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2

41. 관광단지 (觀光團地) [관광단지]

한자: 觀(볼 관), 光(빛 광), 團(둥글 단), 地(따 지)

관광지를 중심으로 구획·조성된 지역.

용례:

  • 관광 단지를 개발하다.
  • 여기에 대규모 관광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42. 관광지 (觀光地) [관광지]

한자: 觀(볼 관), 光(빛 광), 地(따 지)

경치가 뛰어나거나 사적(史跡), 온천 따위가 있어 관광할 만한 곳.

용례:

  • 관광지 조성.
  • 국제 관광지로 개발되고 있는 제주도.
  • 개발 촉진회에서는 바다낚시터나 해수욕장을 개발해서 여기를 관광지로 만들려고 하고 있는 모양이더라.≪한승원, 포구의 달≫

43. 관유지 (官有地) [과뉴지]

한자: 官(벼슬 관), 有(있을 유:), 地(따 지)

정부나 관청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

용례:

지방 관리로 민유지나 혹 관유지를 외국인에게 방매한다는 말이 입문되므로 내부에서 비밀히 정탐하여….≪대한매일신보≫

44. 교지 (校地) [교:지]

한자: 校(학교 교:), 地(따 지)

학교가 자리하는 땅.

용례:

우리 학교는 산기슭의 14만여 평 교지 위에 자리 잡고 있다.

45. 구릉지 (丘陵地) [구릉지]

한자: 丘(언덕 구), 陵(언덕 릉), 地(따 지)

해발 고도 200~600미터의 완만한 기복을 이루고 있는 지형. 평지와 산지의 중간적 성격을 지닌다.

46. 국공유지 (國公有地) [국꽁유지]

한자: 國(나라 국), 公(공평할 공), 有(있을 유:), 地(따 지)

국유지와 공유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정부는 유휴 국공유지에 소규모 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47. 국립묘지 (國立墓地) [궁님묘:지]

한자: 國(나라 국), 立(설 립), 墓(무덤 묘:), 地(따 지)

군인·군무원 또는 국가 유공자 등 국가나 사회를 위하여 희생·공헌한 사람이 사망한 후 그를 안장하고 관리하는 묘지. 이전의 국군묘지를 개칭한 것이다. 현재 국립 서울 현충원, 국립 대전 현충원, 국립 4·19 민주 묘지, 국립 5·18 민주 묘지, 국립 호국원 따위가 있다.

용례:

  • 국립묘지를 참배하다.
  • 국립묘지에 안장하다.
  • 현충일을 맞아 국립묘지에서 추념식이 열렸다.

48. 국유지 (國有地) [구규지]

한자: 國(나라 국), 有(있을 유:), 地(따 지)

나라의 소유로 되어 있는 토지.

용례:

  • 국유지를 개간하다.
  • 국유지를 불하받다.
  • 국유지를 매각하다.
  • 이 땅은 국유지라 공공시설을 세우는 데 아무 문제가 없다.

49. 국지 (局地) [국찌]

한자: 局(판[形局] 국), 地(따 지)

일정하게 한정된 지역.

용례:

국지 분쟁.

50. 군락지 (群落地) [굴락찌]

한자: 群(무리 군), 落(떨어질 락), 地(따 지)

비슷한 생육 조건을 가진 식물들이 군락을 이루어 자생하고 있는 지역.

용례:

  • 억새 군락지.
  • 희귀 식물 군락지.
  • 정부가 생태 조사 한 결과, 멸종 위기종의 군락지가 발견됐다.

51. 군사기지 (軍事基地) [군사기지]

한자: 軍(군사 군), 事(일 사:), 基(터 기), 地(따 지)

중요한 군사 시설을 갖추고 있어서 군사 활동의 거점이 되는 곳. 해군 기지, 항공 기지, 병참 기지, 통신 기지 따위가 있다.

용례:

그들은 전쟁 준비를 강화하고 군사 기지를 건설하며, 민중을 탄압하고 군대를 미국의 침략 정책에 봉사하는 도구로 타락시키고 있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52. 군용지 (軍用地) [구뇽지]

한자: 軍(군사 군), 用(쓸 용:), 地(따 지)

군사적 목적으로 쓰는 땅.

