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3

81. 늪지 (늪地) [늡찌]

한자: 地(따 지)

늪이 많은 땅.

용례:

  • 그는 갈대가 우거진 늪지 쪽으로 차를 몰았다.
  • 갈대밭을 벗어나자 질퍽한 늪지가 나타났다.≪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82. 다우지 (多雨地) [다우지]

한자: 多(많을 다), 雨(비 우:), 地(따 지)

일정 기간 동안에 다른 지방보다 기준량 이상으로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

용례:

우리나라 3대 다우지 중 하나인 한강 중·상류 지역을 포함하는 경기도는 연평균 강수량이 1,200~1,300mm이다.

83. 단지 (段地) [단지]

한자: 段(층계 단), 地(따 지)

층이 진 땅.

용례:

단지 재배.

84. 단지 (團地) [단지]

한자: 團(둥글 단), 地(따 지)

주택, 공장, 작물 재배지 따위가 집단을 이루고 있는 일정 구역.

용례:

  • 아파트 단지를 조성하다.
  • 단지 내에 상가가 잘되어 있어서 멀리 시장까지 갈 필요가 없다.

85. 당양지지 (當陽之地) [당양지지]

한자: 當(마땅 당), 陽(볕 양), 之(갈 지), 地(따 지)

햇볕이 잘 들어 밝고 따뜻한 땅.

용례:

한 일 년 구산을 다니다가 당양지지에 산소 자리를 하나 얻었습니다.≪박종화, 전야≫

86. 당지 (當地) [당지]

한자: 當(마땅 당), 地(따 지)

일이 있는 바로 그곳.

용례:

  • 사건이 벌어진 당지의 민심은 매우 흉흉하였다.
  • 당지에 주둔하고 있는 부대에 연락하여 그곳 상황을 물었다.

87. 대상지 (對象地) [대:상지]

한자: 對(대할 대:), 象(코끼리 상), 地(따 지)

대상이 되는 곳.

용례:

  • 신도시 건설 대상지.
  • 남사 마을을 대상지로 선정하고 주력 부대는 웅석봉을 넘어 입석골에 옮겨 앉았다.≪이병주, 지리산≫

88. 대지 (大地) [대:지]

한자: 大(큰 대(:)), 地(따 지)

「1」대자연의 넓고 큰 땅.
「2」좋은 묏자리.

용례:

  • 「1」대지에 뿌리 박은 나무.
  • 「1」대지가 봄비에 촉촉이 젖는다.
  • 「1」그들은 풍요로운 대지의 냄새를 맡고 있으면 잠시 배고픔도 잊을 수가 있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2」여러 양반들이 대사와 같이 담화하는 중에 산리 말이 나서 이 양반은 선산이 대지인 것을 자랑하고 저 양반은 친산 면례할 것을 걱정하는데….≪홍명희, 임꺽정≫

89. 대지 (垈地) [대지]

한자: 垈(집터 대), 地(따 지)

집터로서의 땅.

용례:

  • 대지 면적.
  • 신축 가옥의 대지.
  • 대지 백 평의 단독 주택.

90. 도래지 (渡來地) [도래지]

한자: 渡(건널 도), 來(올 래(:)), 地(따 지)

「1」종교 따위가 물을 건너와 처음 들어온 곳.
「2」철새 따위가 다른 곳에서 들어와 머무는 곳.

용례:

  • 「1」최초 불교 도래지.
  • 「2」철새 도래지.

91. 도심지 (都心地) [도심지]

한자: 都(도읍 도), 心(마음 심), 地(따 지)

도시의 중심이 되는 구역.

용례:

  • 도심지의 주거 인구가 도시 외곽으로 이전하다.
  • 도심지의 차량 소통을 원활히 하다.
  • 여관은 왜식으로 지은 상당한 규모의 건물이었다. 도심지하고도 멀었고 깨끗하고 조용했다.≪박경리, 토지≫

92. 도읍지 (都邑地) [도읍찌]

한자: 都(도읍 도), 邑(고을 읍), 地(따 지)

한 나라의 서울로 삼은 곳.

용례:

조선은 한양을 도읍지로 정하고 둘레에 성을 쌓았다.

93. 도지 (賭地) [도지]

한자: 賭(내기 도), 地(따 지)

「1」일정한 대가를 주고 빌려 쓰는 논밭이나 집터.
「2」남의 논밭을 빌려서 부치고 논밭을 빌린 대가로 해마다 내는 벼.
「3」조선 후기에, 도지권의 대가로 생산물의 25~33%를 소작료로 물던 정액제 소작 형태.

