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배급품 (配給品) [배:급품]
한자: 配(나눌/짝 배:), 給(줄 급), 品(물건 품:)
배급하는 물품.
92. 보급품 (補給品) [보:급품]
한자: 補(기울 보:), 給(줄 급), 品(물건 품:)
보급되는 물품.
용례:
- 황토치 전투에서 노획한 각종 무기와 보급품이 엄청 많아 이제 동학군의 군세는 대단해 있었다.≪유현종, 들불≫
- 트럭들은 대부분이 보급 차량인 모양으로 각종 보급품들을 산더미처럼 실은 채 요란하게 서울 쪽으로 치달렸다.≪홍성원, 육이오≫
93. 복자품 (福者品) [복짜품]
한자: 福(복 복), 者(놈 자), 品(물건 품:)
성인으로 인정하기 전에 공식으로 공경할 수 있다고 교회가 인정하는 지위.
용례:
그의 성스러움과 기적에 관한 명성이 탁월하여 교황은 그를 복자품에 올렸다.
94. 복제품 (複製品) [복쩨품]
한자: 複(겹칠 복), 製(지을 제:), 品(물건 품:)
본디의 것과 똑같이 본떠 만든 물품.
용례:
- 불법 복제품을 시중에 유통하다.
- 미술품도 복제품이 시중에 많이 나돌고 있다.
- 그들은 우리 회사 제품과 똑같은 복제품을 만들어 팔다 적발되었다.
- 박물관에는 진품이 아닌 복제품을 전시해 두었다.
95. 부분품 (部分品) [부분품]
한자: 部(떼 부), 分(나눌 분(:)), 品(물건 품:)
기계 따위의 어떤 부분에 쓰는 물품.
용례:
라디오 부분품들이 고물상처럼 너저분하게 널려 있는 방바닥에서 흰 봉투의 편지를 집어 들었다.≪이범선, 자살당한 개≫
96. 부속품 (附屬品) [부:속품]
한자: 附(붙을 부(:)), 屬(붙일 속), 品(물건 품:)
어떠한 기구나 기계 따위에 딸려 붙어 있는 물건.
용례:
- 기계 부속품.
- 부속품을 새것으로 교체하다.
- 시계를 분해하여 부속품을 갈아 끼우다.
- 자동차에는 많은 부속품이 들어간다.
97. 부장품 (副葬品) [부:장품]
한자: 副(버금 부:), 葬(장사지낼 장:), 品(물건 품:)
장사 지낼 때, 시체와 함께 묻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무덤 속엔 처음부터 무슨 부장품 같은 게 함께 묻힌 일이 없었던 게 확실할 겁니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98. 부품 (部品) [부품]
한자: 部(떼 부), 品(물건 품:)
기계 따위의 어떤 부분에 쓰는 물품.
용례:
- 자동차 부품.
- 부품을 갈다.
- 부품을 교체하다.
- 부품을 구하다.
- 부품을 생산하다.
- 부품을 조립하다.
- 한 대의 승용차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부품으로 만들어졌다.≪조세희, 은강 노동 가족의 생계비≫
99. 불량품 (不良品) [불량품]
한자: 不(아닐 불), 良(어질 량), 品(물건 품:)
품질이나 상태가 나쁜 물건.
용례:
- 불량품 불매 운동.
- 불량품을 반품하다.
- 중고품이기는 하지만 최신품이나 별 차이가 없습니다. 인수한 후에 못 믿으신다면 성능을 확인하고 불량품은 반환하셔도 됩니다.≪유현종, 들불≫
100. 불용품 (不用品) [부룡품]
한자: 不(아닐 불), 用(쓸 용:), 品(물건 품:)
쓰지 않거나 못 쓰게 된 물품.
용례:
할아버지는 손때가 묻었다고 불용품조차도 버리지 않으시고 차곡차곡 쌓아 두시는 성미셨다.
101. 불합격품 (不合格品) [불합껵품]
한자: 不(아닐 불), 合(합할 합), 格(격식 격), 品(물건 품:)
일정한 기준에 이르지 못하여 검사에서 합격하지 못한 물품.
용례:
- 불합격품을 정품으로 속여 팔다.
- 수출하려던 운동화가 불합격품이 되어 여간 손해를 본 것이 아니다.
