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5

161. 불모지 (不毛地) [불모지]

한자: 不(아닐 불), 毛(터럭 모), 地(따 지)

「1」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거칠고 메마른 땅.
「2」어떠한 사물이나 현상이 발달되어 있지 않은 곳. 또는 그런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불모지로 버려진 땅을 개간하다.
  • 「1」이곳 전쟁터에서 또다시 탈출해 구원의 땅을 찾아가도 모래와 돌멩이뿐인 불모지만 나타날 것 같아 두려웠다.≪안정효, 하얀 전쟁≫
  • 「2」축구 불모지.
  • 「2」아직도 지구상에는 현대 문명의 불모지로 남아 있는 곳이 많다.
  • 「2」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불모지나 다름없다.

162. 불천지 (불天地) [불천지]

한자: 天(하늘 천), 地(따 지)

온통 불에 휩싸여 타는 넓은 곳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용례:

불은 그곳뿐만 아니다. 너른 들을 중심으로 지금은 동서남북이 모두 불천지다.≪이기영, 서화≫

163. 비옥지 (肥沃地) [비:옥찌]

한자: 肥(살찔 비:), 沃(기름질 옥), 地(따 지)

걸고 기름진 땅.

용례:

최소한 그곳이 불모지인지 비옥지인지는 알아본 다음에 땅을 사도록 하자.

164. 비지 (鄙地) [비:지]

한자: 鄙(더러울 비:), 地(따 지)

보잘것없는 곳이라는 뜻으로, 자기가 사는 곳을 낮추어 이르는 말.

용례:

이렇게 누추한 비지를 찾아 주셔서 몸 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165. 사유지 (私有地) [사유지]

한자: 私(사사(私事) 사), 有(있을 유:), 地(따 지)

개인 또는 사법인이 가진 땅.

용례:

  • 사유지를 매입하다.
  • 사유지를 임대하다.
  • 영산강 근방에 사는 양반들은 그들의 사유지 확장에 혈안이 되어 황폐한 농민들의 토지까지도 마음대로 점유하였으며….≪문순태, 타오르는 강≫

166. 사육지 (飼育地) [사육찌]

한자: 飼(기를 사), 育(기를 육), 地(따 지)

물고기나 짐승을 기르는 곳.

167. 사적지 (史跡地) [사:적찌]

한자: 史(사기(史記) 사:), 跡(발자취 적), 地(따 지)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나 시설의 자취가 남아 있는 곳.

용례:

  • 사적지를 보존하다.
  • 유서 깊은 사적지를 보호하다.

168. 사지 (死地) [사:지]

한자: 死(죽을 사:), 地(따 지)

「1」죽을 곳. 또는 죽어야 할 장소.
「2」죽을 지경의 매우 위험하고 위태한 곳.

용례:

  • 「2」사지에서 가까스로 벗어나다.
  • 「2」동지들을 사지에 몰아넣을 수도 있는 놈입니다.≪이병주, 지리산≫

169. 삭지 (朔地) [삭찌]

한자: 朔(초하루 삭), 地(따 지)

북쪽에 있는 땅.

용례:

겨울에는 몰랐는데 봄이 되니 삭지 북방 이곳에도 꽃들이 서로 다투어 피는 것을 보고 강모는 정말 놀랐었다.≪최명희, 혼불≫

170. 산간벽지 (山間僻地) [산간벽찌]

한자: 山(메 산), 間(사이 간(:)), 僻(궁벽할 벽), 地(따 지)

산간 지대의 구석지고 후미진 산골.

용례:

  • 농촌의 산간벽지까지 전기가 들어간다.
  • 책임 추궁을 면할 길 없어 강원도의 산간벽지로 좌천이 되어 갔는데….≪유현종, 들불≫

171. 산지 (山地) [산지]

한자: 山(메 산), 地(따 지)

「1」들이 적고 산이 많은 지대.
「2」묏자리로 적당한 땅.

용례:

  • 「1」평지와 산지.
  • 「1」도시 생활을 정리하고 귀농한 젊은 부부는 산지를 개간하여 농경지로 만들었다.
  • 「2」산지를 구하다.
  • 「2」남은 건 공주의 억울한 영혼을 위로하고 좋은 산지를 가려 만년유택을 정할 것뿐이다.≪박종화, 다정불심≫

172. 산지 (産地) [산:지]

한자: 産(낳을 산:), 地(따 지)

「1」생산되어 나오는 곳.
「2」사람이 출생한 땅.

