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6

216. 중고품 (中古品) [중고품]

한자: 中(가운데 중), 古(예 고:), 品(물건 품:)

좀 오래되거나 낡은 물건.

용례:

  • 미국이나 유럽에는 고물이나 중고품을 매매하는 벼룩시장이 많이 있다.
  • 중고품이기는 하지만 최신품이나 별 차이가 없습니다.≪유현종, 들불≫

217. 즉석식품 (卽席食品) [즉썩씩품]

한자: 卽(곧 즉), 席(자리 석), 食(밥/먹을 식), 品(물건 품:)

간단히 조리할 수 있고 저장이나 휴대에도 편리한 가공식품.

218. 증거품 (證據品) [증거품]

한자: 證(증거 증), 據(근거 거:), 品(물건 품:)

증거가 되는 물건. 그 물건의 존재와 상태가 사물의 증명에 도움이 되는 것을 이른다.

용례:

  • 검찰은 결정적인 증거품을 찾고 있다.
  • 검찰은 범죄에 사용한 칼을 증거품으로 제시했다.

219. 증답품 (贈答品) [증답품]

한자: 贈(줄[送] 증), 答(대답 답), 品(물건 품:)

선물로 서로 주고받는 물품.

용례:

연말이면 증답품이 오가기 마련이다.

220. 직품 (職品) [직품]

한자: 職(직분 직), 品(물건 품:)

벼슬의 품계.

용례:

비록 직품은 낮지마는 이순신은 비로소 벼슬다운 벼슬자리에 나간 셈이다.≪박종화, 임진왜란≫

221. 진귀품 (珍貴品) [진귀품]

한자: 珍(보배 진), 貴(귀할 귀:), 品(물건 품:)

보배롭고 보기 드물게 귀한 물품.

용례:

이번 전시회에서는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진귀품들이 선보인다.

222. 진상품 (進上品) [진:상품]

한자: 進(나아갈 진:), 上(윗 상:), 品(물건 품:)

임금이나 고관에게 바치는 물품.

용례:

  • 진상품을 받다.
  • 진상품으로 거둬들인 토산물의 태반이 군아에서 녹아 없어졌다던 것이 이제까지의 공론이었다.≪이문구, 오자룡≫

223. 진열품 (陳列品) [지:녈품]

한자: 陳(베풀 진:/묵을 진), 列(벌릴 렬), 品(물건 품:)

진열해 놓은 물품.

용례:

전쟁으로 박물관 진열품에 어느 정도의 손실이 있었다.

224. 진품 (珍品) [진품]

한자: 珍(보배 진), 品(물건 품:)

진귀한 물품.

용례:

  • 내가 술을 좋아야 하지마는 어디 이런 진품이야 많이 먹어를 보았어야지.≪현진건, 무영탑≫
  • 송(松)과 매(梅)의 노지(老枝)란 짧고 뒤틀려야 멋이 있고 잎과 꽃은 다닥다닥 붙지 않아야 진품으로 치며, 분에 담긴 흙이나 돌에는 청태가 끼어야 자랑삼을 수가 있다.≪유주현, 대한 제국≫

225. 진품 (眞品) [진품]

한자: 眞(참 진), 品(물건 품:)

진짜인 물품.

용례:

  • 두 그림이 너무 똑같아 어느 것이 진품인지 가리기 어렵다.
  • 여기에 전시된 그림 중 일부는 진품이 아니라 복제품이다.

226. 찬품 (饌品) [찬:품]

한자: 饌(반찬 찬:), 品(물건 품:)

반찬거리가 되는 것. 또는 반찬의 종류.

용례:

대신 댁 계집 하인이 궐내에 바치는 찬품을 가지고 왔는데 어째 얼른 안 드렸느냐.≪홍명희, 임꺽정≫

227. 창작품 (創作品) [창:작품]

한자: 創(비롯할 창:), 作(지을 작), 品(물건 품:)

창작한 예술 작품.

228. 천하일품 (天下一品) [천하일품]

한자: 天(하늘 천), 下(아래 하:), 一(한 일), 品(물건 품:)

세상에 오직 하나밖에 없거나 매우 뛰어나서 세상에서 견줄 만한 것이 없음. 또는 그런 물품.

용례:

그 식당은 음식 맛이 천하일품이다.

229. 최고품 (最古品) [최:고품]

한자: 最(가장 최:), 古(예 고:), 品(물건 품:)

가장 오래된 물품.