- 어제 들어온 공구 가운데 상당수가 불합격품이라 물품 공급자에게 바꿔 달라고 요구했다.
102. 비품 (備品) [비:품]
한자: 備(갖출 비:), 品(물건 품:)
늘 일정하게 갖추어 두고 쓰는 물품.
용례:
- 비품을 구비하다.
- 책상과 의자 이왼 별다른 비품이 없는 사무실 안은 초겨울같이 썰렁했다.
103. 뼈제품 (뼈製品) [뼈제품]
한자: 製(지을 제:), 品(물건 품:)
뼈로 만든 물품.
용례:
- 뼈제품이 출토되다.
- 그들은 뼈제품을 장신구로 쓴다.
104. 사무용품 (事務用品) [사:무용:품]
한자: 事(일 사:), 務(힘쓸 무:), 用(쓸 용:), 品(물건 품:)
사무를 보는 데 필요한 용품.
용례:
- 사무용품을 구비하다.
- 그녀의 서랍 안에는 사무용품들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었다.
- 급한 공문을 발송하기 위해, 자질구레한 사무용품들을 사 나르기 위해, 현관에 설치되어 있는 우편물을 찾아오기 위해 숨이 가쁘도록 오르내려야만 했었다.≪이동하, 도시의 늪≫
105. 사은품 (謝恩品) [사:은품]
한자: 謝(사례할 사:), 恩(은혜 은), 品(물건 품:)
받은 은혜를 갚기 위해 사례하는 물품.
용례:
- 백화점 사은품.
- 사은품을 증정하다.
106. 사치품 (奢侈品) [사치품]
한자: 奢(사치할 사), 侈(사치할 치), 品(물건 품:)
분수에 지나치거나 생활의 필요 정도에 넘치는 물품.
용례:
그들은 트인 길을 따라 농촌 사람들의 살림살이에 실용품이든 사치품이든 가리지 않고 온갖 잡동사니를 몰고 시골 구석구석까지 파고들었다.≪김원일, 노을≫
107. 사품 (私品) [사품]
한자: 私(사사(私事) 사), 品(물건 품:)
개인의 사사로운 물품.
용례:
제대를 며칠 앞둔 그는 사물함을 열어 사품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108. 상등품 (上等品) [상:등품]
한자: 上(윗 상:), 等(무리 등:), 品(물건 품:)
품질이 썩 좋은 물건.
용례:
담배 농사란 것이 그만큼 잔손이 많이 가기도 하지만, 상등품을 만들려면 이만저만 정성이 드는 게 아니다.≪송기숙, 녹두 장군≫
109. 상품 (上品) [상:품]
한자: 上(윗 상:), 品(물건 품:)
「1」상등의 품위(品位).
「2」질이 좋은 물품.
「3」구품 정토에서 상생, 중생, 하생 각각의 윗자리에 있는 세 품.
용례:
- 「2」소반 중에는 은행나무로 만든 행자반을 상품으로 친다.
- 「2」경국이는 날렵하게 몸을 날려 광으로 들어가 묘삼 동이를 상품으로 한 동이 들고나왔다.≪박완서, 미망≫
110. 상품 (商品) [상품]
한자: 商(장사 상), 品(물건 품:)
「1」사고파는 물품.
「2」장사로 파는 물건. 또는 매매를 목적으로 한 재화(財貨).
「3」상거래를 목적으로 하는 물건. 동산(動産) 따위가 있다.
용례:
- 「1」상품을 판매하다.
- 「1」상품을 진열하다.
- 「1」백화점에는 온갖 상품이 다 있다.
- 「2」상품을 개발하다.
111. 상품 (賞品) [상품]
한자: 賞(상줄 상), 品(물건 품:)
상으로 주는 물품.
용례:
- 상품을 받다.
- 상품을 타다.
- 황소를 상품으로 걸고 씨름 대회를 열다.
- 달리기에서 1등을 한 학생에게 공책을 상품으로 주었다.
112. 생산품 (生産品) [생산품]
한자: 生(날 생), 産(낳을 산:), 品(물건 품:)
생산되는 물품.
용례:
- 생산품 가격.
- 생산품을 수출하다.
113. 생식품 (生食品) [생식품]
한자: 生(날 생), 食(밥/먹을 식), 品(물건 품:)
가공하지 아니한 생선이나 야채 따위의 농수산 식품.
