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 신개지 (新開地) [신개지]
한자: 新(새 신), 開(열 개), 地(따 지)
「1」새로 개간한 땅.
「2」새로 개설한 시가(市街).
용례:
「1」살던 집에 남겨 둔 금침을 가지러 가자고 하는 대로 따라 나서서, 길도 잘 모르는 이 변두리 신개지까지 끌려온 봉은인데….≪염상섭, 어설픈 사람들≫
202. 신경지 (新境地) [신경지]
한자: 新(새 신), 境(지경 경), 地(따 지)
새로운 경지.
용례:
신경지를 발견하다.
203. 신시가지 (新市街地) [신시가지]
한자: 新(새 신), 市(저자 시:), 街(거리 가(:)), 地(따 지)
새롭게 형성된 시가지.
용례:
- 신시가지 개발 산업.
- 신시가지를 건설하다.
- 신시가지를 조성하다.
- 허허벌판에 시청이 들어서자 신시가지가 형성되었다.
- 구마산이 말 그대로 예전부터 있어 온 마산포라면 신마산은 구마산 남쪽에 왜정 시대 일본인들이 새로이 터를 잡은 신시가지였다.≪김원일, 불의 제전≫
204. 신지 (神地) [신지]
한자: 神(귀신 신), 地(따 지)
신(神)을 모신 곳. 종묘나 산릉이 있는 곳을 이른다.
용례:
영국 공사가 왜국 국내를 여행함은 신지를 모독하는 행위라 하여….≪유현종, 들불≫
205. 신지 (新地) [신지]
한자: 新(새 신), 地(따 지)
「1」새로 개척하거나 개간한 땅.
「2」새로 얻은 땅.
용례:
- 「1」애쓴 보람이 있어 그 신지에서 나온 소출은 상당히 많았다.
- 「2」이주민들은 이 광활한 신지에서 영원히 정착하기를 빌었다.
206. 신천지 (新天地) [신천지]
한자: 新(새 신), 天(하늘 천), 地(따 지)
새로운 세상.
용례:
- 신천지가 펼쳐지다.
- 멀티미디어는 전자 산업의 신천지이다.
- 우리의 눈앞에 신천지가 보이고 있소.≪유현종, 들불≫
- 최만택이 다동 일대에 진출하고자 하는 것은 정양원에서의 그의 지위와 역할이 애매하였으므로 말하자면 신천지를 개척하고 있는 셈이었다.≪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207. 실습지 (實習地) [실씁찌]
한자: 實(열매 실), 習(익힐 습), 地(따 지)
실습을 위하여 마련하여 놓은 땅. 또는 그곳.
용례:
농업 실습지.
208. 실지 (實地) [실찌]
한자: 實(열매 실), 地(따 지)
[Ⅰ]「1」실제의 처지나 경우.
[Ⅰ]「2」사물이 현재 있는 곳.
[Ⅱ]거짓이나 상상이 아니고 현실적으로.
용례:
- [Ⅰ]「1」실지 연습.
- [Ⅰ]「1」실지 경험.
- [Ⅰ]「1」실지 시험.
- [Ⅰ]「1」생각보다 실지가 훨씬 더 좋다.
- [Ⅰ]「1」아버지가 가지고 있던 평안도 금광이 바로 작년부터 소리를 치게 되었다. 물론 금도 많이 났지만 소문은 실지보다 몇 곱절 더하였다.≪한설야, 황혼≫
- [Ⅰ]「2」실지의 답사.
- [Ⅰ]「2」실지 연구.
- [Ⅰ]「2」실지를 가 보다.
- [Ⅰ]「2」어윤중을 경략사로 임명하고 그를 현지에 파견한 것이다. 재해지를 실지 답사케 하고 그 보고에 따라 적절히 조처하자는 정책에서였다. ≪안수길, 북간도≫
209. 심지 (心地) [심지]
한자: 心(마음 심), 地(따 지)
마음의 본바탕.
용례:
- 심지가 곱다.
- 심지가 바르다.
- 심지가 곧다.