용례:

  • 「1」산지 가격.
  • 「1」쌀의 산지.
  • 「1」K 군이라면 전라도 내륙의 산으로 둘러싸인 감 산지로 유명한 고장이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173. 산출지 (産出地) [산:출찌]

한자: 産(낳을 산:), 出(날[生] 출), 地(따 지)

산출한 곳.

용례:

이 지방은 배의 산출지로 유명하다.

174. 삼림지 (森林地) [삼님지]

한자: 森(수풀 삼), 林(수풀 림), 地(따 지)

나무가 많이 우거져 있는 땅.

용례:

삼림지 육성.

175. 상륙지 (上陸地) [상:뉵찌]

한자: 上(윗 상:), 陸(뭍 륙), 地(따 지)

배에서 내려 육지로 오르는 장소.

용례:

맥아더 장군은 인천을 상륙지로 정했다.

176. 상지 (相地) [상지]

한자: 相(서로 상), 地(따 지)

풍수지리에서, 땅의 생김새를 보고 길흉을 판단하는 일.

용례:

풍수설에서는 산, 물, 방향의 세 가지 조건으로 상지를 판단한다.

177. 생산지 (生産地) [생산지]

한자: 生(날 생), 産(낳을 산:), 地(따 지)

어떤 물품을 만들어 내는 곳. 또는 그 물품이 저절로 생겨나는 곳.

용례:

보리의 주요 생산지는 전남과 경북이다.

178. 생지 (生地) [생지]

한자: 生(날 생), 地(따 지)

「1」한 번도 파헤친 적이 없는 원래 그대로의 굳은 땅.
「2」생소한 땅.
「3」사람이 태어난 곳.
「4」살아 돌아올 수 있는 곳을 ‘사지10’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용례:

  • 「2」오랜만에 고향에 와 보니 생지에 온 느낌이다.
  • 「3」여기는 그래도 기개 있는 젊은이가 있는 것이나 아닌가, 노백린 씨의 생지가 그래도 다른가 보다 싶어….≪채만식, 민족의 죄인≫

179. 서식지 (棲息地) [서:식찌]

한자: 棲(깃들일 서:), 息(쉴 식), 地(따 지)

생물 따위가 일정한 곳에 자리를 잡고 사는 곳.

용례:

백로의 서식지.

180. 성지 (城地) [성지]

한자: 城(재 성), 地(따 지)

성(城)과 그에 딸린 영토.

용례:

고구려는 그 뒤를 받치어 쉴 새 없이 요동의 모든 성지를 도로 찾아 들이었다.≪홍효민, 신라 통일≫

181. 성지 (聖地) [성:지]

한자: 聖(성인 성:), 地(따 지)

「1」특정 종교에서 신성시하는 장소. 종교의 발상지나 순교가 있었던 지역으로 기독교의 예루살렘, 이슬람교의 메카 등이다.
「2」종교적인 유적이 있는 곳.

용례:

「1」그곳은 성지를 순례하려는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182. 소개지 (疏開地) [소개지]

한자: 疏(소통할 소), 開(열 개), 地(따 지)

소개하여 옮기거나 옮겨 간 곳.

용례:

피란할 소개지를 물색하다.

183. 소비지 (消費地) [소비지]

한자: 消(사라질 소), 費(쓸 비:), 地(따 지)

어떤 물품이 소비되는 곳.

용례:

생산된 상품은 유통 경로를 거쳐 소비지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184. 소산지 (所産地) [소:산지]

한자: 所(바 소:), 産(낳을 산:), 地(따 지)

물건이 생산되는 곳.

용례:

이곳은 담배의 소산지로 유명하다.

185. 소유지 (所有地) [소:유지]

한자: 所(바 소:), 有(있을 유:), 地(따 지)

「1」가지고 있는 땅.
「2」소유권을 가진 땅.

용례:

  • 「2」문중의 소유지.
  • 「2」명목상으로도 종가 소유지는 나머지 오백 마지기 합쳐서 전부 팔백 마지기나 되는 셈이었다.≪황석영, 폐허, 그리고 맨드라미≫

186. 소작지 (小作地) [소:작찌]

한자: 小(작을 소:), 作(지을 작), 地(따 지)

소작인이 지주에게 빌려 농사를 짓고 소작료를 지급하는 땅.

용례:

이웃에 사는 사촌도 소작지가 이천 평이 채 못 되는 궁색한 소작농이었으나….≪김원일, 불의 제전≫

187. 소재지 (所在地) [소:재지]

한자: 所(바 소:), 在(있을 재:), 地(따 지)

주요 건물이나 기관 따위가 자리 잡고 있는 곳.