용례:
이 백화점에서는 딸기 등 일부 생식품과 의류를 아주 싸게 팔고 있다.
114. 생필품 (生必品) [생필품]
한자: 生(날 생), 必(반드시 필), 品(물건 품:)
일상생활에 반드시 있어야 할 물품.
용례:
- 생필품 사재기.
- 생필품 수요.
- 생필품 부족.
- 정부는 생필품 가격을 비롯한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였다.
- 쌀값은 이미 세 배나 올랐고, 일반 생필품들도 두 배 이상이나 뛰어오른 것이었다.≪홍성원, 육이오≫
115. 생활용품 (生活用品) [생활룡:품]
한자: 生(날 생), 活(살 활), 用(쓸 용:), 品(물건 품:)
생활에 필요한 물품.
용례:
화장지, 로션 따위의 생활용품을 싸게 구입했다.
116. 생활품 (生活品) [생활품]
한자: 生(날 생), 活(살 활), 品(물건 품:)
일상생활에 반드시 있어야 할 물품.
용례:
콩, 팥, 들깨 등 난리 바람에 숨겨 놓았던 곡식들을 꺼내어 다른 생활품과 바꾸기 위해 장꾼들은 여기저기에서 성문 안으로 들어왔다.≪유현종, 들불≫
117. 생활필수품 (生活必需品) [생활필쑤품]
한자: 生(날 생), 活(살 활), 必(반드시 필), 需(쓰일/쓸 수), 品(물건 품:)
일상생활에 반드시 있어야 할 물품.
용례:
- 이곳에서 자동차는 생활필수품이 될 정도로 사람들에게 보편화되었다.
- 물건이 잘 안 나가자 몇몇 가게들은 생활필수품을 몇 개씩 묶어서 싸게 판매했다.
118. 선사품 (膳賜品) [선:사품]
한자: 膳(선물/반찬 선:), 賜(줄 사:), 品(물건 품:)
존경, 친근, 애정의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남에게 주는 물품.
용례:
빈손으로 오기가 어려워서, 선사품을 조금 사 가지고 오려다가 일이 급하여서 물품을 사지 못하고….≪한용운, 흑풍≫
119. 성수품 (盛需品) [성:수품]
한자: 盛(성할 성:), 需(쓰일/쓸 수), 品(물건 품:)
어떤 특별한 시기에 많이 쓰는 물품.
용례:
추석을 맞아 고기와 과일 같은 성수품들의 가격이 들먹거리고 있다.
120. 성품 (性品) [성:품]
한자: 性(성품 성:), 品(물건 품:)
「1」사람의 성질이나 됨됨이.
「2」‘성’(노엽거나 언짢게 여겨 일어나는 불쾌한 감정.)을 점잖게 이르는 말.
용례:
- 「1」강직한 성품.
- 「1」성품이 까다롭다.
- 「1」성품이 나약하다.
- 「1」성품이 느긋하다.
- 「1」성품이 모나다.
- 「1」성품이 무던하다.
- 「1」성품이 어질다.
- 「1」서울말에 의해 유화되지 않은 싱싱하고 투박한 각 도의 사투리가 각자의 드센 성품과 생활력을 과시하는 것 같아 나는 까닭 없이 질리고 있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121. 세공품 (細工品) [세:공품]
한자: 細(가늘 세:), 工(장인 공), 品(물건 품:)
잔손을 많이 들여 정교하게 만든 물건.
용례:
금은 세공품.
122. 소모품 (消耗品) [소모품]
한자: 消(사라질 소), 耗(소모할 모), 品(물건 품:)
「1」쓰는 대로 닳거나 줄어들어 없어지거나 못 쓰게 되는 물품. 종이, 볼펜, 연필, 빗자루 따위의 사무용품이나 일상 물품 따위가 있다.
「2」필요할 때만 이용하고 버려지는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일회용 소모품.
- 「1」소모품 교체.
- 「1」사무실에서 쓰는 소모품을 절약하자.
- 「2」김 씨는 회사로부터 소모품 취급을 받는 것을 더 이상 참을 수 없었다.
123. 소비품 (消費品) [소비품]
한자: 消(사라질 소), 費(쓸 비:), 品(물건 품:)
소비하는 물품.
용례:
- 사치성 소비품.