용례:

  • 「1」그중에서도 농사짓기가 성가시어 너른 땅을 이 집 저 집에 도지로 베어 주고….≪이문구, 우리 동네≫
  • 「1」저 너머 큰 마을 강 도사네 집 논 닷 마지기를 억지로 떼를 써서 도지로 얻었어요.≪심훈, 상록수≫
  • 「2」도지를 물다.
  • 「2」소작해서 도지는 도지대로 바쳐……그래 그까짓 방 하나 얻었다고 그 종노릇인가?≪안회남, 농민의 비애≫

94. 도착지 (到着地) [도:착찌]

한자: 到(이를 도:), 着(붙을 착), 地(따 지)

어떤 곳에 이르러 닿는 곳.

용례:

먼 길을 달려온 강물은 마침내 마지막 도착지인 바닷가에 이르러 자연 발걸음을 느리게 걸어가고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95. 도회지 (都會地) [도회지]

한자: 都(도읍 도), 會(모일 회:), 地(따 지)

사람이 많이 살고 상공업이 발달한 번잡한 지역.

용례:

  • 화려한 도회지 생활.
  • 그네들은 젊은이들만이라도 타관으로 그것도 크면 클수록 좋을 도회지로 나가서 자리 잡기를 염원하고 있었다.≪이문구, 해벽≫

96. 돈도지 (돈賭地) [돈:또지]

한자: 賭(내기 도), 地(따 지)

돈놀이에서, 원금은 그대로 둔 채 해마다 일정한 돈이나 곡식으로 이자만을 받기로 하고 빌려주는 빚돈.

용례:

  • 돈도지를 쓰다.
  • 돈도지를 주다.

97. 등록지 (登錄地) [등녹찌]

한자: 登(오를 등), 錄(기록할 록), 地(따 지)

「1」일정한 자격 조건을 갖추기 위하여 문서를 올리는 곳.
「2」행정 관서나 공공 기관 따위에서 일정한 법률 사실이나 법률관계를 공증하는 곳.

용례:

  • 「1」연수 교육 등록지.
  • 「2」등록지 관할 구청.
  • 「2」차량 등록지를 바꾸다.

98. 등산지 (登山地) [등산지]

한자: 登(오를 등), 山(메 산), 地(따 지)

등산하기에 알맞은 곳.

99. 등지 (等地) [등:지]

한자: 等(무리 등:), 地(따 지)

그 밖의 곳들을 줄임을 나타내는 말.

용례:

  • 경주, 부산 등지로 돌아다니다.
  • 사탕수수는 브라질, 쿠바, 인도, 중국 등지에서 많이 난다.

100. 만지 (蠻地) [만지]

한자: 蠻(오랑캐 만), 地(따 지)

야만인이 사는 땅.

용례:

시 전체가 흙바람에 싸여…도시의 신기루를 보고 있는 느낌이기도 하여 만지에 온 것만 같았다.≪김승옥, 환상 수첩≫

101. 망명지 (亡命地) [망명지]

한자: 亡(망할 망), 命(목숨 명:), 地(따 지)

망명하여 사는 곳.

용례:

어쨌든 자기 확신을 얻고 망명지를 떠난 그는 당연히 동족인 이집트 사람들에게로 먼저 갔다.≪이문열, 사람의 아들≫

102. 매립지 (埋立地) [매립찌]

한자: 埋(묻을 매), 立(설 립), 地(따 지)

낮은 땅을 돌이나 흙 따위로 메워 돋운 땅.

용례:

  • 매립지를 조성하다.
  • 이곳저곳에서 홍수란이 났다. 이 매립지 부락은 다른 곳보다 낮은 관계로 특히 그 정경이 참혹하였다.≪이북명, 암야 행로≫

103. 매복지 (埋伏地) [매복찌]

한자: 埋(묻을 매), 伏(엎드릴 복), 地(따 지)

상대편의 동태를 살피거나 불시에 공격하려고 몰래 숨어 있는 곳.

용례:

소대장은 대원들이 매복지에 도착하자 인원을 점검했다.

104. 매장지 (埋葬地) [매장지]

한자: 埋(묻을 매), 葬(장사지낼 장:), 地(따 지)

시체나 유골 따위를 묻는 땅.

105. 매장지 (埋藏地) [매장지]

한자: 埋(묻을 매), 藏(감출 장:), 地(따 지)

원유나 가스, 석탄 따위의 지하자원이 묻혀 있는 곳.

용례:

이번에 수백만 톤 규모의 천연가스 매장지가 발견되었다.

106. 매축지 (埋築地) [매축찌]

한자: 埋(묻을 매), 築(쌓을 축), 地(따 지)

바닷가나 강가 따위의 우묵한 곳을 메워서 뭍으로 만든 땅.