용례:

이 지역은 군용지라서 민간인이 함부로 출입할 수 없다.

53. 궁지 (窮地) [궁지]

한자: 窮(다할/궁할 궁), 地(따 지)

매우 곤란하고 어려운 일을 당한 처지.

용례:

  • 궁지에 몰리다.
  • 궁지에서 헤어나다.
  • 그는 당장의 궁지에서 벗어나려 거짓말을 했다가 오히려 더 궁지에 몰리는 상황이 되었다.
  • 도현의 부친은 아직 체포되지는 않았지만 국외로 탈출할 기회를 잃고 궁지에 빠져 있는 모양이라는 것이다.≪손창섭, 낙서족≫
  • 어차피 최두술 씨는 지서에서 풀려나 설창으로 돌아갈 것이 뻔한데 명분만 내세워 마을 손위 어른을 궁지로 몰아넣을 필요까지는 없었던 것이다.≪김원일, 불의 제전≫

54. 귀양지 (귀양地) [귀양지]

한자: 地(따 지)

귀양살이하는 곳.

용례:

적객이 귀양지에서 미희를 데리고 사는 것은 흔히 있는 일로서 조정에서도 묵인하고 있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55. 규지 (揆地) [규지]

한자: 揆(헤아릴 규), 地(따 지)

「1」해의 그림자로 땅을 측량함.
「2」재상의 지위.

용례:

「2」망족의 문벌에다 한 번 보아도 달상이시라 가히 규지에 오를 만하신데 이렇게 산협에 묻히어 계시는 분도 없지 않구려.≪김주영, 객주≫

56. 극지 (極地) [극찌]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地(따 지)

「1」맨 끝에 있는 땅.
「2」남극과 북극을 중심으로 한 그 주변 지역. 경계선은 일반적으로 교목 한계로 정하며, 북반구에서는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0℃인 등온선과 대략 일치한다.

용례:

  • 「1」고구려 망하고는 발해에 소속됐다가 여진 땅이 된 곳인데, 극지라.≪최명희, 혼불≫
  • 「2」그렇게 넓은 땅이라도 소유권이 없는 땅은 단 한 평도 없을 것이다. 사람 못 살 극지로나 가기 전에…….≪이태준, 화관≫

57. 근거지 (根據地) [근거지]

한자: 根(뿌리 근), 據(근거 거:), 地(따 지)

활동의 근거로 삼는 곳.

용례:

정보가 제대로 들어오지를 않아 적의 정확한 활동 근거지를 모르고 있다.≪안정효, 하얀 전쟁≫

58. 근무지 (勤務地) [근:무지]

한자: 勤(부지런할 근(:)), 務(힘쓸 무:), 地(따 지)

근무하는 곳.

용례:

  • 근무지 이탈.
  • 근무지가 바뀌다.
  • 지섭은 차를 내리자 곧바로 민 경위의 기경대 근무지로 그를 찾아갔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59. 근원지 (根源地) [그눤지]

한자: 根(뿌리 근), 源(근원 원), 地(따 지)

사물의 근원이 되는 곳.

용례:

  • 근대 산업의 근원지.
  • 사상 투쟁의 근원지로서 경성 대학을 이용하려는 공산당의 책략에 물을 끼얹는 거나 꼭 같은 일이다.≪이병주, 지리산≫

60. 근지 (近地) [근:지]

한자: 近(가까울 근:), 地(따 지)

가까운 곳에 있는 땅.

용례:

고담준론으로 딸을 위로하고 약간 강원도 근지에 추수 섬 해 오는 것으로….≪육정수, 송뢰금≫

61. 근지 (根地) [근지]

한자: 根(뿌리 근), 地(따 지)

「1」사물의 본바탕.
「2」자라 온 환경과 경력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2」근지 모를 떠돌이.
  • 「2」의탁할 만한 사람을 은근히 물색하던 중에 임 선달을 만났는데 근지 분명치 않은 것이 흠이라면 흠이랄까 다른 것은 하나도 마음에 흡족지 않은 것이 없어서….≪홍명희, 임꺽정≫

62. 금지 (禁地) [금:지]

한자: 禁(금할 금:), 地(따 지)

함부로 드나들지 못하게 하는 땅.