용례:

  • 도청 소재지.
  • 자모산성의 소재지는 평산읍에서 남으로 칠십 리요….≪홍명희, 임꺽정≫

188. 소지 (素地) [소지]

한자: 素(본디/흴[白] 소(:)), 地(따 지)

「1」본래의 바탕.
「2」문제가 되거나 부정적인 일 따위를 생기게 하는 원인. 또는 그렇게 될 가능성.

용례:

  • 「1」그는 정치가가 될 소지가 다분하다.
  • 「2」위험의 소지를 제공하다.
  • 「2」오해의 소지를 없애다.
  • 「2」이 법은 악용될 소지가 있다.
  • 「2」이 문제는 논쟁의 소지가 있다.

189. 소택지 (沼澤地) [소택찌]

한자: 沼(못 소), 澤(못 택), 地(따 지)

늪과 연못으로 둘러싸인 습한 땅.

용례:

으레 소택지의 낮은 곳에는 물이 고이기 마련이다.≪유현종, 들불≫

190. 소풍지 (逍風地) [소풍지]

한자: 逍(노닐 소), 風(바람 풍), 地(따 지)

소풍 가서 노는 곳.

용례:

  • 학생들이 열을 지어 소풍지에 다다랐다.
  • 소풍지로 가는 길이 비좁다.
  • 이 고성은 여름이면 숲이 우거져 시민들의 더없는 소풍지로 애용되고 있다고 한다.

191. 수렵지 (狩獵地) [수렵찌]

한자: 狩(사냥할 수), 獵(사냥 렵), 地(따 지)

사냥을 하는 곳.

용례:

비옥한 농경지와 넘치는 물고기와 풍부한 수렵지가 있다는 헤이룽강 유역, 그 강을 넘으면 시베리아인가.≪박경리, 토지≫

192. 수요지 (需要地) [수요지]

한자: 需(쓰일/쓸 수), 要(요긴할 요(:)), 地(따 지)

상품을 필요로 하는 곳이나 수요자가 모인 곳.

193. 수원지 (水源地) [수원지]

한자: 水(물 수), 源(근원 원), 地(따 지)

물이 흘러나오는 근원이 되는 곳. 산의 꼭대기 부근이나 선상지 말단의 용수대 따위이다.

194. 수조지 (收租地) [수조지]

한자: 收(거둘 수), 租(조세 조), 地(따 지)

조세를 받을 권리가 있는 땅. 나라에서 벼슬아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용례:

  • 수조지 분급.
  • 민전이 국가 수조지로 될 경우 공전으로 파악되었다.

195. 숙영지 (宿營地) [수경지]

한자: 宿(잘 숙), 營(경영할 영), 地(따 지)

군대가 병영을 떠나 묵는 장소.

용례:

항일 유격대는 산악 지대를 숙영지로 삼아 투쟁하였다.

196. 습지 (濕地) [습찌]

한자: 濕(젖을 습), 地(따 지)

습기가 많은 축축한 땅.

용례:

  • 강변에 습지가 발달하다.
  • 이곳은 원래 미나리나 심어 먹던 논바닥 비슷한 부산 교외의 한적한 습지였다.≪홍성원, 육이오≫

197. 승지 (勝地) [승지]

한자: 勝(이길 승), 地(따 지)

경치가 좋은 곳.

용례:

  • 승지를 구경하다.
  • 각도의 승지를 유람하다.

198. 시가지 (市街地) [시:가지]

한자: 市(저자 시:), 街(거리 가(:)), 地(따 지)

도시의 큰 길거리를 이루는 지역.

용례:

  • 남산에서 서울 시가지를 내려다보다.
  • 시가지를 벗어난 버스가 얼마간 포장된 도로를 달리다가 비포장도로에 들어섰다.≪김주영, 달맞이꽃≫
  • 마지막 고개인 용수산에 오르니 개성 시가지가 한눈에 바라보였고 시가지를 사이에 끼고 수려한 송악산이 우뚝 마주 서 있었다.≪박완서, 미망≫

199. 시유지 (市有地) [시:유지]

한자: 市(저자 시:), 有(있을 유:), 地(따 지)

시(市)가 소유하고 있는 토지.

용례:

살던 동네가 철거당하지 않으면 안 되는 까닭도 시유지에 허가 없이 들어선 동네이기 때문이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200. 식민지 (植民地) [싱민지]

한자: 植(심을 식), 民(백성 민), 地(따 지)

정치적·경제적으로 다른 나라에 예속되어 국가로서의 주권을 상실한 나라. 경제적으로는 식민지 본국에 대한 원료 공급지, 상품 시장, 자본 수출지의 기능을 하며, 정치적으로는 종속국이 된다.

용례:

제이 차 세계 대전 이후 식민지였던 많은 나라들이 독립했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6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7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8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9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