용례:

이 백자는 지금까지 출토된 것들 중에서 최고품이다.

230. 최상품 (最上品) [최:상품]

한자: 最(가장 최:), 上(윗 상:), 品(물건 품:)

가장 좋은 물품.

용례:

  • 최상품은 가격이 두 배로 비싸다.
  • 저희 가게는 최상품의 물건만 취급합니다.
  • 심동호 씨가 읍에서는 구하기 힘든 백 원짜리 최상품 백구 담배 한 개비를 조끼 주머니에서 꺼내어 입술에 끼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231. 축산품 (畜産品) [축싼품]

한자: 畜(짐승 축), 産(낳을 산:), 品(물건 품:)

축산업으로 생산한 물품.

용례:

최근에는 항생제를 쓰지 않은 축산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232. 출고품 (出庫品) [출고품]

한자: 出(날[生] 출), 庫(곳집 고), 品(물건 품:)

출고한 물품.

용례:

공장 출고품.

233. 출토품 (出土品) [출토품]

한자: 出(날[生] 출), 土(흙 토), 品(물건 품:)

땅속에서 발굴되어 나온 고대의 유품.

용례:

  • 그 유적지에서 나온 출토품은 수십 종이나 된다.
  • 출토품들이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234. 출품 (出品) [출품]

한자: 出(날[生] 출), 品(물건 품:)

전람회, 전시회, 품평회 따위에 작품이나 물품을 내어놓음.

용례:

그는 국전 출품 15년 만에 대통령상을 받았다.

235. 토산품 (土産品) [토산품]

한자: 土(흙 토), 産(낳을 산:), 品(물건 품:)

그 지방에서 특유하게 나는 물품.

용례:

마른 전복이나 한약재 꾸러미 같은 토산품은 끼어 있지 않은 듯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236. 토품 (土品) [토품]

한자: 土(흙 토), 品(물건 품:)

논밭의 품질.

용례:

토품 좋은 용길네 밭을 내 땅으로 다루어 본다는 욕망에서….≪이태준, 농토≫

237. 특산품 (特産品) [특싼품]

한자: 特(특별할 특), 産(낳을 산:), 品(물건 품:)

어떤 지역에서 특별히 생산되는 물품.

용례:

진영에는 닷새마다 큰 장이 서고 단감은 전국적으로 알려진 이곳의 특산품이었다.≪김원일, 노을≫

238. 특제품 (特製品) [특쩨품]

한자: 特(특별할 특), 製(지을 제:), 品(물건 품:)

특별하거나 특수하게 만든 물품.

용례:

강화 특제품 화문석.

239. 판매품 (販賣品) [판매품]

한자: 販(팔[賣] 판), 賣(팔 매(:)), 品(물건 품:)

판매하는 상품이나 물품.

용례:

판매품을 품목별로 정리하다.

240. 폐품 (廢品) [폐:품]

한자: 廢(폐할/버릴 폐:), 品(물건 품:)

못 쓰게 되어 버린 물품.

용례:

  • 폐품 수집.
  • 폐품을 재활용하다.
  • 이 가장 고귀한 기계들은, 일손이 모자라고 약품마저 떨어져 머지않아 곧 폐품으로 전락할 운명이다.≪홍성원, 육이오≫
  • 남대문 근처의 공터에 우리 작업장이 있었는데 폐품을 주워다가 분류해서 넘기는 일을 각자 분담해서 해 나가고 있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241. 필수품 (必需品) [필쑤품]

한자: 必(반드시 필), 需(쓰일/쓸 수), 品(물건 품:)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반드시 필요한 물건.

용례:

  • 텔레비전은 이제 가정에 정보와 오락을 제공하는 도구로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다.
  • 돈이 있으나 없으나 간에 추운 겨울을 나야 할 현실적 필요는 사람으로 하여금 주머니를 털어서까지 많은 필수품을 사게 한다.≪김진섭, 인생 예찬≫

242. 하사품 (下賜品) [하:사품]

한자: 下(아래 하:), 賜(줄 사:), 品(물건 품:)

임금이 신하에게, 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내린 물품.

용례:

대통령 하사품.

243. 하품 (下品) [하:품]

한자: 下(아래 하:), 品(물건 품:)

「1」질이 나쁜 물품.
「2」하등의 품위.
「3」구품 정토에서 상생, 중생, 하생 각각의 아랫자리에 있는 세 품.