- 제 배 부르면 남이 굶어 죽어도 배 터져 죽었다고 우길 세상에 자네 심지가 참으로 고맙네그려.≪박완서, 미망≫
210. 악지 (惡地) [악찌]
한자: 惡(악할 악), 地(따 지)
사람이 살기에 적당하지 않은 땅.
용례:
가면 다시 못 오는 저승길도 아니언만, 그보다 더 극처 궁지, 짐작할 길 바이없는 악지 사지(死地)로 이렇게 떠밀리어 떠나가는 불쌍한 새끼….≪최명희, 혼불≫
211. 안주지 (安住地) [안주지]
한자: 安(편안 안), 住(살 주:), 地(따 지)
편안히 살 수 있는 고장이나 지방.
용례:
안주지를 찾다.
212. 암지 (巖地) [암지]
한자: 巖(바위 암), 地(따 지)
바위로 이루어지거나 바위가 많은 땅.
용례:
마을 사람들은 척박한 암지를 개간하여 농토를 일구었다.
213. 야영지 (野營地) [야:영지]
한자: 野(들[坪] 야:), 營(경영할 영), 地(따 지)
야외에서 천막 따위를 치고 훈련이나 휴양을 하는 곳.
용례:
- 그곳은 주로 야영지로 활용된다.
- 이곳은 중대가 재편성을 받기 위해 전투 배치를 교대한 뒤 임시 야영지로 정한 장소다.≪홍성원, 육이오≫
214. 야지 (野地) [야:지]
한자: 野(들[坪] 야:), 地(따 지)
산이 적고 들판이 넓은 지대.
용례:
탈출할 기회는 얼마든지 있었다. 대원 한두 명을 찾기 위해 날이 샐 때까지 부대가 야지에 머물러 있을 수가 없는 것이니까.≪이병주, 지리산≫
215. 양복지 (洋服地) [양복찌]
한자: 洋(큰바다 양), 服(옷 복), 地(따 지)
양복을 지을 옷감.
용례:
영국제의 양복지에 세계적인 디자이너의 상표가 찍힌 와이셔츠….≪안정효, 할리우드 키드의 생애≫
216. 양장지 (洋裝地) [양장지]
한자: 洋(큰바다 양), 裝(꾸밀 장), 地(따 지)
양장을 지을 옷감.
용례:
한때는 양장지로 서지를 많이 사용했었다.
217. 양지 (陽地) [양지]
한자: 陽(볕 양), 地(따 지)
「1」볕이 바로 드는 곳.
「2」혜택을 받는 입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해가 뜨자 음지와 양지의 구분이 생겼다.
- 「1」양지에는 벌써 눈이 다 녹았다.
- 「1」겨울이 지나고 봄이 되면 아이들은 양지에 나와 볕을 쬐며 놀았다.
- 「1」나날이 봄철은 짙어 가서 어느덧 양지에는 풀싹이 돋아나고 얼음이 풀린 달내강은…푸른 물결이 봄바람에 굼실거린다.≪이기영, 신개지≫
- 「2」사장은 양지에서만 살아 약자의 고통을 모른다.
- 「2」기록과 유적들로 보존된 역사가 양지의 역사라면 전설과 민담의 그것은 음지의 역사일 수 있었다. ≪이청준, 춤추는 사제≫
218. 언지 (言地) [언지]
한자: 言(말씀 언), 地(따 지)
「1」말다툼을 일으키는 실마리.
「2」간관(諫官)의 지위.
용례:
「1」웃음을 띠며 한 자락 깔아 넣는 강호의 말은, 유가의 자제로서 능히 할 수 있는 언지인지라, 도환은 조금도 고깝지 않았다.≪최명희, 혼불≫
219. 여지 (餘地) [여지]
한자: 餘(남을 여), 地(따 지)
[Ⅰ]남은 땅.
[Ⅱ]어떤 일을 하거나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나 희망.
용례:
- [Ⅰ]집 한 채는 충분히 지을 여지가 있다.
- [Ⅱ]개선의 여지가 많다.
- [Ⅱ]우리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남아 있지 않다.
- [Ⅱ]그의 행동은 의심받을 여지가 있다.
- [Ⅱ]그 일은 성공할 여지가 있다.
