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 영화제 (映畫祭) [영화제]
한자: 映(비칠 영(:)), 畫(그림 화:), 祭(제사 제:)
많은 영화 작품을 모아서 일정 기간 내에 연속적으로 상영하는 행사.
용례:
- 영화제에 작품을 출품하다.
- 그 감독의 최신작이 해외 영화제에 초대되었다.
137. 예술제 (藝術祭) [예:술쩨]
한자: 藝(재주 예:), 術(재주 술), 祭(제사 제:)
음악, 연극, 무용, 문학 따위를 공연하거나 발표하는 예술 행사. 예술의 향상·발전·보급을 위하여 열린다.
용례:
예술제에 참여할 예술 단체와 예술인을 모집합니다.
138. 예제 (例祭) [예:제]
한자: 例(법식 례:), 祭(제사 제:)
기일을 정하여 놓고 상례(常例)대로 지내는 제사.
139. 오룡제 (五龍祭) [오:룡제]
한자: 五(다섯 오:), 龍(용 룡), 祭(제사 제:)
조선 시대에, 나라에서 지내던 기우제의 하나. 서울 동대문 밖에 청룡(靑龍), 남대문 밖에 적룡(赤龍), 서대문 밖에 백룡(白龍), 창의문 밖에 흑룡(黑龍), 종로 거리에 황룡(黃龍)을 각각 그려 붙이고 사흘 동안 제사를 지냈다.
140. 오방제 (五方祭) [오:방제]
한자: 五(다섯 오:), 方(모[棱] 방), 祭(제사 제:)
동, 서, 남, 북과 가운데에서 한날한시에 지내는 제사.
141. 오월제 (五月祭) [오:월쩨]
한자: 五(다섯 오:), 月(달 월), 祭(제사 제:)
예로부터 서양에서 5월 1일에 베풀어 오는 봄맞이 축제.
142. 외제 (외祭) [외:제]
한자: 祭(제사 제:)
영호남에서 음력 6월 보름인 유둣날에 참외가 잘 열리라고 지내는 제사.
143. 요제 (搖祭) [요제]
한자: 搖(흔들 요), 祭(제사 제:)
구약 시대에, 희생 제물의 가슴 부분을 제단 앞에서 흔들어 바치던 제사 의식.
144. 용왕제 (龍王祭) [용왕제]
한자: 龍(용 룡), 王(임금 왕), 祭(제사 제:)
음력 정월 14일에 배의 주인이 제주가 되어 뱃사공들이 지내는 제사. 무당을 부르지 않는 점에서 ‘용왕굿’과 다르다.(물산제)
145. 용제 (龍祭) [용제]
한자: 龍(용 룡), 祭(제사 제:)
가물 때 용왕에게 비를 빌던 제사.
146. 우제 (雩祭) [우:제]
한자: 雩(기우제 우), 祭(제사 제:)
나라에서 지내던 기우제. 중국에서는 은나라 탕왕 때 시작하였다.
147. 우제 (虞祭) [우제]
한자: 虞(염려할/나라이름 우), 祭(제사 제:)
초우(初虞), 재우(再虞), 삼우(三虞)를 통틀어 이르는 말.
148. 원단제 (圜壇祭) [원단제]
한자: 圜(둥글 원), 壇(단 단), 祭(제사 제:)
원단에서 지내던 제사.
149. 원장제 (元狀祭) [원장제]
한자: 元(으뜸 원), 狀(문서 장:), 祭(제사 제:)
본제사에 앞서 지내던 제사. 대개 정월에 지냈다.
150. 위령제 (慰靈祭) [위령제]
한자: 慰(위로할 위), 靈(신령 령), 祭(제사 제:)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
용례:
- 비행기 사고 희생자 합동 위령제.