용례:

「1」그릇은 하품일망정 다른 사람의 쓰임을 위해 그릇을 빚을 때 사기장이의 눈은 그 자신의 것만이 아니다.≪서기원, 조선백자 마리아상≫

244. 학예품 (學藝品) [하계품]

한자: 學(배울 학), 藝(재주 예:), 品(물건 품:)

학생들의 기예로 만든 작품. 그림, 글씨, 글짓기, 수예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용례:

학예품 전시회.

245. 학용품 (學用品) [하굥품]

한자: 學(배울 학), 用(쓸 용:), 品(물건 품:)

학습에 필요한 물품(物品). 필기도구, 공책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용례:

새 학년이 시작되기 전에 책가방과 학용품을 새로 장만했다.

246. 합작품 (合作品) [합짝품]

한자: 合(합할 합), 作(지을 작), 品(물건 품:)

「1」공동으로 협력하여 만든 작품.
「2」공동으로 협력하여 이룬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이 그림은 우리 반 학생들의 합작품이다.
  • 「2」이번 경기의 승리는 감독과 선수들의 합작품이다.

247. 현품 (現品) [현:품]

한자: 現(나타날 현:), 品(물건 품:)

현재 있는 물품.

용례:

  • 우선 일만 냥의 현금을 계약금으로 드리겠소. 나머지 일만 냥은 현품을 인도받고 치르기로 하고….≪유현종, 들불≫
  • 한철은 은령을 시켜 도서 대출부와 현품의 회수 상황을 확인시켰던 것이다.≪전광용, 태백산맥≫

248. 호사품 (豪奢品) [호사품]

한자: 豪(호걸 호), 奢(사치할 사), 品(물건 품:)

분수에 지나치거나 생활의 필요 정도에 넘치는 물품.

용례:

후줄근한 여름옷과는 영 안 어울리게 그의 구두는 제법 신품이었고 알맞게 길이 난 호사품이었다.≪윤흥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249. 혼수품 (婚需品) [혼수품]

한자: 婚(혼인할 혼), 需(쓰일/쓸 수), 品(물건 품:)

혼인에 드는 물품.

용례:

웬만한 집안의 처자는 혼수품으로 반드시 장만한다는 방물장수의 말이 아니라도 이처럼 어여쁜 화장품이라면 누가 탐내지 않으랴.≪최명희, 혼불≫

250. 화장품 (化粧品) [화장품]

한자: 化(될 화(:)), 粧(단장할 장), 品(물건 품:)

화장하는 데 쓰는 크림, 분, 향수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화장품을 바르다.
  • 알코올과 값싼 화장품의 납독으로 그녀들의 피부는 푸르뎅뎅했고 더러는 벌겋게 성나 있었다.≪이문열, 그해 겨울≫

251. 화학약품 (化學藥品) [화:항냑품]

한자: 化(될 화(:)), 學(배울 학), 藥(약 약), 品(물건 품:)

물리학과 화학 실험에 사용되는 약품.

252. 화학제품 (化學製品) [화:학쩨:품]

한자: 化(될 화(:)), 學(배울 학), 製(지을 제:), 品(물건 품:)

화학 공업에 의하여 생산된 제품. 화학 비료, 염료, 합성수지 따위가 있다.

253. 환품 (換品) [환:품]

한자: 換(바꿀 환:), 品(물건 품:)

어떠한 물건을 다른 물건과 서로 바꿈.

용례:

소비자들은 구입한 제품이 불량품이라면서 환품을 요구하였다.

254. 휴대품 (携帶品) [휴대품]

한자: 携(이끌 휴), 帶(띠 대(:)), 品(물건 품:)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니는 물건.

용례:

  • 여행자 휴대품 검사 제도.
  • 여러분, 지금 곧 서울로 출발하겠습니다. 각자 휴대품들 잊지 마시고 연병장 밑으로 내려와 주십시오.≪홍성원, 육이오≫

255. 희귀품 (稀貴品) [히귀품]

한자: 稀(드물 희), 貴(귀할 귀:), 品(물건 품:)

드물어서 특이하거나 매우 귀한 물품.

용례:

  • 이 판화 작품은 전 세계에 몇 점 없는 희귀품이다.
  • 이 책은 발간 직후에 절판이 되면서 지금은 어지간한 금액으로는 구입하기가 어려운 희귀품이 되었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