220. 여행지 (旅行地) [여행지]
한자: 旅(나그네 려(여)), 行(다닐 행(:)), 地(따 지)
여행하는 곳.
용례:
이번에 우리가 갈 여행지는 백두산이다.
221. 연고지 (緣故地) [연고지]
한자: 緣(인연 연), 故(연고 고(:)), 地(따 지)
혈통, 정분, 법률 따위로 관계나 인연이 맺어진 곳. 출생지, 성장지, 거주지 따위가 있다.
용례:
- 생활 연고지.
- 석민은 연고지인 서울로 전근하려고 여념이 없고….≪이영치, 흐린 날 황야에서≫
222. 연해지 (沿海地) [연해지]
한자: 沿(물따라갈/따를 연(:)), 海(바다 해:), 地(따 지)
바닷가에 인접하여 있는 땅.
용례:
해일로 인하여 연해지에서 재배하던 작물이 큰 피해를 입었다.
223. 영지 (領地) [영지]
한자: 領(거느릴 령), 地(따 지)
「1」제후(諸侯)를 봉하여 땅을 내줌. 또는 그 땅.
용례:
- 「1」기사 계급은 독립적인 영주로서 영지 내의 농민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영지의 실질적인 통치자였다.
- 「2」고구려 때에는 만주 지방도 우리의 영지였다.
224. 영지 (靈地) [영지]
한자: 靈(신령 령), 地(따 지)
신령스러운 땅.
용례:
백두산은 민족의 영지로 일컬어진다.
225. 예상지 (豫想地) [예:상지]
한자: 豫(미리 예:), 想(생각 상:), 地(따 지)
어떤 일이 일어나리라고 예상되는 장소.
용례:
- 경찰은 학생들의 시위 예상지로 서울역 광장을 꼽았다.
- 상대 당 후보들의 출마 예상지에 따라 공천인을 선정한다.
226. 예정지 (豫定地) [예:정지]
한자: 豫(미리 예:), 定(정할 정:), 地(따 지)
미리 정하여 놓은 곳.
용례:
- 택지 개발 예정지.
- 쓰레기 매립장 예정지가 발표되자 주변 지역 시민들이 반대 시위를 벌였다.
227. 오지 (奧地) [오:지]
한자: 奧(깊을 오(:)), 地(따 지)
해안이나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대륙 내부의 땅.
용례:
- 아프리카 오지의 정글.
- 오지를 탐험하다.
- 오지에서 길을 잃고 헤매었다.
- 근대화 바람이 거세게 부는데도 이 고장은 오지인 탓인지 상당히 고집스레 옛 모습들을 지니고 있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228. 온상지 (溫床地) [온상지]
한자: 溫(따뜻할 온), 床(상 상), 地(따 지)
어떤 현상이나 사상, 세력 따위가 자라나는 바탕이 되는 곳.
용례:
- 옛 문화의 온상지 동양.
- 미국 측의 입장에서 보자면 이것은 곧바로 공산 혁명의 온상지다.≪홍성원, 육이오≫
229. 완사지 (緩斜地) [완:사지]
한자: 緩(느릴 완:), 斜(비낄 사), 地(따 지)
경사가 가파르지 않은 땅.
용례:
이 구릉은 완사지가 충분하여 목축에 적당하다.
230. 외지 (外地) [외:지]
한자: 外(바깥 외:), 地(따 지)
「1」자기가 사는 곳 밖의 다른 고장.
「2」나라 밖의 땅.
「3」식민지를 본국(本國)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용례:
- 「1」외지 사람.
- 「1」그는 외지에서 삼 년 전에 이사 온 사람이다.
- 「1」조그마한 마을로선 꽤 많은 우편물이다. 멀리 외지에 가 있는 아들딸로부터 오는 편지라고 했다.≪이병주, 지리산≫
- 「2」외지에 나온 한국인 기술자들은 땀 흘리며 열심히 일한다.
- 「2」우리들은 고국에서 수십만 리나 떨어진 외지에서 뜻하지 못했던 낭보에 모두 기뻐했습니다.≪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231. 요람지 (搖籃地) [요람지]
한자: 搖(흔들 요), 籃(대바구니 람), 地(따 지)
「1」요람에서 자라던 어린 시절의 고향.