- 그로부터 이곳에서는 3년거리로 이른 봄의 길일을 택해 위령제를 지내 왔으며….≪이청준, 춤추는 사제≫
151. 위안제 (慰安祭) [위안제]
한자: 慰(위로할 위), 安(편안 안), 祭(제사 제:)
산소나 신주가 놀라서 다른 곳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
152. 유제 (儒祭) [유제]
한자: 儒(선비 유), 祭(제사 제:)
유학적 의식에 따라서 지내는 제사.
153. 유혈제 (流血祭) [유혈쩨]
한자: 流(흐를 류), 血(피 혈), 祭(제사 제:)
희생이 되는 제물의 피로 하느님에게 봉헌하는 제사.
154. 은제 (殷祭) [은제]
한자: 殷(은나라 은), 祭(제사 제:)
성대한 제사.
155. 음악제 (音樂祭) [으막쩨]
한자: 音(소리 음), 樂(노래 악), 祭(제사 제:)
기념일이나 축제일에 여는 특별 음악회나 일정한 시기에 여는 대규모의 음악회 행사.
용례:
- 음악제를 열다.
- 음악제를 개최하다.
156. 이안제 (移安祭) [이안제]
한자: 移(옮길 이), 安(편안 안), 祭(제사 제:)
사당에서 신주를 옮겨 모실 때에 지내는 간단한 제사.
157. 인제 (人祭) [인제]
한자: 人(사람 인), 祭(제사 제:)
인신(人神)에게 지내는 제사.
158. 일포제 (日哺祭) [일포제]
한자: 日(날 일), 哺(먹일 포:), 祭(제사 제:)
발인 전에 영결을 고하는 제사 의식.
159. 장승제 (장승祭) [장승제]
한자: 祭(제사 제:)
음력 정월 보름날 마을의 수호신에게 지내던 제사. 마을 입구에 장군상을 세우고 마을 사람이 모여 점으로 그해의 운수가 좋은 사람을 제관(祭官)으로 뽑아 제사를 지냈다.(장군제)
160. 장제 (葬祭) [장:제]
한자: 葬(장사지낼 장:), 祭(제사 제:)
장례와 제사를 아울러 이르는 말.
161. 적도제 (赤道祭) [적또제]
한자: 赤(붉을 적), 道(길 도:), 祭(제사 제:)
배가 적도를 통과할 때에 안전한 항해를 비는 제사.
162. 전답제 (田畓祭) [전답쩨]
한자: 田(밭 전), 畓(논 답), 祭(제사 제:)
유두(流頭)에 행하던 제사의 하나. 농촌에서 논의 물꼬나 밭 가운데에 여러 음식을 차려 놓고 농신(農神)에게 풍년이 들기를 빈 다음 제사가 끝나면 그 음식들을 땅에 묻는다.
163. 전야제 (前夜祭) [저냐제]
한자: 前(앞 전), 夜(밤 야:), 祭(제사 제:)
어떤 행사에 앞서 그 전날 밤에 베푸는 축제.
용례:
- 전야제 행사.
- 전야제 공연 연습.
- 전야제가 열리다.
164. 전제 (奠祭) [전:제]
한자: 奠(정할/제사 전:), 祭(제사 제:)
모세의 율법에 나오는 제사의 하나. 잔에 담은 포도주나 독주(毒酒)를 제단 받침에 붓는다.
165. 정부제 (正副祭) [정:부제]
한자: 正(바를 정(:)), 副(버금 부:), 祭(제사 제:)
부제품을 받은 성직자. 사제를 도와 강론, 성체 분배 따위의 집행을 하게 된다.
166. 정제 (丁祭) [정제]
한자: 丁(고무래/장정 정), 祭(제사 제:)
선성(先聖)이나 선사(先師)에게 지내는 제사. 특히 공자에게 지내는 제사를 이르며 중춘(仲春), 중하(仲夏), 중추(仲秋), 중동(仲冬)의 사중월(四仲月)이나 중춘 2월, 중추 8월의 상정일(上丁日)에 지낸다.