- 올해 소비품의 수입이 늘었다.
124. 소장품 (所藏品) [소:장품]
한자: 所(바 소:), 藏(감출 장:), 品(물건 품:)
자기의 것으로 지니어 간직하고 있는 물품.
용례:
- 미술관 소장품.
- 개인 소장품들을 모아 전시회를 열었다.
125. 소지품 (所持品) [소:지품]
한자: 所(바 소:), 持(가질 지), 品(물건 품:)
가지고 있는 물품.
용례:
- 소지품 검사.
- 소지품 보관함.
- 그는 간단한 개인 소지품만을 챙겨 여행을 떠났다.
- 남의 소지품에 손을 대면 못쓴다.
- 손 대위는 소지품을 챙겨 들고 도망치듯 천막을 빠져나왔다.≪홍성원, 육이오≫
126. 소품 (小品) [소:품]
한자: 小(작을 소:), 品(물건 품:)
「1」규모가 작은 예술 작품.
「2」변변치 못한 물건.
「3」실물과 같은 모양으로 정교하게 만들어진 작은 모형(模型).
「4」시종품, 구마품, 강경품, 수문품의 네 품을 상삼품(上三品)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새 제도에서 수문품과 구마품이 없어지고, 다른 품은 독서직과 시종직으로 바꾸었다.
「5」연극이나 영화 따위에서, 무대 장치나 분장에 쓰는 작은 도구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1」삼백 호짜리 그림이 가분수처럼 부담스럽게 보이는 우리네의 구차한 시설 때문에, 항시 달력만 한 크기의 소품만이 눈에 익은 우리에게….≪이영치, 흐린 날 황야에서≫
- 「5」연극이 끝나자 단원들은 소품을 챙기느라 부산했다.
127. 수공업품 (手工業品) [수공업품]
한자: 手(손 수(:)), 工(장인 공), 業(업 업), 品(물건 품:)
수공업으로 만든 물품.
용례:
상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농산물과 수공업품의 교역을 위해 시장이 생겨나게 되었다.
128. 수공예품 (手工藝品) [수공예품]
한자: 手(손 수(:)), 工(장인 공), 藝(재주 예:), 品(물건 품:)
수공예로 만든 물건.
용례:
- 전통 수공예품.
- 기념품점에서는 각종 수공예품을 판매하고 있다.
129. 수공품 (手工品) [수공품]
한자: 手(손 수(:)), 工(장인 공), 品(물건 품:)
손이나 간단한 도구로 만든 물품.
용례:
그 노인은 수공품인 듯한 담뱃대와 참빗 따위를 팔러 다녔다.
130. 수산품 (水産品) [수산품]
한자: 水(물 수), 産(낳을 산:), 品(물건 품:)
수산업으로 생산한 물품.
용례:
올해 열리는 축제에서는 김, 다시마, 멸치 등 다양한 수산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131. 수예품 (手藝品) [수예품]
한자: 手(손 수(:)), 藝(재주 예:), 品(물건 품:)
손으로 만든 공예품(工藝品). 주로 손을 놀려 만드는 자수, 편물(編物) 따위를 이른다.
132. 수입품 (輸入品) [수입품]
한자: 輸(보낼 수), 入(들 입), 品(물건 품:)
다른 나라로부터 수입한 물품.
용례:
-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다.
- 수입품을 선호하던 시대는 지났다.
133. 수출입품 (輸出入品) [수추립품]
한자: 輸(보낼 수), 出(날[生] 출), 入(들 입), 品(물건 품:)
수출품과 수입품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정부가 수출입품을 규제한다.
134. 수출품 (輸出品) [수출품]
한자: 輸(보낼 수), 出(날[生] 출), 品(물건 품:)
외국에 팔아 내보내는 물품.
용례:
- 수출품 전시회.
- 수출품 개발.
- 원유와 천연가스는 그 나라의 주요 수출품이다.
135. 수품 (手品) [수품]
한자: 手(손 수(:)), 品(물건 품:)
손을 놀려 무엇을 만들거나 어떤 일을 하는 재주.
용례:
가난한 사람의 나물 반찬에는 정이 들었습니다. 하물며 봉숙 씨의 수품이 나물로 고기를 만들고 소금으로 설탕을 치는 바에야….≪한용운, 흑풍≫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品 물건 품: - 6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