용례:

3만 평 가까운 새 매축지가 긴 둑으로써 막혀 있다.≪김정한, 인간 단지≫

107. 명산지 (名産地) [명산지]

한자: 名(이름 명), 産(낳을 산:), 地(따 지)

좋은 산물로 이름이 난 지방.

용례:

  • 울릉도는 오징어의 명산지이다.
  • 바로 진영이 그 단감의 명산지라는 말을 심찬수로부터 들은 적이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108. 명승고적지 (名勝古跡地) [명승고:적찌]

한자: 名(이름 명), 勝(이길 승), 古(예 고:), 跡(발자취 적), 地(따 지)

명승고적이 있는 곳.

용례:

경주는 한국의 명승고적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109. 명승지 (名勝地) [명승지]

한자: 名(이름 명), 勝(이길 승), 地(따 지)

경치가 좋기로 이름난 곳.

용례:

우리 고장처럼 산자수명하고 볼만한 고적이 많은 명승지는 없다고 여기고….≪박완서, 미망≫

110. 명지 (名地) [명지]

한자: 名(이름 명), 地(따 지)

이름난 곳.

용례:

명지 승경.

111. 목적지 (目的地) [목쩍찌]

한자: 目(눈 목), 的(과녁 적), 地(따 지)

목적으로 삼는 곳.

용례:

  • 목적지에 도달하다.
  • 목적지까지 무사히 가다.
  • 우편물을 목적지에 배달하다.
  • 첫째는 물건을 구입하여 그것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반하는 작업이다.≪홍성원, 육이오≫

112. 목초지 (牧草地) [목초지]

한자: 牧(칠[養] 목), 草(풀 초), 地(따 지)

가축의 사료가 되는 풀이 자라고 있는 곳.

용례:

  • 비옥한 목초지.
  • 목초지를 조성하다.
  • 넓게 펼쳐진 푸른 목초지에 젖소들이 풀을 뜯고 있다.

113. 목축지 (牧畜地) [목축찌]

한자: 牧(칠[養] 목), 畜(짐승 축), 地(따 지)

가축을 놓아기르는 일정한 땅이나 장소.

114. 목표지 (目標地) [목표지]

한자: 目(눈 목), 標(표할 표), 地(따 지)

목표로 삼고 있는 곳.

용례:

우선 공격의 목표지는 충청 감영이 있는 공주성이었다.≪유현종, 들불≫

115. 묘지 (墓地) [묘:지]

한자: 墓(무덤 묘:), 地(따 지)

「1」송장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놓은 곳. 흙으로 둥글게 쌓아 올리기도 하고 돌로 평평하게 만들기도 하는데, 대개 묘석을 세워 누구의 것인지 표시한다.
「2」무덤이 있는 땅. 또는 무덤을 만들기 위해 국가의 허가를 받은 구역.

용례:

  • 「1」묘지를 이장하다.
  • 「1」그는 손전등을 나직하게 비춰서 풀이 무성한 묘지 하나를 골라잡았다.≪이상문, 황색인≫
  • 「1」이 산자락이 끝나는 곳에 그녀의 묘지가 있었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 「2」묘지에 매장하다.
  • 「2」묘지 둘레에 나무를 심었다.

116. 무명고지 (無名高地) [무명고지]

한자: 無(없을 무), 名(이름 명), 高(높을 고), 地(따 지)

이름이 없거나 알려지지 않은 고지.

용례:

무명고지에서의 전투.

117. 무수확지 (無收穫地) [무수확찌]

한자: 無(없을 무), 收(거둘 수), 穫(거둘 확), 地(따 지)

수확이 없는 땅.

용례:

거리와 상관없이 지주 집까지 소작료의 운반은 소작인이 부담한다. 무수확지라도 종잣값은 부담한다.≪김원일, 불의 제전≫

118. 무지 (無地) [무지]

한자: 無(없을 무), 地(따 지)

무늬가 없이 전체가 한 가지 빛깔로 됨. 또는 그런 물건.

용례:

하얀 무지 티셔츠를 사서 여러 색으로 염색을 했다.

119. 문지 (門地) [문지]

한자: 門(문 문), 地(따 지)

대대로 내려오는 그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용례:

도덕이 높은 체, 행동이 고고한 체하여 헛이름을 낚시질하다가, 조금만 벼슬이 귀하게 되면 자기네 문지가 한미한 것을 부끄러워하여….≪박종화, 다정불심≫

120. 미간지 (未墾地) [미:간지]

한자: 未(아닐 미(:)), 墾(개간할 간), 地(따 지)

아직 개간하지 못하였거나 아니한 땅.

용례:

  • 황량한 미간지.
  • 미간지를 개척하다.
  • 정부는 국민 경제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미간지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6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7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8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地 따 지 - 9

출처 정보

댓글 쓰기