167. 정주제 (井主祭) [정주제]
한자: 井(우물 정(:)), 主(임금/주인 주), 祭(제사 제:)
마을의 공동 우물에 물이 잘 나오라고 치성을 드리는 일. 음력 정월 중 수신(水神)이 내려오는 날을 점쳐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 세 명이 한밤중에 우물가에서 드린다.(샘제,정제)
168. 제주제 (題主祭) [제주제]
한자: 題(제목 제), 主(임금/주인 주), 祭(제사 제:)
장사를 지낸 뒤에, 산소에서 혼령을 신주(神主)에 옮길 때에 지내는 제식.
169. 조상제 (祖上祭) [조상제]
한자: 祖(할아비 조), 上(윗 상:), 祭(제사 제:)
조상을 숭배하여 지내는 제사.
170. 조제 (弔祭) [조:제]
한자: 弔(조상할 조:), 祭(제사 제:)
죽은 사람의 영혼을 조문(弔問)하여 제사함. 또는 그런 의식.
용례:
조제가 지극하여 이르지 못하면 죽은 이의 혼백은 그 의탁할 곳을 찾지 못하리라.≪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171. 졸곡제 (卒哭祭) [졸곡쩨]
한자: 卒(마칠 졸), 哭(울 곡), 祭(제사 제:)
삼우제를 지낸 뒤에 곡을 끝낸다는 뜻으로 지내는 제사. 사람이 죽은 지 석 달 만에 오는 첫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을 택하여 지낸다.
용례:
이튿날 언삼은 전보다도 부지런히 나섰다. 한 닢이라도 더 벌어서 정성일망정 아내의 졸곡제를 지내 주겠다는 지성에서였다.≪정비석, 졸곡제≫
172. 주제 (主祭) [주제]
한자: 主(임금/주인 주), 祭(제사 제:)
제사를 주장하여 행함. 또는 그런 사람.
173. 중농제 (中農祭) [중농제]
한자: 中(가운데 중), 農(농사 농), 祭(제사 제:)
농사를 짓는 과정에서 농신(農神)에게 올리는 의식. 유두(流頭)에 밀전병을 부쳐 논에 바치는 일 따위이다.
174. 중류제 (中霤祭) [중뉴제]
한자: 中(가운데 중), 霤(낙숫물 류), 祭(제사 제:)
음력 6월 토왕일(土旺日)에 토지신에게 지내던 제사. 집의 한가운데 있는 방에서 지냈다.
175. 지신제 (地神祭) [지신제]
한자: 地(따 지), 神(귀신 신), 祭(제사 제:)
땅을 다스리는 신령에게 지내는 제사.(지제)
176. 지장제 (地藏祭) [지장제]
한자: 地(따 지), 藏(감출 장:), 祭(제사 제:)
지장보살을 공양하는 법회. 해마다 음력 7월 24일에 연다.
177. 지진제 (地鎭祭) [지진제]
한자: 地(따 지), 鎭(진압할 진(:)), 祭(제사 제:)
토목 공사를 할 때에 지신(地神)에게 지내는 제사. 건물의 안전을 비는 뜻으로 터를 닦기 전에 지낸다.
178. 진혼제 (鎭魂祭) [진:혼제]
한자: 鎭(진압할 진(:)), 魂(넋 혼), 祭(제사 제:)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
용례:
- 비행기 사고로 죽은 사람들의 진혼제를 올렸다.
- 그녀는 내 이름을 알고 있다. 알고 있을 뿐 아니라 나를 자신의 오빠의 장례를 치르는 진혼제에 단 하나의 조객으로 초대하고 있다.≪최인호, 지구인≫
179. 차제 (差祭) [차제]
한자: 差(다를 차), 祭(제사 제:)
나라의 제사를 지내는 제관(祭官)으로 임명하던 일.
180. 천일제 (千日祭) [처닐쩨]
한자: 千(일천 천), 日(날 일), 祭(제사 제:)
소원을 이루기 위하여 천 일 동안 신이나 부처에게 정성을 올려 모시는 제사.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祭 제사 제: - 5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