「2」사물이 발달하기 시작한 곳.
용례:
- 「2」문명의 요람지.
- 「2」우리 부여 고을은 백제 문화의 자랑스러운 요람지입니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232. 요양지 (療養地) [요양지]
한자: 療(병고칠 료), 養(기를 양:), 地(따 지)
온천, 약수, 기후, 햇빛 따위의 자연치료 자원이 풍부하여 요양에 적극 이용하는 지대.
용례:
어머니는 결핵에 걸린 아버지의 병구완을 위해 요양지로 떠나셨다.
233. 요지 (要地) [요지]
한자: 要(요긴할 요(:)), 地(따 지)
정치, 문화, 교통, 군사 따위의 핵심이 되는 곳.
용례:
- 군사상 요지.
- 서울은 정치, 사회, 문화의 요지이다.
- 정치, 경제의 요지를 중심으로 도시가 발달하여 왔다.
- 모든 교통의 요지가 그러하듯 벌교에도 제법 짱짱한 주먹 패가 생겨났다.≪조정래, 태백산맥≫
234. 요충지 (要衝地) [요충지]
한자: 要(요긴할 요(:)), 衝(찌를 충), 地(따 지)
지세(地勢)가 군사적으로 아주 중요한 곳.
용례:
- 군사적 요충지.
- 전략적 요충지.
- 공주성만 점령하면 충청, 전라도는 물론 경상도까지 수중에 넣을 수 있는 요충지이기도 했다.≪유현종, 들불≫
235. 요해지 (要害地) [요해지]
한자: 要(요긴할 요(:)), 害(해할 해:), 地(따 지)
지세(地勢)가 군사적으로 아주 중요한 곳.
용례:
- 이곳은 해서의 의병을 토벌하던 요해지이므로 읍내에는 왜의 수비대, 헌병대, 경찰서, 우편국 등의 기관이 있어서….≪김구, 백범일지≫
- 한산섬은 내가 처음으로 발견한 요해지가 아니다. 우리의 선조들이 몇천 년 전부터 왜구를 막기 위해서 설치해 둔 거제도 관방 속에 있는 한 개 섬에 지나지 않는다.≪박종화, 임진왜란≫
236. 용지 (用地) [용:지]
한자: 用(쓸 용:), 地(따 지)
어떤 일에 쓰기 위한 토지.
용례:
- 논밭을 공장 부지로 용지 변경을 신청하다.
- 작년 여름 상부국에서는 도로의 부지, 모범 가옥의 용지 등 필요에 의해 땅을 매입키로 했는데 이 정보를 재빨리 가져온 사람이 공 노인이다.≪박경리, 토지≫
237. 웅거지 (雄據地) [웅거지]
한자: 雄(수컷 웅), 據(근거 거:), 地(따 지)
웅거하는 땅.
용례:
도적들의 웅거지가 깊은 산속에 있다.
238. 원산지 (原産地) [원산지]
한자: 原(언덕 원), 産(낳을 산:), 地(따 지)
「1」물건의 생산지.
「2」동식물이 맨 처음 자라난 곳.
용례:
- 「1」수입 식품에는 원산지를 표시해야 한다.
- 「2」양은 원래 중앙아시아를 원산지로 하여 동양에 전래된 동물이다.
- 「2」중부 베트남은 옛날부터 계피의 원산지로 유명하지 않은가?≪황석영, 무기의 그늘≫
239. 원적지 (原籍地) [원적찌]
한자: 原(언덕 원), 籍(문서 적), 地(따 지)
「1」호적을 옮기기 전의 호적지.
「2」호적법에서, 호적이 있는 지역을 이르던 말.
용례:
「2」유족을 찾을 수 없는 병원 당국에서는 별수 없이 원적지에 조회를 하여서 혹시 유족이라도 남아 있는가를 확인하여 보았었다.≪최인호, 지구인≫
240. 원지 (遠地) [원:지]
한자: 遠(멀 원:), 地(따 지)
먼 곳.
용례:
총장들이 원지에 있어서 취임하지 못하므로 청년들을 차장으로 임명하여 총장을 대리케 하였다.≪김구, 백범일지≫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7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8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9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