용례:

  • 금지를 범하다.
  • 금지가 되다.
  • 사원(賜苑)이라 이름한 천여 평의 계곡 기슭도 몇 차례 시비가 있은 후에는 황제와 그 측근만이 소요할 수 있는 금지로 인정되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63. 급경사지 (急傾斜地) [급꼉사지]

한자: 急(급할 급), 傾(기울 경), 斜(비낄 사), 地(따 지)

경사가 몹시 가파른 땅.

용례:

우리 밭은 급경사지에 있어서 일하기가 여간 힘든 게 아니다.

64. 기류지 (寄留地) [기류지]

한자: 寄(부칠 기), 留(머무를 류), 地(따 지)

일시적으로 머물러 사는 다른 지방이나 남의 집.

용례:

징집의 대상이 될 만한 젊은이들은 개성이나 경성에 튼튼한 직장이 있건 없건 간에 기류지를 대처에 놓아두고 있었다.≪박완서, 미망≫

65. 기지 (基地) [기지]

한자: 基(터 기), 地(따 지)

「1」군대, 탐험대 따위의 활동의 기점이 되는 근거지.
「2」자리를 잡은 곳.

용례:

  • 「1」기지를 세우다.
  • 「1」독립운동가들은 간도 등지에 독립의 기틀을 다질 기지를 마련했다.
  • 「1」야간에 기지 경계를 맡은 날은 절대로 앉아 있지 않고 계속 순찰을 돌았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66. 기착지 (寄着地) [기착찌]

한자: 寄(부칠 기), 着(붙을 착), 地(따 지)

목적지로 가는 도중에 잠깐 들르는 곳.

용례:

  • 중간 기착지.
  • 시카고가 마지막 기착지였으므로 사람들은 도착하기 30분 전부터 술렁이기 시작했다.
  • 이 섬 병원은 원래 신원이 불확실한 유민 집단의 기착지 같은 곳이 되어 있어서….≪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67. 기항지 (寄港地) [기항지]

한자: 寄(부칠 기), 港(항구 항:), 地(따 지)

배가 목적지로 가는 도중에 잠시 들르는 항구.

용례:

  • 아시아의 유명 기항지를 순회하는 여객선을 타고 여행을 다녀왔다.
  • 이 배는 부산에서 출발하여 오키나와섬까지 운항하며, 중간에 기항지로 제주도를 경유할 예정입니다.

68. 길지 (吉地) [길찌]

한자: 吉(길할 길), 地(따 지)

풍수지리에서, 후손에게 장차 좋은 일이 많이 생기게 된다는 묏자리나 집터.

용례:

  • 하늘이 정해 준 길지답게 그 어떤 정치적인 풍파도 흰돌머리에는 미치지 않았으며 전국을 휩쓴 기근과 호열자도 흰돌머리는 피해 갔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 추쇄가 떴다 하면 도망쳐서 산속으로 깊이 숨을 수가 있었으니 도망쳐 온 종들한테는 길지 중에 길지였겠지.≪송기숙, 녹두 장군≫

69. 나대지 (裸垈地) [나:대지]

한자: 裸(벗을 라:), 垈(집터 대), 地(따 지)

지상에 건축물이나 구축물이 없는 대지.

용례:

시에서는 주택가 근처의 나대지를 공원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70. 나지 (裸地) [나:지]

한자: 裸(벗을 라:), 地(따 지)

「1」거름을 주지 아니한 생땅.
「2」초목이 없는 발가벗은 땅.

용례:

  • 「1」나지를 가꾸고 나무를 심다.
  • 「2」풀 한 포기 나지 않는 이런 나지를 누가 사려 하겠나?

