목제품 (木製品) [목쩨품]
한자: 木(나무 목), 製(지을 제:), 品(물건 품:)
나무로 만든 물품.
73. 무역품 (貿易品) [무:역품]
한자: 貿(무역할 무:), 易(바꿀 역), 品(물건 품:)
나라와 나라 사이에 사고파는 물품.
용례:
수출과 수입이 자유로워지면서 무역품이 매우 다양해졌다.
74. 문학작품 (文學作品) [문학짝품]
한자: 文(글월 문), 學(배울 학), 作(지을 작), 品(물건 품:)
문학에 속하는 예술 작품. 시, 소설, 희곡 따위를 이른다.
75. 문화용품 (文化用品) [문화용:품]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用(쓸 용:), 品(물건 품:)
문화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여러 가지 물품.
76. 물품 (物品) [물품]
한자: 物(물건 물), 品(물건 품:)
「1」일정하게 쓸 만한 값어치가 있는 물건.
「2」부동산을 제외한 모든 유체물(有體物).
용례:
- 「1」수업에 필요한 물품.
- 「1」물품을 소중히 다루다.
- 「2」해외 물품 구매.
- 「2」후원 물품.
- 「2」비행기 탑승 시 금지 물품.
- 「2」시에서 지방세 체납자로부터 압류한 물품을 공매했다.
- 「2」그가 소유한 물품만 처분하더라도 두 아들을 장가보내는 데는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77. 미사용품 (未使用品) [미:사용품]
한자: 未(아닐 미(:)), 使(하여금/부릴 사:), 用(쓸 용:), 品(물건 품:)
아직 쓰지 않은 물품.
78. 미성품 (未成品) [미:성품]
한자: 未(아닐 미(:)), 成(이룰 성), 品(물건 품:)
완성되지 못한 물건.
용례:
작업실 안에는 미성품들이 시커멓게 그을린 채 널브러져 있었다.
79. 미술품 (美術品) [미:술품]
한자: 美(아름다울 미(:)), 術(재주 술), 品(물건 품:)
회화, 조각, 공예 따위의 미술 작품.
용례:
- 미술품을 수집하다.
- 미술품을 전시하다.
- 사실 중국의 골동은 세계 어느 곳에 갖다 놓고, 어떤 나라의 옛 미술품과 비교하여도 위풍이 당당한 것이다.≪유진오, 구름 위의 만상≫
80. 미완성품 (未完成品) [미:완성품]
한자: 未(아닐 미(:)), 完(완전할 완), 成(이룰 성), 品(물건 품:)
아직 완성되지 않은 작품이나 물건.
용례:
한 육군 병장의 모습을 새긴 것이었는데 아직 마지막 손질이 가지 않은 미완성품이었다.≪조해일, 멘드롱 따또≫
81. 민수품 (民需品) [민수품]
한자: 民(백성 민), 需(쓰일/쓸 수), 品(물건 품:)
민간인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품.
용례:
진장한 보고를 열어서 소금을 고게 하고 고기를 잡아서 굶주린 군사와 백성들을 먹인다. 군수품으로 쓰고 민수품으로도 써서 글자 그대로 여민동락을 하는 것이었다.≪박종화, 임진왜란≫
82. 밀수입품 (密輸入品) [밀쑤입품]
한자: 密(빽빽할 밀), 輸(보낼 수), 入(들 입), 品(물건 품:)
세관을 거치지 아니하고 몰래 사들여 온 물품.
83. 밀수품 (密輸品) [밀쑤품]
한자: 密(빽빽할 밀), 輸(보낼 수), 品(물건 품:)
세관을 거치지 아니하고 몰래 사들여 오거나 내다 파는 물품.
용례:
이곳엔 미군 기지가 있어서 간혹 밀수품을 싣고 오가는 차들이 있습니다.≪최인호, 지구인≫
84. 박제품 (剝製品) [박쩨품]
한자: 剝(벗길 박), 製(지을 제:), 品(물건 품:)
박제하여 만든 물품.
용례:
전시실에는 각종 동물의 박제품이 종류별로 진열되어 있었다.
85. 반가공품 (半加工品) [반:가공품]
한자: 半(반(半) 반:), 加(더할 가), 工(장인 공), 品(물건 품:)
반 정도만 가공한 물품.
86. 반입품 (搬入品) [바닙품]
한자: 搬(옮길 반), 入(들 입), 品(물건 품:)
운반하여 들이는 물품.
용례:
- 공항에서 반입품을 검사하다.
- 해외여행자의 반입품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87. 반제품 (半製品) [반:제품]
한자: 半(반(半) 반:), 製(지을 제:), 品(물건 품:)
완제품의 재료로 쓰기 위하여 기초 원료를 가공한 중간 제품. 또는 모든 제조 과정을 거치지는 않았으나, 그대로 저장과 판매가 가능한 중간 제품.
용례:
- 반제품 생산.
- 외국에서 수입한 원재료나 반제품 등을 자국 내에서 가공하거나 제품으로 만들어 외국으로 수출한다.
88. 반품 (返品) [반:품]
한자: 返(돌이킬 반:), 品(물건 품:)
일단 사들인 물품을 되돌려보냄. 또는 그 물품.
용례:
- 반품 목록.
- 반품으로 들어온 물건들은 대개 폐기된다.
89. 발명품 (發明品) [발명품]
한자: 發(필 발), 明(밝을 명), 品(물건 품:)
아직까지 없었던 물건을 새로 생각하여 만들어 낸 것.
용례:
- 중소기업 제품 전시장에서는 갖가지 발명품을 비롯한 여러 중소기업 제품들을 전시·판매한다.
-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세계인을 놀라게 한 발명품이 쏟아져 나왔다.
90. 발효식품 (醱酵食品) [발효식품]
한자: 醱(술괼 발), 酵(삭힐 효:), 食(밥/먹을 식), 品(물건 품:)
효모나 젖산균 따위 미생물의 발효 작용을 활용하여 만든 식품.
용례:
-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발효 식품의 종류나 맛도 다양해진다.
- 된장, 김치, 젓갈 등 한국인은 전통적으로 다양한 발효 식품을 섭취해 왔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6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