71. 낙지 (落地) [낙찌]

한자: 落(떨어질 락), 地(따 지)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남을 이르는 말.

용례:

낙지 이래로 이때껏 빗자루 한번 들어 보지 못하던 그가 그 무거운 농짝에다가 병풍을 껴서….≪염상섭, 표본실의 청개구리≫

72. 낙타지 (駱駝地) [낙타지]

한자: 駱(낙타 락), 駝(낙타 타), 地(따 지)

낙타의 털로 짠 고급 모직물. 흔히 외툿감으로 쓴다.

용례:

  • 낙타지 외투.
  • 겨울용 외투에는 낙타지를 많이 쓴다.

73. 난지 (暖地) [난:지]

한자: 暖(따뜻할 난:), 地(따 지)

따뜻한 지방이나 장소.

용례:

이 연구소에서는 지열 난방을 이용하여 난지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74. 내지 (內地) [내:지]

한자: 內(안 내:), 地(따 지)

「1」해안이나 변두리로부터 깊숙이 들어간 안쪽 지역.
「2」변두리가 아닌 중심 지역.
「3」외국이나 식민지에서 본국을 이르는 말.
「4」한 나라의 영토 안.

용례:

  • 「1」침입하는 세력에 밀려 해안에 살던 원주민들은 산속 깊숙이 내지로 쫓겨 갔다.
  • 「1」조선의 북쪽 국경에서는 내지로 진출하려고 하는 여진족들과의 충돌이 끊임없었다.
  • 「2」내지 수령은 변지(邊地)와 달라서 사오십 년 전까지도 무변은 가지 못하는 법이었었다.≪홍명희, 임꺽정≫
  • 「3」총독은 내지에서 온 황제의 칙사를 영접했다.

75. 노지 (露地) [노지]

한자: 露(이슬 로(:)), 地(따 지)

「1」지붕 따위로 덮거나 가리지 않은 땅.
「2」삼계(三界)의 화택(火宅)을 떠난 안온한 곳. 속계를 떠난 고요한 경지를 이른다.

용례:

  • 「1」노지 감귤.
  • 「1」지구 온난화로 우리나라에서도 아열대 과일을 노지에서 재배할 수 있게 되었다.

76. 녹지 (綠地) [녹찌]

한자: 綠(푸를 록), 地(따 지)

「1」천연적으로 풀이나 나무가 우거진 곳.
「2」도시의 자연환경 보전과 공해 방지를 위하여 풀이나 나무를 일부러 심은 곳.

용례:

「2」도로 주변에는 온갖 종류의 나무가 우거진 녹지가 조성되어 있었다.

77. 논밭전지 (논밭田地) [논받쩐지]

한자: 田(밭 전), 地(따 지)

가지고 있는 모든 논과 밭.

용례:

  • 논밭전지를 다 팔다.
  • 그는 노름으로 논밭전지를 다 날렸다.

78. 농경지 (農耕地) [농경지]

한자: 農(농사 농), 耕(밭갈[犁田] 경), 地(따 지)

농사짓는 데 쓰는 땅.

용례:

  • 농경지 감소.
  • 농경지를 넓히다.
  • 산지를 개간하여 농경지로 이용하다.
  • 홍수로 500ha의 농경지가 침수되었다.

79. 농지 (農地) [농지]

한자: 農(농사 농), 地(따 지)

농사짓는 데 쓰는 땅.

용례:

  • 농지 개간.
  • 삼 정보 미만의 농지.
  • 2만 5000평의 농지를 경작하다.
  • 다릿골만은, 쌀과 잡곡이 거의 비슷하게 걷혔다. 농지의 반이 논과 밭으로 엇비슷이 나누어져 있기 때문이었다.≪한수산, 유민≫

80. 누지 (陋地) [누:지]

한자: 陋(더러울 루:), 地(따 지)

누추한 곳이라는 뜻으로, 자기가 사는 곳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용례:

이렇게 몸소 누지까지 찾아 주시니 우리 진 전체의 광영이옵니다.≪박종화, 임진왜란≫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6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7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8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9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